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비가 연이어 내리면 평소에는 실개천이던 집근처의 천변은 삽시간에 불어나곤 했다. 그렇게 비가 많이 온 뒤끝이면 천변에는 늘 사람들이 모여서 물구경을 하는 것을 본다. 심지어는 비가 오는 와중에도 우산을 쓰고 나와서 구경을 하는 것도 보았다. 나도 가끔은 산책나가는 길에 궁금해서 먼발치에서 천변의 물이 얼마나 불었는지 보곤 했다.


  물구경을 하러 나온 사람들은 대개 나이든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어느해에는 비가 얼마나 많이 내렸는지, 그해에 그 물에 휩쓸린 사람이 몇명이었는지, 자신이 살면서 본 큰 홍수는 어떤것이었는지, 그런 소소한 이야기들을 읊어대며 흐르는 물을 보고 있었다. 올해처럼 긴 장마가 이어져서 천변이 범람 위기에 갔을 때도 그러했다. 도로 밑까지 천변 물이 불어났는데도, 사람들이 떼를 지어 물구경을 하러 나와 있었다. 아, 대체 물구경이란 것이 무엇이길래 저러는 것일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런가하면 불구경이라는 것도 있다. 어렸을 적 기억이 난다. 지금의 잠실이 재개발되기 이전의 5층짜리 아파트 단지였던 시절, 그곳에서 어느 아파트에서 불이 났다 하면 삽시간에 소문이 퍼지고 사람들은 그곳에 몰려가서 불구경을 했었다. 불자동차라고 하는 소방차 구경을 하려고 아이들도 달려갔다. 사람들은 불난 집에 어떤 사람들이 사는지, 별별 이야기를 하면서 화재가 다 진압된 후에도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것을 누군가의 불행을 단순히 어떤 즐거운 구경거리로 여긴다고 보기만은 어렵다. 어떤 이들에게 이 도시의 삶은 너무나 무료하고 삭막하기 짝이 없어서, 큰 비가 와서 천변이 불어나는 것이나 주변의 화재 사건은 지루한 일상을 뒤엎는 일로 여겨질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구경꾼의 역할을 기꺼이 자청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마지막으로 싸움구경이 있다. 아직도 기억나는 인상적인 일이 있다. 몇년 전의 일로 기억되는데,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있었던 일이다. 어느 늦여름 저녁이었다. 건너편 아파트에서 뭔가 깨부수고 악다구니를 쓰는 소리가 들렸다. 얼마 후 50대 중반으로 보이는 중년의 여자가 나와서 피를 토해내듯 울음을 쏟아내었다. 뭔가를 큰소리로 말했는데, 자세히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자신의 남편과 가족을 향한 원망이라는 것은 미루어 짐작할 수가 있었다.


  거의 난동에 가까운 수준이어서 그 누구도 여자를 말릴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경비조차도 가까이 가질 못하고 멀찍이서 바라보고 있었다. 아파트에서 젊은 남자 둘이 나왔다. 처음에는 그 두 사람이 여자의 가족인가 했는데 아니었다. 아주머니 왜 그러세요, 진정하세요, 하는 말소리가 들렸다. 여자는 아랑곳하지 않고 울면서 악을 썼다. 그러다 나중에는 분을 못이겨 아스팔트 바닥에 머리를 짓찧고 자신의 몸을 마구 때리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위험하다 싶었는지 이십대 후반으로 보이는 젊은 남자가 여자를 감싸안았다. 여자의 울음소리는 점차 잦아들기 시작했다. 그러고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여자는 남자의 부축을 받으며 아파트 안으로 들어갔고, 그 모든 소동은 조용히 마무리되었다.


  베란다에서 그 모든 것을 보고 있던 나는 뭔가 기이한 감동을 느꼈다. 한 인간이 고통스러워하는 다른 인간에게 건네는 아주 단순하면서도 따뜻한 위로를 본 느낌이었다. 그것은 분명 용기가 필요한 일이었다. 그와 함께 분별력이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성별과 연령을 떠나 그런 순수한 위로를 생판 모르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일은 무척 까다롭고 어려운 일이다. 섣불리 그런 시도를 하다가는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오고 불유쾌한 일을 겪을 수 있다. 오늘날 도시에서 살아가기 위해 가장 필요한 덕목은 '무관심'과 '외면'이라고 무의식 속에 각인되어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물구경, 불구경, 싸움구경, 그리고 도시의 구경꾼들. 나도 그 구경꾼들 가운데 한사람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삭막하고 거대한 도시의 어떤 사람들은 그 구경꾼의 역할 대신에 사건 속으로 직접 들어간다. 그들의 온기가 있기에 이 세상은 더 차가워지지 않는 것이란 생각이 문득 스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