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의 러시아 1891~1991
올랜도 파이지스 지음, 조준래 옮김 / 어크로스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EBS 클래스e에서 조영남 선생이 강의한 '중국 엘리트 정치'를 아주 흥미롭게 보았다. 집단 지도 체제로 국가를 운영하는 중국 공산당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기회였다. 그런데 '혁명의 러시아 1891-1991'을 보면서 중국의 집단 지도 체제는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그 기원은 소련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책은 공산주의 혁명의 종주국이었던 러시아의 근대 100년사를 다룬다. 제목만 들으면 꽤 어렵고 읽는데 시간이 걸릴 것 같은 인문서적 같다. 그 선입견을 저자 올랜도 파이지스는 가볍게 깨버린다. 그는 복잡하고 딱딱한 혁명의 역사를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풀어내서 들려준다. 총 20개의 챕터로 나누어진 작은 주제의 이야기들은 독자를 러시아 혁명의 역사 한 가운데로 초대한다.

  저자는 자세하고 방대한 역사적 사실에 주요 인물들의 개인사를 효과적으로 배치했다. 역사적 인물들의 서간과 전기, 자서전에서 발췌한 자료들은 이 책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자칫 건조하고 지루하게 흘러갈 수 있는 이야기는 그런 인물들의 이야기들이 재미를 더한다. 러시아 혁명의 단초가 되었던 제정 러시아 말기의 상황을 설명할 때, 니콜라이 2세와 황후, 라스푸틴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흥미있게 펼쳐진다. 레닌과 스탈린 체제를 설명할 때는 그 두 사람의 인간적 특성,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떻게 정치 상황을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기술한다. 이런 미시사적 관점이 개입된 역사 서술은 이제는 역사 관련 서적에서 부인할 수 없는 대세인듯 싶다.

  책의 초반부에는 니콜라이 2세의 보수적이고 완고한 정치적 관점이 어떻게 혁명의 불쏘시개로 작동했는지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그가 좀 더 유연하고, 민중을 생각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면 러시아는 급진적 혁명에 이르는 대신에 입헌 군주국의 형태, 또는 좀 더 유화적인 정치 체제를 갖게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역사에 '만약'이란 가정은 무의미하다. 레닌은 제정 러시아 말기부터 축적된 여러 문제들이 터지는 비등점의 시기를 포착했고, 그 기회를 잘 이용할 줄 알았다. 그가 러시아 민중들과 이루어낸 혁명의 과정에는 단지 러시아 내부의 요인만 작동하지 않았다. 1차 세계 대전이라는 외적 요인이 혁명의 위기 상황을 넘기는데 기여했다. 그것은 레닌의 사후에 권력을 용의주도하게 차지한 스탈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스탈린의 독재 체제가 견고하게 구축될 수 있도록 도운 것은 2차 세계 대전이었다. 스탈린은 국내 정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어려움들을 '전쟁'이라는 외적 요인으로 돌려서 소련 국민들의 불만을 억누를 수 있었다.

  저자는 스탈린 사후에 권력을 차지한 흐루시초프의 명암도 세밀하게 조명한다. 흐루시초프는 스탈린 격하 운동으로 스탈린의 어두운 그림자에서 소련 국민들을 끌어내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그의 변덕스럽고 전문성이 결여된 정치 능력은 집단 지도 체제 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마침내 1964년, 브레즈네프가 흐루시초프를 밀어내고 권력을 잡는다. 그는 새로운 변화를 필요로 하는 시대적 열망과는 동떨어진 수구적 인물이었다.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 시장 경제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도, 그 시기를 놓침으로써 소련은 기나친 경제 침체에 들어간다. 나에게 다소 충격적인 사실로 다가왔던 부분은 브레즈네프 시기에 소련의 주류(보드카)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부분이었다. 경제적인 어려움에 더해, 그 어떤 희망도 기대할 수 없는 절망의 정치는 소련 사람들의 일상에 술이 큰 부분을 차지하게 만드는 데에 기여했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정치는 러시아 역사에서 새로운 변화의 기회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저자는 그 한계도 명확히 지적한다. 고르바초프는 그 모든 변화와 개혁의 정책을 '소련'이라는 국가 체제 안에서 이루어낼 수 있다고 믿은 것이 문제였다고 본다. 기존의 소비에트 연방 체제는 이미 수명이 다했는데도, 고르바초프는 지나친 낙관주의와 미봉책으로 급격한 체제 붕괴를 가져왔다. 그 시기는 또한 공산당원과 지배 계층들이 국가 자산을 심각하게 유용함으로써 경제적인 혼란과 부정부패가 시작된 때이기도 했다. 탐욕스럽고 무능력한 옐친은 운좋게 그 혼란기를 틈타 러시아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새로운 러시아를 보여줄 수 없는 인물이었다.

  이 책은 그렇게 러시아 혁명의 100년사를 다룬다. 푸틴은 피와 절망, 실패들로 얼룩진 혁명사의 맨 나중에 등장한 인물로 이 책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책을 읽고나면 오늘날 러시아에서 어떻게 푸틴이 자신의 권력 기반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지 그 기원에 대해 알 수 있게 된다. 그는 제정 러시아 말기의 민족주의와 스탈린의 공포 정치를 절묘하게 결합한 자신만의 독재 체제를 구축했고, 그것은 러시아 국민들에게 매우 익숙한 것이기도 하다. 나는 왜 대다수 러시아 국민들은 푸틴을 반대하지 않는가에 대해서 늘 궁금했다. 이 책은 그에 대해 놀라운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러시아 혁명사에 관심있는 독자들의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