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20여년 전 번역된 바 있는 폴 스위지(Paul Sweezy)의 책,『자본주의 발전의 이론』이 필맥 출판사에서 다시 번역되어 나왔다. 

 《레디앙》에 실린 류동민 교수의 서평을 옮겨놓는다. 차분히 다시 한 번 읽어볼 만한 일이다. [UK]

 

 

 

@ 류동민,〈금융위기가 다시 불러낸 거장의 목소리: [서평] ‘체제 그 자체를 비판한다’…폴 스위지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레디앙》(2009년10월 29일)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60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사주간지《시사IN》에서 흥미로운 특집을 시작했다. 지난 달 말부터 연재된 <진보의 재구성> 특집이 그것. 
 
 특집의 구성과 목적에 대해서는 이종태 기자의 서론을 참고하시면 되겠다. 상당히 포괄적인 의미에서 "진보"를 규정하고 그 스펙트럼을 가독성 있게 조망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을 것 같다. [UK]


 

  


[연재 목차]
 

1. 미국형 사회민주주의(로버트 라이시, 진 스펄링, 클린턴, 오바마)
2. 신케인스주의(폴 크루그먼, 스티글리츠)
3. 북유럽 사회민주주의(비그포르스, 칼레비, 렌-마이드너)
4. 영국 신노동당(기든스, 토니 블레어, 고든 브라운)
5. 자본주의의 다양성(폴라니 등)
6. 근본주의적 혁명론자들(레닌, 트로츠키, 토니 클리프)
7. 포스트 마르크시즘, 자율주의, 노동 거부(네그리 등)
8. 교육과 사회(보울스, 긴티스)
9. 세계 금융위기와 그 대안(실러 대 크로티)
10. 좌담


 

 
 

@ 이종태,〈<진보의 재구성> 연재를 시작하며〉,《시사IN》제103호(2009년 8월 31일)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1

 
 

@ 이찬근 대담,〈탈산업화 대안은 시장 역동성 믿는 미국형 사민주의〉,《시사IN》제103호(2009년 8월 31일)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2

 


@ 정태인,〈세계화의 조건은 자본시장 통제와 고정환율제 복귀〉,《시사IN》제105호(2009년 9월15일)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회계는 세계관이다   

 

회계는 기업의 금융정보를 간략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기술인 동시에 세계관이고 이데올로기다. 금융자본주의 시대 맹위를 떨쳤던 시가회계의 문제점이 폭로되면서 ‘사회적 회계’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00호] 2009년 08월 10일 (월) 14:31:30 구본우 (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시 사회주의를 해야 한다”
[경상대 대안전략 국제학술대회] 현실적으로는 사민주의모델화 가능성 커

 

 

http://www.redian.org/news/articleView.html?idxno=140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케인즈주의는 과연 신자유주의 위기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자본의 반격』 뒤메닐 외 지음┃이강국 외 옮김┃필맥│2006
 

2008년 12월 31일 (수) 14:40:08 강남훈 한신대·경제학 editor@kyosu.net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7529 

 

 

 좀 뒤늦은 감이 있지만, 강남훈 교수가 《교수신문》에 뒤메닐/레비의 책, 『자본의 반격』에 대한 서평을 실었다. 비교적 간략한 내용이긴 하지만, 뒤메닐/레비의 분석이 갖는 장, 단점을 평이하게 짚어주고 있다. [U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