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가을산 > 편하게 읽고자 하는 욕심에...

2001년 여름, 1년 예정으로 미국에 가기 직전에 목공 기초과정을 배울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곳에 가서 필요한 것을 이것저것 만들어 보았는데, 역시 책과 관련된 것들을 자꾸 만들게 되더라구요.

무얼 만들 때는 잡념도 없어지고, 시간은 왜그리 빨리 가는지! 

이번 글에는 우리 아들들이 모델로 등장합니다. ^^



==> 첨으로 만든 탁자입니다. 그냥 배운 대로만 만들었습니다. 보기는 이래도 공부 책상, 작업대, 심지어 식탁으로 수고가 많았던 탁자입니다.

 



==> 정리함입니다.  MDF판으로 뚜껑 없는 정육면체를 만든 것입니다. 앞면의 도안은 아메리칸 인디언들이 돌에 새긴 벽화에서 따왔습니다. 

 


==>  집안의 지저분한 것들을 담아둔 코너입니다. 응접실 한쪽 창가인데, 자투리 목재로 아랫 부분의 수납장을 만들고, 그 위에 정리함을 올려놓았습니다. 이 두 가지 외에는 죄다 빈 종이박스나 우유팩을 사용했고, 그 지저분함을 꽃무늬 천으로 덮었습니다. 가운데 있는 한과 바구니는, 그 안쪽 면을 한지공예로 만들었는데, 돌아올 때 너무나 고마웠던 교포에게 주었습니다.

==> 식탁 한쪽에 올려두었던 서류정리함입니다. 정리안되어 정신없기는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학교 숙제하다가 밥 먹으려면 책들을 마땅히 치울 곳이 없어 만들었습니다.

==> 크크... 저의 회심작! 독서테이블입니다. 의자 폭에 맞추어 테이블의 폭을 정했구요, 바퀴가 달려서 이동이 가능하구요, 이동하는 데 무겁지 않게 하기 위해서 측면에 문양을 파냈습니다. 그리고 목재도 가능한 얇은 걸 썼구요. 테이블은 상하 2단으로 되어 있는데, 아랫 부분은 2중으로 되어 있어서  당기면 자판 테이블처럼 앞으로 당겨집니다. 윗부분은 책을 올려놓는 부분이 독서대처럼 기울기가 조절이 됩니다.

==> 책을 읽지 않을 경우에는 한쪽 벽에 붙여 놓습니다.

==> 제가 고안한 쿠션 독서대입니다.  의자에 앉아서 책을 읽을 때, 책을 들고 읽자니 팔이 아프고, 그렇지 않으면 목이 아프거나 자세가 나빠집니다. 그리고 메모를 겸할 때면 무언가 단단한 받침이 있으면 좋겠구요...  그래서 궁리를 하게 되었는데요.. 오른쪽 초록색 형태의 테이블(?)은  기성품도 있습니다. 자알 찾아보면 어디선가 팝니다. 이 기존 형태의 테이블에 독서대의 기능을 추가해서 왼쪽의 갈색 쿠션 독서대를 만들었습니다. 


작은애가 모델이 되어 시범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래는 쿠션을 만들고, 윗면은 목재를 이용해서 만든 후에 목재 가장자리에 구멍을 낸 후 바느질 혹은 단추, 찍찍이 등을 이용해서 쿠션과 붙입니다. 간단히 하려면 쿠션을 먼저 사고, 그 크기에 맞추어 목재를 만들면 될겁니다.

그저 책을 편하게 읽으려고 이리저리 궁리를 해서 만들었는데, 쿠션 독서대나 독서 테이블의 단점을 발견했습니다.

문제는 너무 편한 자세가 되어버려서 책을 오래 읽지 못하고 잠들어버리게 된다는 겁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바위 2003-12-03 15: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대단한 분이죠? 지나다가 우연히 발견하고 감탄을 넘어서서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감동적이었습니다.

starla 2003-12-03 2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 다른 의미에서 경악을;; 아드님들이 너무 잘생겼네요... 뜨아... 귀여워라 >_<

digitalwave 2004-01-07 09: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쿠션 독서대와 독서 테이블... 정말 탐나는군요. 쓰읍~

dd 2008-12-21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
 
 전출처 : 글샘 > 랄프 왈도 에머슨의 '성공'에 대한 정의

자주 그리고 많이 웃는 것.
총명한 사람들의 존경을,
아이들의 애정을 받는 것.
솔직한 비평가들의 칭찬을 받는 것.
거짓 친구들의 배신을 참고 견디는 것.

미를 감상하는 것.
다른 사람에게서 최선을 발견하는 것.
그대가 있었기에 한 생명이라도
좀더 수월하게 숨을 쉬었다는 사실을 아는 것.
이런 것이 성공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바위 2003-11-28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 왔다. 특히, 웃는 것과 타인의 최선을 발견하는 것, 그리고 총명한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것이 성공이라는 데 공감한다.
 

