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해'는 영화 공부를 시작하던 첫해에 들었던 과목이었다. 영화의 뼈대를 이루는 아주 기초적인 내용들, 예를 들면 쇼트와 시퀀스, 영화에서의 방향성, 뭐 그런 것들. 방향성을 배울 때 예시로 나왔던 영화는 신상옥 감독의 '벙어리 삼룡이(1964)'였다. 삼룡이 역을 맡은 김진규가 집 마당에서 바깥으로 내달리는 장면이 있었는데, 쇼트가 바뀌어도 그 달리는 방향이 일관성이 있어야 관객은 안정감을 느낀다는 내용. 그 밖에 많은 유명 영화들이 수업의 교재가 되었다. 때론 뮤직 비디오도 나왔다. 그 가운데 어떤 가수가 나온 장면이 있었다. 키가 꽤 큰 남자 가수가 자신의 체구보다 훨씬 큰 흰색 양복을 입고, 고개를 비둘기처럼 까딱까딱 앞뒤로 흔들면서 노래를 불렀다. 나를 비롯해 다른 학생들에게도 그 가수의 노래며 퍼포먼스는 기이하고, 좀 웃기기도 하고 그렇게 보였었다. 그 지직거리는 화면 속에 나온 밴드의 이름이 'Talking Heads'라고 나중에 교수가 알려줬다. 아주 오래전의 이야기다.


  조나단 드미의 다큐 'Stop Making Sense(1984)'를 보고 나서야, 그 수업 시간에 봤던 장면이 이 다큐의 도입부라는 것을 알았다. 어떤 영화들은 그렇게 오랜 시간이 흘러서 우연히 다시 만나기도 한다. 이 다큐는 토킹 헤즈가 1983년 12월에 Hollywood Phantages Theater에서 3일간 공연한 장면을 편집한 것이다. 다큐의 제목 'Stop Making Sense'는 그들의 앨범 'Speaking In Tongues' 수록곡인 'Girlfriend Is Better'에 나오는가사다. 공연은 리드 보컬 데이비드 번(David Byrne)의 열창과 놀라운 퍼포먼스, 그리고 밴드 구성원들에게 뿜어져 나오는 흥과 열정으로 가득 차 있다. 나처럼 토킹 헤즈에 대해 말그대로 '1도 모르는' 사람이 봐도 흥겹다. 대중성과 전위적 혁명성, 그 두 세계 사이의 어드메에 위치하고 있는 그들의 음악은 기괴하면서도 놀랍다.


  1시간 반 가량에 이르는 이 다큐를 보고 나서 고민에 빠졌다. 내가 잘 알지 못하는 분야와 사람들에 대해서 뭐라고 써야 하나? 그럴 땐 달리 방법이 없다. 그냥 파보는 수 밖에. 토킹 헤즈 밴드의 역사, 멤버 구성원들, 특히 데이비드 번은 어떤 인물인지도 자료를 찾아 본다. 다큐에서 첫곡 'Psycho Killer'를 부를 때 딱 알아봤지만, 역시 이 양반도 그냥 보통 사람은 아니다. 노래만 부른 게 아니라 희곡도 쓰고, 영화음악도 만들고, 뭐 무슨 공연에서 연기도 하고 아무튼 예술적 감성 충만한 삶을 살아낸 이였다. 독특한 자기 초상 사진을 찍은 사진 작가 신디 셔먼하고 한때 연인 사이로 지내기도 했고.


  그런데 사실 'Stop Making Sense'를 보면서 내 눈길을 끌었던 사람은 따로 있었다. 기타를 들고 춤도 추고, 노래(두번째 곡 'Heaven')도 부르며 건반도 연주하는 여성 베이시스트 티나 웨이마우스(Tina Weymouth)였다. 예쁘장한 외모의 여성 뮤지션이 넘치지 않는 절제된 감성으로 밴드 멤버들과 어울려 멋진 공연을 펼치는 것을 보며 궁금증이 일었다. 데이비드 번과 연인 사이인가, 하는 생각을 잠깐 했더랬다. 그런데 티나의 연인이 밴드에 있기는 했다. 드럼을 맡은 크리스 프란츠. 그 두 사람은 이미 1977년에 결혼한 사이였다.


  그 당시에도 인기있는 여성 가수들이 있었지만, 남자들의 전유물처럼 보였던 록 밴드에서 여성 멤버는 좀 더 눈에 띄고 독특하게 보였다. 다큐는 어떤 면에서 데이비드 번의 원맨쇼인 것도 사실이다. 실질적으로는 토킹 헤즈가 그 자신이고, 데이비드 번이 토킹 헤즈이기도 하니까. 그는 밴드의 중심이었고 그가 다른 분야의 창작 활동으로 외도하는 동안 밴드는 정체기에 들어갔다. 결국 그렇게 쌓인 멤버들의 불만으로 밴드는 1991년, 해체의 수순을 밟는다. 토킹 헤즈가 해체된 이후에도 티나는 남편과 함께 자신의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뭐랄까, 지금의 여성 뮤지션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는 선배의 삶을 살았다고나 할까, 그런 인상을 받았다.


