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종찬'이라는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예전에 넓은 의미의 의철학, 의과학에 대한 공부를 간단히 하는 와중이었다. 연세 의대 의사학과의 여인석 선생과 더불어 좁은 풀 안에서 거론되곤 하는 이 이름을 올해 말, 다시 접하게 되었다.  

  

 관람기의 형식을 빌린데다 특히 이른바 '자연계' 출신의 의학자가 지성사의 관점에서 현재 한국의 지식 유통의 역사와 그 편중을 다룬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책인데, 앞으로 찬찬히 한 번 훑어볼 생각이다.   

 스노(C. P.Snow)가 "두 문화"(The Two Cultures)를 외친 지 반세기가 훨씬 넘어가는 시절에, '아직도' 문과/이과형 인간을 논해야 한다는 이 씁쓸함과 함께.  

 더불어《한겨레신문》에 게재된 서평을 옮겨놓는다. [UK]

 

 

 

 

@ 이종찬,『파리식물원에서 데지마박물관까지』(해나무, 2009)

 

 

 

 

 

 

  

[목차] 

들어가며 05
 


1부 유럽, 식물이 문명의 기초가 되다

자연의 감각은 교양으로 승화된다 15
파리는 ‘뫼비우스의 띠’이다 29
에덴동산에서 유럽 문명의 감각을 발견하다 46
식물원은 감각의 보고寶庫이다 55
자연사박물관에서 광물은 인간이 된다 70
자연사, 예술, 상업은 삼위일체이다 83
미술은 감각의 박물학이다 100
프러시아의 힘은 과학과 기술이었다 108
세기말 비엔나의 풍경 117
지도는 영토에 앞선다 128
열대의 식물이 유럽의 문명을 만들다 133
 


2부 일본, 박물학이 근대로 나아가다

생물적 본능도 성리학의 규율이 되다 153
불교적 감각이 성리학의 덫에 갇히다 157
유럽은 이과형 지식인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169
미디어는 감각의 확장이다 178
바다의 감각에 빠지다 182
‘오랑캐’가 네덜란드를 오랑캐라고 부르다 196
여행은 감각의 번역이다 202
감각은 이미지로 기억된다 212
깨끗함이 사회적 질서를 만들다 225
튤립이 무역 상품이 되다 234
몸의 감각이 제국의 의학이 되다 240
일본과 유럽, 감각을 소통하다 247
유럽의 감각을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읽다 251 



나가며 - 여행을 통해 ‘열대학’을 추구한다 259

주註 262 

 



 

@ 허미경 기자,〈자연과학, 왜 우리 근대사에서 ‘팽’ 당했나〉,《한겨레신문》(2009년11월 21일)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88904.html

 

 

 

@ 관련 링크 모음:

 

 

 

 

 

 

 

 

 

 

 

 

 

  

 

 

(※ 여인석 선생의 역서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조르주 캉길렘(Georges Canguilhem)의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인데, 아쉽게도 알라딘 상품에서는 표지나 목차 및 책소개가 검색되지 않는다. 아래에 아마존의 서지사항 링크를 붙여놓는다. 

@ Georges Canguilhem, Le normal et le pathologique (PUF; Édition: 11, 2009)

http://www.amazon.fr/normal-pathologique-Georges-Canguilhem/dp/2130575951/ref=sr_1_1?ie=UTF8&s=books&qid=1258943556&sr=1-1  

 

@ Georges Canguilhem, Carolyn R. Fawcett tr.,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Zone Books, 1991)

http://www.amazon.com/Normal-Pathological-Georges-Canguilhem/dp/0942299590/ref=sr_1_4?ie=UTF8&s=books&qid=1258943352&sr=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욕타임즈》의 토론 공간인 <Room for Debate>란에 흥미로운 주제가 올라왔다. 영국의 철학자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의 주저, 리바이어던Leviathan의 히브리어 완역본 출간 소식이 그것.

 주지하듯이 리바이어던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인간("Of Man")과 국가("Of Commonwealth")에 대해 다루는 1, 2부만이 주로 읽힌다. 기사는 3부("Of a Christian Commonwealth")와 4부("Of  The Kingdome of Darkness")와 4부까지 완역된 히브리어 판본이 나오지 않았던 저간의 사정과 홉스 철학에 대한 유대인들의 반응 등을 짤막하게 전하고 있다. 지성사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기사다.  

 참고로 내가 가지고 있는 판본은 에드윈 컬리(Edwin Curley)가 편집한 1994년 해킷 출판사(Hackett) 판이다. [UK]

http://www.amazon.com/Leviathan-Selected-Variants-Latin-1668/dp/0872201775/ref=sr_1_2?ie=UTF8&s=books&qid=1258688073&sr=1-2#noop 

 

 

 

@ "Room for Debate: Hobbes in Hebrew: The Religion Question", The New York Times, November 15, 2009 


William Reese Company, New Haven 

Title page of the first edition of ”Leviathan” (1660). 


“Leviathan” is arguably the most influential work of Western political thought, and one of the most analyzed. Yet the first full Hebrew translation of Thomas’s Hobbes’s work was only published last month. While the first two parts have long been available in translation, the third and fourth parts — in which Hobbes addresses religion and the state — had not appeared in Hebrew.

Of all the universally read works of political philosophy, why has it taken so long to translate all of “Leviathan” into Hebrew? In addition to the significance of the full translation to Hebrew and Israeli scholarship, what more can scholars in the rest of the world learn about “Leviathan,” written in 1660?

 

 http://roomfordebate.blogs.nytimes.com/2009/11/15/hobbes-in-hebrew-the-religion-question/?emc=eta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혁명의 파멸을 예고한 18세기 전통 보수의 목소리
『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에드먼드 버크 지음│이태숙 옮김│한길사│2009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83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식마저 해체되고 새 생명이 솟는다
[이주헌의 알고싶은 미술 21] 클림트와 성

 

 » 클림트, <키스>, 1908, 유화, 180x180cm, 빈 벨베데레궁 미술관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43074.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금융자본 이윤은 산업자본 수탈한 결과물”

 

20세기 초 독창적 경제학자 베블런
“자본은 생산요소 아닌 사회적 권력”
가치창출 없는 금융자본 붕괴 예견

 

 〈자본의 본성에 관하여 외〉
소스타인 베블런 지음·홍기빈 편역/책세상·5900원

 
                                        » 소스타인 베블런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38701.html 

  

 

 홍기빈 씨의 번역으로 베블런의 글이 번역되어 나왔다. 홍기빈 씨는 폴라니에 이어 베블런까지 역서를 냄으로써, 자신의 이론적 입장을 더욱 세상에 분명히 드러낸 셈이다. 다만 ("좌파 신자유주의"까지 진보로 묶이는) 이념 스펙트럼이 협소한 한국의 지형도에서 그 종별성이 얼마나 제대로 인식될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좀 회의적. [UK]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이] 2009-02-15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홍기빈씨의 [아리스토텔레스, 경제를 말하다]란 책을 재밌게 읽은 기억이 있네여. 요즘 열씸히 하시는듯.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