이 영화, 고양이 사랑하는 이들이 보면 꽤나 속상할 영화이다. '리리(リリ, Lily)'라는 이름의 고양이는 영화 속 여자들에게 미움을 받아 내동댕이 처진다. 여자들이 그러는 이유는 자신들 보다 리리가 남편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기 때문이다. 유일한 삶의 낙이며, 애정의 대상인 고양이 리리의 주인은 리리에게만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고 위로받는다. 지독한 마마보이인 주인공 쇼조. 그는 아내 시나코가 소박맞고 쫓겨나는데도 해변가에서 고양이와 놀고 있다. 쇼조의 엄마 오린은 지참금이 적다며 며느리를 내보내고, 부자 오빠의 딸 후쿠코를 아들과 맺어주려고 한다. 푼돈벌이 잡화점으로는 먹고 살기 힘든데다, 살고 있는 집도 오빠에게 저당잡혀 있다. 오린은 어떻게든 조카 후쿠코를 구슬려서 집도 지키고 지참금도 뜯어낼 참이다. 그러나 자유분방하고 놀기만 좋아하는 후쿠코는 오린의 속셈대로 되지 않는다. 시나코는 후쿠코에게 진정으로 남편의 사랑을 독차지하려거든 고양이 리리를 자신에게 보내라고 말한다. 과연 쇼조는 리리를 보낼 수 있을까?

  도요타 시로 감독의 1956년작 '고양이와 쇼조와 두 여자'는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2017년에 우리말로 번역된 책이 나왔다). 1936년에 발표된 이 소설은 고양이 리리와 주인인 쇼조, 그의 두 여자 사이의 애증을 그려낸다. 이 얽히고 설킨 사각 관계의 파열음이 영화의 러닝타임 2시간 20분을 채운다. 생각보다 영화는 지루하지 않다. 여자들에게 눌려서 자신의 뜻대로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쇼조를 보고 있노라면 정말이지 딱하기 짝이 없다. 이렇게 드센 여자들이 나오는 일본 영화라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소박맞는 며느리는 시어머니의 옷을 쥐어뜯고, 전처와 후처는 거센 드잡이질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 세 명의 여자들은 쇼조의 남성성을 거세시킨 주역들이다.

  아마도 영화 속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캐릭터는 후쿠코 역을 연기한 카가와 교코일 것이다. 제멋대로 자란데다 파티걸로 복잡한 남성 편력을 지닌 후쿠코는 그야말로 안하무인이다. 돈의 위세를 믿고 시어머니 오린을 종부리듯이 부려먹으며, 고양이 리리를 자신보다 더 사랑하는 남편의 꼴은 두고 볼 수가 없다. 리리를 전처 시나코에게 보내라는 후쿠코의 뜻에 따르는 쇼조의 모습은 애잔하다. 나루세 미키오의 '안즈코(杏っ子, 1958)'에서 착하고 순종적인 아내로 남편의 패악질을 견뎌야 했던 카가와 교코를 떠올리면, 이 영화의 후쿠코는 그 반대편에 자리한 캐릭터이다.

  아들을 마마보이로 키운 오린은 또 어떠한가? 며느리를 자신의 맘대로 갈아치우며, 지참금에만 눈이 먼 이 속물적인 시어머니는 돈 있는 후쿠코에게 벌벌 떤다. 옷장에다 잔뜩 처박아 놓은 후쿠코의 속옷 빨랫감을 군말없이 세탁하면서, 어떻게든 며느리가 친정에서 돈을 가져오길 바란다. 아들을 머저리 취급하는 이 엄마는 자신이 가진 그 어떤 것도 나누지 않는다. 맛있는 수박도 아들 주지 않고 혼자만 먹고, 가게에서 번 돈은 아들 몰래 꿍쳐둔다. 그러니 아들은 마음 둘 데라고는 고양이 리리뿐이다.

  '고양이와 쇼조와 두 여자'에 보이는 바깥의 풍경들은 인물들이 보여주는 갈등과는 관계없이 여유롭고 평화롭다. 쇼조와 후쿠코가 시간을 보내는 여름 해변가의 풍경은 떠들썩한 활기가 넘친다. 댄스 파티와 음악, 멋진 양장을 한 젊은 여성들의 모습들에서는 전쟁의 그림자나 상흔 따위는 찾아볼 수 없다. 한국 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전후 피폐한 경제 상황을 단번에 역전시키는 엄청난 호황기에 접어든다. 후쿠코가 보여주는 새로운 여성성은 그런 시대적 배경에서 가능했을 것이다. 1936년에 쓰여진 소설을 영화가 시대에 맞게 아주 잘 각색했다는 생각이 든다.

  도요타 시로는 소설을 영화로 만든 문예 영화에 일가견을 보여준 감독이었다. 이 영화는 그가 만든 문예 영화의 수작으로 손꼽힌다. 소설 속의 인물들이 살아 숨쉬는 것처럼 만든 데에는 간사이 사투리도 한 몫을 했다. 카가와 교코를 비롯해 시나코 역의 야마다 이스즈, 쇼조 역의 모리시게 히사야는 간사이 사투리를 맛깔나게 구사한다. 그들 모두 간사이 지방 출신이었다(교코는 이바라키 현, 다른 두 명의 배우는 오사카 출신이다). 남자 하나 두고 머리카락 쥐어뜯으며 거칠게 싸우는 여자들의 혈투가 있음에도 영화는 긴장감 속에 유머를 잃지 않는다. 엄마와 두 명의 여자들에 의해 남성성을 박탈당한 채 순응하며 사는 쇼조의 캐릭터는 전후 일본 사회의 새로운 방향성으로 읽히기도 한다. 군국주의 시대의 극한의 남성성은 변화된 시대에 맞추어 달라져야만 했다. '고양이와 쇼조와 두 여자'에서 관객들은 고도성장기를 맞이하며 변화된 일본의 내적 정체성을 엿볼 수 있다.



*사진 출처: tiff-jp.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