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당신이 날 속이지 않기를 바랬어. 난 늙었다구. 만약 내가 17살 때 이런 사기를 당했다면, 까짓거 돈은 다시 벌면 그만이야.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 당신은 날 죽인 거나 마찬가지야. 내가 모은 돈을 모두 털어간 거라구."

  여자는 자신을 등처먹은 사기꾼 놈팽이에게 그렇게 말한다. 허안화 감독의 2007년작 '이모의 포스트모던 라이프(姨媽的後現代生活, The Postmodern Life of My Aunt)'의 주인공은 중년 여성이다. 영화는 상하이에 살고 있는 이모 예루탕(사금고와 분)을 찾아가는 어린 조카 콴콴의 시점에서부터 시작된다. 콴콴이 바라본 이모는 지독한 구두쇠로 꽤 괜찮은 아파트에서 살고 있음에도 온갖 궁상에 찌든 삶을 살아가고 있다. 비록 사는 모습은 구질구질해 보여도, 이모는 자신이 사는 아파트에서 대학을 나온 사람은 유일하게 자신 뿐이라며 돈푼깨나 있는 이웃들을 경멸한다. 그런 이모에게 답답함을 느끼며 가출해서 자작 납치소동을 벌이는 콴콴. 골칫덩이 조카 보내고 나서 좀 조용하게 사나 싶었는데, 계속해서 이상한 사람들만 꼬인다. 아픈 딸이 있다는 여자를 불쌍해서 집에 데려왔더니, 여자는 딸 병원비 마련한다고 자해공갈일을 벌인다. 공원에서 우연히 만나 서로 친해진 판지창(주윤발 분)은 알고 보니 사기꾼이다. 예루탕은 평생 모은 돈을 다 털린다. 정신적인 공황 상태에서 발을 헛디뎌 큰 부상까지 입은 예루탕에게 화려한 도시의 포스트모던 라이프는 이어질 수 있을까...

  나에게 홍콩 출신의 허안화 감독의 작품은 이 영화가 처음이다. 감독의 다른 작품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그 영화 세계를 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이 영화를 보면, 허안화 감독의 영화적 뿌리가 리얼리즘과 휴머니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모의 포스트모던 라이프'의 시작은 매우 코믹하다. 돈을 아끼려고 한여름에도 냉장고를 쓰지 않고, 온집안의 전기 코드를 빼놓고 사는 이모. 그뿐인가? 준법 정신은 얼마나 투철한지, 동네 가게에서 길바닥에 생선 찌꺼기 버리는 것을 보고 공안에 즉각 신고한다. 그런 이모의 도시 생활은 꽤나 팍팍하다. 이웃의 소개로 얻은 부잣집 아이의 영어 과외 자리는 시대에 뒤떨어진 영국식 억양이라며 잘린다. 구두쇠이기는 해도 따뜻한 품성을 가진 이모를 그 도시의 사람들은 이용해 먹으려 든다. 이모의 삶은 전혀 '포스트모던'스럽지 않다. 가치관은 시대에 뒤떨어져 있고, 삶은 구질구질하기 짝이 없으며, 사기꾼이 등처먹기 쉬운 어수룩한 중년의 여자일 뿐이다. 빛처럼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도시, 나아가지 못하고 과거에 멈춰있는 나이든 여자, 이 영화의 외피는 코미디이지만 그것을 한꺼풀 벗기면 관객은 곧바로 엄혹한 현실로 진입한다.

  낙상 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예루탕에게 딸이 찾아온다. 너절한 놈을 남자 친구라고 데려온 딸은 엄마 간호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 오히려 자신과 아빠를 버린 비정한 여자라면서 맹비난을 퍼붓는다. 예루탕의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딸의 입에서 나온 말을 들어보니, 예루탕은 10년 전에 시골에 어린 딸과 남편을 내버리고 상하이로 와서 자신의 삶을 꾸려갔다. 영화 속에서는 자세히 나오지 않지만, 대학을 나온 예루탕이 일자무식의 노동자 남편과 결혼한 건 아마도 문혁 시기의 하방(下放)운동으로 인생이 어긋나서였을 것이다. 무지렁이 남편과 그 사이에서 낳은 딸을 인생에서 지우고 새출발을 하기 위해서 온 도시 상하이. 그나마 이어가던 도시의 삶은 사기꾼에게 돈을 털리고 나자 산산조각이 난다. 딸과 함께 시골로 돌아가는 예루탕이 차 안에서 바라보는 상하이의 밤은 화려한 불빛으로 어지럽다. 도시의 눈부신 밤과 늙은 여자는 더이상 함께 할 수 없다.

  이 영화에 흐르는 정서를 젊은 관객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영화는 중년의 여인에게 닥친 위기를 통해 늙어감과 그 비애를 담고 있다. 감독 허안화는 급변하는 도시와 그 삶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구세대가 겪는 혼란과 어려움을 상하이라는 고도로 상업화된 도시와 대비해서 보여준다. 영화 초반에는 그렇게 나이들어 보이지 않던 이모는 사기를 당하고, 온몸이 부서지는 부상을 겪으면서 머리가 하얗게 세어버리며 확 늙은 모습으로 변한다. 젊음과 영악함, 냉정함을 갖추지 못한 이모는 애초부터 거대한 도시의 삶에 맞는 이가 아니었다. 도시에 처음 왔을 때 품었던 꿈들은 사라졌으며, 몸은 늙어버렸고, 어렵게 모은 돈은 사라졌다. 어떻게 할 것인가? 여자는 자신이 버렸던 그 시궁창과 같은 과거의 삶으로 다시 돌아간다. 나이든 관객들에게 이모의 포스트모던 라이프의 몰락은 공포 영화처럼 보일 법도 하다. 그들에게 이 영화는 늙어감에 대한 고통스러운 성찰을 선사한다.

  이모 역을 연기한 사금고와의 연기가 매우 좋다. 젊음과 미모가 없이도 화면을 장악하는 꽉 찬 감정의 연기가 영화 전체를 관통한다. 사기꾼 역으로 나온 주윤발의 연기는 뻔한 듯 하면서도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유들유들하고 뻔뻔한 그의 모습을 보고 있으려니, 저 사람은 배우가 되지 않았다면 천하의 사기꾼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싶기도 하다. 마지막에 떠나는 장면에서 트렌치 코트 휘날리는 뒷모습까지 매력이 흘러넘친다. 배우들의 충실한 연기와 함께 히사이시 조가 담당한 영화의 음악도 흘려버릴 수 없다.    



*사진 출처: itpworldwordpress.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