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형편없는(lousy) 결정이야!" 


  마리의 부모는 모두 농인()이다. 정상으로 태어난 마리는 결혼을 했는데, 자신의 아기가 들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언어치료사인 마리는 새로운 치료 방법인 인공와우 수술을 자신의 아들에게 해주려고 한다. 그런 마리의 결정을 부모는 이해하지 못한다. 인공와우 수술은 위험하며 그 결정이 형편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수술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믿는 마리의 뜻은 단호하다. 남편 크리스도 마리의 결정에 찬성한다.


  크리스에게는 농인인 형이 있다. 형 피터는 농인인 부인 니타와의 사이에서 아이 셋을 두었는데, 아이들 모두 농아다. 이제 5살이 된 첫째 딸 헤더의 인공 와우 수술 여부를 두고 피터와 니타 부부도 고심한다. 피터의 부모는 손녀 헤더의 미래를 위해서 수술을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피터와 니타는 인공 와우 수술이 아이를 더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라며 내켜하지 않는다. 그 과정에서 피터는 자신의 뜻에 반대하는 부모와 갈등을 겪는다. 과연 헤더는 인공 와우 수술을 받을 수 있을까?


  조쉬 애런슨 감독이 2000년에 만든 다큐 'Sound and Fury'는 인공 와우 수술을 두고 농인 가정에 일어난 갈등과 대립을 담아낸다. 당시의 미국에서 인공 와우 수술은 청각 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막 저변을 넓혀가던 시기였다. 다큐를 보면 그 신기술을 두고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부에서도 의견이 양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공 와우를 귀에 삽입하는 침습적 수술 방식에 농인들은 두려움과 거부감을 느낀다. 피터와 크리스 형제 가족들에게 닥친 갈등과 대립의 시작도 바로 그 수술 때문이었다. 농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는 피터와 니타 부부는 헤더에게 수술이 필요없다고 마음을 굳힌다.


  "그건 네가 해야할 결정이 아냐. 헤더가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구!"


  헤더의 할머니는 그렇게 외친다. 그러나 피터의 뜻은 확고하다. 딸의 미래를 위해 가장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은 부모인 자신이며, 자신의 결정은 수술을 해주지 않는 것이라고 말한다. 아내 니타도 피터와 뜻이 같다. 농인의 정체성을 가지고도, 직업적 성취를 이루고 행복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믿는다. 부부에게는 가족의 화합도 중요하다. 헤더가 들을 수 있게 되면 듣지 못하는 자신들에게서 멀어질 것이라며 염려한다. 부부 일심동체라는 말을 이 다큐에 나오는 피터와 니타 부부만큼 잘 보여주는 이들도 없을 것이다. 그들은 동생 크리스 부부의 결정을 비난하고, 헤더의 조부모와도 극렬히 대립한다. 아이의 인공 와우 수술 문제를 두고, 이 가족은 극심한 분노와 논쟁에 휩싸인다. 


  아니, 듣지 못하는 딸에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수술을 해주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지금 시점에서 이 다큐를 보는 이들은 아르티니안 가족에게 불어닥친 분노와 갈등의 광풍(fury)을 보는 것이 굉장히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인공 와우 수술이 지금은 표준적 치료 방법이 되었지만, 이 다큐가 만들어진 20년 전에는 획기적인 신기술로 그에 대해 의구심과 불안이 팽배했었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아이의 수술 결정을 두고 벌어지는 가족 갈등은 정상인과 농인의 현실 인식,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 내부의 갈등과도 같은 여러 층위의 요인들이 겹쳐 있다. 


  "몸 속에 그런 이상한 기계를 집어넣는 건 생각만 해도 끔찍해요."   


  새로운 것은 두려움을 불러일으킨다. 피터와 니타 부부는 헤더에게 수술이 필요없다고 결론을 내린다. 그러나 헤더의 할머니는 헤더에게 수술을 해주지 않기로 결정한 아들 내외를 인정할 수 없다. 맹렬히 대립하며 극심한 논쟁을 이어가던 끝에 피터는 결국 '분리'를 택한다. 피터 부부는 살던 뉴욕을 떠나 메릴랜드로 이사해 버린다. 헤더는 농아 학교에 다니게 하고, 부부는 가족과 단절된 채 그곳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지낸다.


  다큐는 그렇게 끝나버린다. 정말 딸에게 수술 안해주고 살게 할 건가? 피터와 니타 부부의 그 완고하기 짝이 없는 믿음과 결정은 보는 이로 하여금 분노와 한숨을 내쉬게 만든다. 본질적으로 그들 부부는 아이가 들을 수 있게 되면 가족과 멀어질 거라는 두려움을 갖고 있다. 아이에게 수술이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보다는, 정체성의 혼란과 완벽한 정상인이 될 수 없다는 좌절감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생각을 하는 그들 부부가 못 배운 사람도 결코 아니다. 좋은 교육을 받았고, 중산층으로서 여유있는 생활을 꾸려가고 있다. 


  과연 아이의 미래를 위해 어떤 중요한 선택을 해야만 할 때, 부모가 취해야할 최선의 태도는 무엇일까? 'Sound and Fury'는 청각 장애인 부모가 아이의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거기에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여러 복잡한 요인이 개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모가 자신의 살아온 경험과 가치관에만 의지할 때 얼마나 편협하며 무모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피터 부부의 모습을 보면서 알게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려 있는 마음으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숙고하는 자세임에도 그 부부는 그렇지 못했다. 그 결과, 수술을 받고 싶어하는 헤더의 마음도 제대로 헤아릴 수 없었다.


  헤더는 그 후 어떤 삶을 살았을까? 감독 조쉬 애런슨은 사람들로부터 이 가족의 후일담에 대한 수많은 질문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Sound and Fury: 6 Years later(2006)'를 만들었다. 헤더는 다큐가 나온 이후 3년 뒤인 9살 때에 인공 와우 수술을 받았다. 피터와 니타 부부는 수술을 받고 싶다는 헤더의 뜻을 받아들였고, 결국 마음을 바꿨다. 2006년에 만든 다큐에서 중학생이 된 헤더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삶 속에 새롭게 적응하며 잘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술로 변화된 딸을 보며 니타도 인공 와우 수술을 받았다. 그들 가족은 수술을 두고 벌였던 극심한 분열과 갈등을 봉합했다.


  헤더는 이후 조지타운 대학과 하버드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현재는 법조인이 되기 위한 경력을 쌓아 나가고 있는 중이다. 다큐 'Sound and Fury'는 청각 장애인 가족에게 일어난 갈등의 여정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 사이의 가치관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가져올 수 있는 결정의 파장을 들여다 본다. 결국에는 소통과 이해가 분쟁을 풀어가는 가장 중요한 열쇠임을 관객들은 깨닫게 된다.



*사진 출처: aronsonfilms.com 

 


*내일은 글 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