<차이코프스키 5번>. 내가 Eroica 2악장과 탄호이저 서곡, 차이코프스키 비창, 모차르티 레퀴엠 같은 곡들을 좋아한다고 하니까 `영웅적인 곡들을 좋아하는군요` 하면서 동아일보 음악담당 Y 기자가 추천해준 음반이다. 그런데 두 번을 시도했는데 두 번 다 한밤중에 틀어놓고 귀 기울이다가 깊고 깊은 잠에 빠져들고 말았다. 아...왜 추천해 줬을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arla 2003-11-29 0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 원래 추천이란 게 잘 맞는 쪽이 이상한 거라고도 생각합니다. 쿠쿠쿠...

도넛 2003-11-29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아일보 음악담당 Y 기자? 혹시 제가 열광하는 그 Y 기자? 오오...

`영웅적인 곡들을 좋아하시는군요`라는 코멘트가 매우 인상적입니다. 혹시 추천의 문제가 아니라 한밤중에 들어보신 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지요 ;;; 저라면 한달쯤 뒤에 낮에 다시 들어보겠습니다만... 아무튼 Y 기자님 늘 멋져요!

p.s. 편집장님, 무사히 도착하셨군요 ^^

배바위 2003-12-01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도전해 볼 겁니다. 1악장 도입부는 좋았거든요.. 비창과도 비슷한 분위기고.. 장중 장엄 유장 비장 웅혼.. 그런데 저의 음악식성은 정체가 무얼까요... 팝은 아는 게 없어서 좋아하는 가수도 없고..국내가요는 체리필터 자우림 윤도현 등을 좋아하니 특색이 팍 드러나내요.. 그런데 이 언더그라운드 출신 락커들과 Eroica, 탄호이저서곡, 비창.. 등의 공통점은 도대체 무얼까요... 게다가 심수봉을 여기에 연결하려면... 저도 해석이 잘 안됩니다..

ceylontea 2003-12-02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베토벤의 피아노협주곡"황제",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어보았다면 멘델스죤의 바이올린협주곡 E단조.. 이렇게 듣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가끔은 바하의 무반주첼로 조곡..
가볍게 듣고 싶을땐 바비맥퍼린의 페이퍼뮤직 앨범..

앗 품절이네요... ㅠ.ㅜ

음... 오늘 생각나는 것은.. 이 정도....입니다..

다음엔 차이코프스키 성공하시기를 바랍니다.


배바위 2003-12-03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베토벤은 대략 다 좋은 것 같습니다. 멘델스존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차이코프스키 5번. 어제 밤에 세번째로 또 실패했습니다. 항상 너무나 똑 같은 대목에서 잠에 빠져드는 것 같아서 다음에는 순서를 바꿔서 한번 들어봐야 할 꺼나... 4악장부터라든지..
 
 전출처 : 도넛 > 11월 27일 요즘 읽는 책

중학교 때였던가.. 아마도 그 이후로 로트렉은 가장 좋아하는 화가 중의 한 명이다. 로트렉의 그림 중에서도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물랑루즈에서 나가는 잔 아브릴', 옆에 보이는 그림이다.

로트렉은 무용수였던 잔 아브릴의 모습을 여러 가지 그렸는데, 이 그림보다 훨씬 유명한 춤추는 잔 아브릴의 모습은 이상하게도 내 마음에는 와닿질 않는다.

그림 속의 잔 아브릴은 화려한 무도의 시간을 보낸 후, 외투를 끌어올리고 손을 찔러 넣고 고개를 약간 숙인 채 걸어가고 있다. 그녀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나는 그녀에게서 일을 마친 자의 보람보다는 흘러가는 인생을 어찌할 수 없는 자의 체념을 읽는다.

얼마 전 <로트렉 : 몽마르트의 빨간 풍차>를 구입해서 읽고 있는 중. 로트렉의 생애는 떠들썩한 소외라고나 할까. 외롭지 않으면서도 외롭고, 빈곤치 않으면서도 빈곤한 생애를 살았던 로트렉은 37세에 세상을 떠났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바위 2003-11-28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 왔다. 그림은 내 스타일 아닌 듯하지만... 참으로 묘~하다...

하루(春) 2004-12-28 0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밧드님께서 읽으신 책이 아니군요. 쩝~ 저도 이 책 읽었는데 그 계기는 영화 '물랑루즈'를 보고 난 후죠. 책.. 정말 재밌게 잘 봤고, 툴루즈 로트렉이란 화가에 대해 확실하게 알게 된 계기가 됐죠. 신밧드님은... 이 책 안 읽으시나요?
 

  • 23일 : 10km. 52분47초. 일요일 해질녁 찬바람 부는 한강가를 달리다가 고가도로 밑에서 길고 두꺼운 외투를 입고 색소폰 연습하는 의지의 한국인 남성을 보다. 아... 나도 고등학교 때는 밴드부에서 트럼펫을 맡아, 한없이 삭막했던 한강가에서 혼자 빽빽 대면서 연습했었는데...  그때가 생각났다. 트럼펫, 꾸준히 불었어야 하는 것이었는데... 대학 다니면서 입술 딱 끊고 말았다. 아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