  티나 웨이마우스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2017년 9월에 'Paper(papermag.com)'매체와 인터뷰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여성 뮤지션으로 자신이 살아온 삶에 대한 나름의 회고가 실려있었다. 자신의 경력에서 빼놓을 수 없는 토킹 헤즈의 시절에 대한 이야기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밴드 초창기에 데이비드 번이 베이시스트를 2년 동안 구하지 못해서 고생했는데, 보다못한 티나가 직접 기타를 사서 독학을 했었다고 했다. 그런 자신이야말로 진정한 펑크의 정신을 실현했다고 자평했다. 밴드가 유명해지기 이전, 이런저런 고생을 할 때 티나에게는 일종의 살림꾼 역할까지 맡겨졌다. 로드 매니저처럼 밴드 일정 관리하고 멤버들 다독이며 그렇게 지냈던 것이다.


  그렇게 밴드에 투신했음에도 리더였던 데이비드 번은 티나를 박하게 대했다. 티나는 밴드의 일원이 되기 위해 번에게 3번이나 오디션을 봐야했는데, 그것은 다른 멤버들은 하지 않는 일이었다. '이 바닥은 여자에게 험한 세계이므로, 여성의 역할이 대단할 필요는 없다'고 그는 티나에게 말했다. 그런 데이비드는 뭔가 일이 안풀릴 때마다 티나에게 성질도 꽤나 부렸던 모양이다. 자신의 부인이 그런 대접을 받아도 남편 크리스에게 별 뾰족한 수가 있었을 것 같지도 않다. 데이비드 번이 밴드 얼굴이나 마찬가지인데 뭐 어쩌겠는가. 티나는 그 모든 것을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버텼다. 그러나 세상은 티나를 뛰어난 뮤지션이 아니라 토킹 헤즈의 부속품처럼 바라봤다. 티나가 했던 언론 인터뷰의 대부분은 데이비드 번에 대한 질문이었고, 자신은 그때마다 아주 잘 대답해주었다고 했다. 어쨌든 자신은 '여성' 기타리스트가 아니라, 오직 자신의 음악과 '뮤지션'으로 인정받길 원했다고 인터뷰 말미에 덧붙였다. 티나는 토킹 헤즈의 멤버로 2002년에 락 음악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티나의 인터뷰를 읽고 나서 내가 봤던 'Stop Making Sense'를 떠올려 보니, 뭔가 다르게 보였다. 그 공연에서 잘 보이지 않았던 어떤 무언가가 새롭게 다가오는 느낌이었다. 이 다큐의 관객들은 리더 데이비드 번이 보여주는 독창적인 음악 세계와 무대 매너에 매혹당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 공연은 전적으로 그만의 것은 아니다. 밴드 구성원들과 서브보컬을 맡은 두 명의 여성 흑인 멤버들 모두 하나가 되어 열정적인 공연을 만들어 간다. 


  그리고 관객들을 빼놓을 수가 없다. 굉장히 에너지가 넘치는 공연이었음에도 관객들이 무척 점잖다고 해야할지 매너가 무척 좋았다. 흥겨워서 객석에서 추는 춤도 너무 얌전하다고 생각할 정도였으니까. 심한 괴성을 지르거나 뭘 내던지고 그러지도 않았다(마지막 부분에 손수건인지 뭔가가 날아다니기는 했다). 인상적이었던 것이 꼬마 관객도 있었던 점인데, 꼬마가 흰색 유니콘 인형 들고 신나서 흔드는 모습이 참 좋았다. 이 공연은 모든 것이 마치 중용의 미덕을 보여주는 것 같다. 누군가 이 공연을 보고 쓴 짧은 댓글이 기억난다.


  "데이비드 번은 방금 정신 병동에서 탈출한 것 같은 모습인데, 매우 침착하게 행동한다."


  진짜 그랬다. 마치 영혼 가출한듯이 노래 부르고 춤도 추는데, 데이비드 번은 아주 절제된 무대 매너를 보여준다. 조나단 드미는 그 공연 현장의 모든 것을 빠뜨리지 않고 꽉꽉 눌러 담았다. 특히 이 다큐는 편집이 무척이나 빼어나서, 도무지 뭘 이어붙였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신기에 가깝다. 


  토킹 헤즈 팬이야 이 다큐는 두고두고 돌려보는 것이겠지만, 이런 음악에 문외한인 관객들에게도 'Stop Making Sense'는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선사한다. 내게는 이 다큐에 나온 여성 뮤지션 티나 웨이마우스의 존재를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어떤 다큐멘터리를 만나는 것은 그렇게 가려진, 잘 알려지지 않은 무언가를 발견하게 되는 여정이기도 하다.



*사진 출처: burningthecelluloid.com(뒷 부분에 보이는 인물이 티나 웨이마우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