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장의 온도 - 지극히 소소하지만 너무나도 따스한 이덕무의 위로
이덕무 지음, 한정주 엮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월
평점 :
이 책은 이덕무의 소품집 '이목구심서'와 '선귤당농소'에서 고전연구가 한정주가 뽑은 글들을 엮은 책이다. 그리 길지 않은 짧은 글들에 역자의 덧붙이는 글들이 매편마다 들어간다.
이덕무는 북학파 실학자로 영조와 정조 시대를 살다간 이였다. 이 책을 읽다보면 그가 엄청난 독서가였고, 또 글쓰기를 좋아한 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신이 얼마나 책을 좋아하는지, 또 좋은 글은 어떤 글인지, 어떻게 하면 빼어난 글을 쓸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또한 당시 중국을 통해 들어온 온갖 종류의 박물지에 대한 감상평들도 실려있는데,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우습고 황당해 보이는 당시의 과학 지식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책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한 그는 평생을 가난에 시달리며 살았던 모양이다. 그럼에도 그는 가난을 수치스럽거나 불편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글을 읽다보면 세상살이에 초연한 선비의 기상이 느껴진다. 나름대로 자신을 수양하며 얻은 깨달음들도 글로 남겼다. 일종의 수양록, 명상록을 쓴 셈이다. 그 가운데 나에게 가장 인상적인 글은 이러했다.
"원망과 비방하는 마음이 점점 자라나는 까닭은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남이 나를 알아주면 진실로 즐겁다. 그러나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하자. 그렇다고 해도 무엇이 해롭겠는가?"
온마음으로 자신이 원하고 바라는 일을 한다고 해도 그 성과를 반드시 세상과 사람들이 다 알아주는 것은 아니다. 흔들리지 않는 고요한 마음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읽고, 글을 써내려갔던 삶. 돈과 명성에 한눈을 팔지 않고 그렇게 살아간다는 것이 과연 쉬울까? 이덕무의 글에는 그런 것들으로부터 초연한 나름의 담백함과 결기가 느껴진다.
매글마다 덧붙여진 역자의 감상은 이덕무의 글을 온전히 감상하는데 방해가 된다. 장황하고 불필요한 그 글들은 차라리 따로 떼어서 역자의 수필집으로 내는 것이 나을 것이다. 이덕무의 원문을 보조하고 설명하기 위한 각주의 역할을 하지도 못하는 그런 글을 덧붙이는 것은 사족처럼 느껴진다. 그 부분을 비어두고, 글을 읽는 독자들의 감상을 쓰는 곳으로 만드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될 정도다. 이 책에 별점을 더 주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다. 역자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원저자의 글을 빛나게 하는 데에 있어야 한다. 이런 번역 서적에서 그런 끼워넣기 구성은 원문이 가진 가치를 떨어뜨린다. 그럼에도 좋은 이덕무의 글을 만났다는 데에 의미를 두며 책을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