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EBS 클래스 e에서 박중근의 '90년생과 일하는 법'을 보고 있다. 강의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리더의 위치에 있는 '꼰대' 70년생이 어떻게 하면 '자기 중심적'인 90년생과 더불어 잘 일해나갈 수 있는지를 다룬다. 강의의 외피는 회사의 인적 관리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뭔가 세대 분석론 같기도 하고 의외로 재미가 있다.


  가끔 주변에서 듣는 요즘 회사의 풍경은 확실히 낯설게 느껴지기는 한다. 부하 직원에서 일을 시키면 이렇게 대답한다고 한다.


  "생각해 보구요."


  생각해 보고, 그 업무를 할지 말지 결정하는 세대. 내가 들은 또 다른 이야기는 이렇다. 상사는 물론 동료와의 대화 녹음이 일상화 되어서, 조금이라도 본인의 이익을 침해하거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인사팀에 발췌한 녹음 파일을 보낸다고 했다. 그렇게 쏟아지는 고발 때문에 인사팀에서는 속된 말로 '돌아버릴 지경'인 듯하다.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녹음 기능이 요새는 그렇게 쓰이는가 보다. 하긴, 요새 대학생들은 강의 시간에 필기를 안 한 지 오래고, 많이들 녹음을 해간다고 듣기는 했다.


  다큐 'The Social Dilemma(2020)'를 보면서 그 90년생들을 떠올렸다. 그들의 성장기에 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세대적 특성을 규정하는 데에 특별한 역할을 했을 것도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소셜 미디어로 무엇이든 즉시 연결되며, 소통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런 연결망 안에서 자신을 둘러싼 세상이 완벽하게 잘 돌아가야 한다는 믿음. 그런 사고방식을 가진 이들과 아날로그 시대를 거쳐온 기성 세대들이 같이 일하면서 겪는 갈등은 비단 한국만의 경우는 아닌 모양이다. 외국의 회사들도 비슷한 세대 갈등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다큐는 거대 소셜 미디어 회사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이 이용자의 정보를 토대로 극도의 상업적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고 있는 문제를 다룬다. 끊임없이 이용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그 과정이 마치 마약에 '중독'되는 것과 비슷하며, 그것을 이윤 창출의 상업적 방편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회사들의 비윤리성을 지적한다. 그것을 막으려면 정부의 정책적 규제, 그리고 이용자 스스로 자신의 주의력을 분산(distraction)시키는 그런 소셜 미디어에 비판적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써놓고 보니 참 단순한 요약 같지만, 다큐에서 제기하는 소셜 미디어의 주요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일은 어렵고 암울해 보인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주 연령대인 십대에서 정서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주의깊게 다룬다. 이 부분은 심리학에서 아주 관심있게 연구하고 있는 주제들이고, 그 연구 결과들도 많이 나온 상태다. 다큐에서 인터뷰한 실리콘 밸리의 임원들은 자신의 아이들에게 소셜 미디어 이용을 극도로 엄격히 제한, 또는 금지하고 있다고 털어 놓는다. 뭔가 자신들이 만들어 낸 그 도구들이 무서운 괴물의 면모를 가지고 있음을 인정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다큐는 거대 소셜 미디어 회사의 핵심 파트에서 일했던 주요 경영진들, 관련 분야 학자들의 인터뷰들이 주를 이룬다. 그들이 말하는 무거운 이야기들을 보다 쉽게 보여주기 위해 가상의 가족이 등장하는 영화적 설정을 넣었는데, 그 부분도 꽤나 흥미롭다. 한마디로 현재적 시점에서 소셜 미디어의 문제점을 다룬, 아주 잘 만들어낸 시사 다큐라고 할 수 있다.



*사진 출처: thenewsminute.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