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이 없이 영화를 볼 때가 가끔 있다. 영어로 된 영화를 자막 없이 볼 때도 있고, 오래된 일본 영화도 종종 그럴 때가 있다. 대충 아는 언어로 영화를 보는 것이 쉬울 리가 없다. 그래도 좋은 영화들에는 '흐름'이라는 것이 있어서 관객이 자막이라는 보조 도구가 없어도 따라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시부야 미노루 감독의 1952년 영화 '금일휴진(本日休診)'의 경우도 그랬다. 영어 자막을 도저히 구할 수 없어서, 일본어 자막을 띄워놓고 드문드문 알아듣는 일본어를 꿰맞추어가며 봤다. 코미디 장르라 그런가, 회화가 그리 길거나 어렵게 들리지는 않는다. 게다가 이 영화는 나름의 괜찮은 흐름을 가지고 관객을 안내한다.


  소도시에서 작은 병원을 하는 야츠하루 선생은 조카에게 원장 자리를 물려준 지 1년이 되었다. 그것을 기념하며 하루 휴진을 하는데, 아침부터 병원은 부산스럽다. 제대 후 정신이 이상해져서 수시로 소리지르며 발작하는 퇴역 군인 유사쿠를 진정시켜야 했던 것. 그렇게 한숨 돌리고 났더니 다음에는 경찰이 강도를 당한 유코라는 아가씨를 데려온다. 병원에는 야츠하루 선생을 찾는 사람들이 계속 이어진다. 출산이 임박한 가난한 임산부도 살펴봐야 하고, 도박을 못하게 해달라며 손가락을 마비시켜주는 주사 놔달라는 야쿠자도 온다. 평온한 은퇴의 일상을 꿈꾸는 야츠하루 선생에게 휴진이 가능한 날이 오기는 올까...


  시부야 미노루의 '금일휴진'은 1949년에 나온 이부세 마스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장르는 코미디이지만, 이 영화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웃음 뒤에는 당시 소시민들의 삶의 애환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아마도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는 것으로 추정되는 퇴역군인 '유사쿠'가 그 대표적인 인물일 것이다. 툭하면 큰소리로 군가를 부르고 소리를 지르는 유사쿠를 야츠하루 선생을 비롯해 동네 사람들은 따뜻하게 보듬는다. 이 영화에서 유사쿠의 존재는 전후의 상흔이 제대로 치유되지 않고 공동체 안에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그런 정신적인 고통에 더해 소시민들의 삶은 가난하고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버려진 기차에서 아이 넷을 데리고 사는 부부에게 다섯째 아이가 태어난다. 작은 배를 집으로 삼아 살아가는 이들도 있다. 영화 내내 야츠하루를 찾는 환자들은 '병원비' 걱정을 한다.


  야나기 에이지로가 분한 의사 야츠하루는 무척이나 인간적이고 소탈하다. 돈 걱정을 하는 환자들에게 따뜻한 말로 괜찮다며 안심시키고, 계란 몇 개를 진료비 대신 받아도 웃는다. 어떤 경우에도 환자들의 왕진 요청을 외면하는 법도 없다. 뺀질거리는 동네 도박꾼에게 맹장수술을 해줬더니, 패거리는 병원비를 내지 않고 도망가면서 병원 리어카까지 훔쳐간다. 그런 일을 겪어도 야츠하루는 낙담하지 않고 환자를 성심성의껏 돌본다. 말하자면 인품이 좋은 큰어른 같은 인상을 준다. 정신이 이상해져서 때론 날뛰는 유사쿠를 진정시키고 그의 기행(行)을 가장 잘 받아주는 것도 야츠하루 선생이다. 어쩌면 그 마을 사람들에게 야츠하루는 정신적 버팀목 같은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금일휴진'은 그렇게 의사 야츠하루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사건들 속에서 전후 일본 소시민의 삶을 보여준다. 전쟁의 후유증은 여전히 남아있지만, 보통의 평범한 일본인들은 그것에서 조금씩 벗어나 새로운 희망과 행복을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화의 원작 소설을 쓴 작가 이부세 마스지의 시선은 하층민들이 겪는 가난과 고통에 촛점을 맞춘다. 그는 원폭 피해자의 일기를 통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검은비(黒い雨)'를 쓴 참여적 작가이다. 이마무라 쇼헤이가 1989년 만든 영화 '검은비'는 바로 마스지의 소설이 원작이다. 그런 원작자가 쓴 '금일휴진'에서 유사쿠 캐릭터가 갖는 상징성이 전쟁의 고통 그 자체라는 것을 관객들은 직관적으로 인식한다.


  영화의 마지막에 유사쿠는 해질녁에 다시 발작을 일으켜서 야츠하루를 비롯해 마을 사람들을 공터에 불러모아 놓고 연설을 한다. 그때 하늘에는 먼곳으로 향하는 기러기 떼가 지나간다. 그리고 새들을 바라보는 그들의 얼굴에는 희미한 미소가 번진다. 특히 유사쿠는 감동을 받아 평온해진 표정을 짓는다. 함께, 그리고 자유롭게 어딘가를 향해 날아가는 새들을 바라보며 그들은 어떻게든 그 고난의 시간이 지나가기를 소망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게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전후 소시민들의 삶의 애환, 거기에 함께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가려는 희망의 의지를 발견한다.



*사진 출처: commons.wikimedia.org



*내일은 글 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