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 영화제에서 안개 노래가 나오니 탕웨이가 눈물을 훔치던데 

영화가 어땠길래 저렇게 눈물이? 하며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나이 먹고 어디가서 혼자 뭘 하는게 궁상맞아 보여 아직 보지는 못했다.

-----------------------------------------------------------

<헤어질 결심> 이란 영화에 삽입되어 인기를 끈 '안개' 라는 곡이 있다.

지금은 원로 가수 급에 해당하는 정훈희 씨가 부른 곡인데, 우선 곡의 스케일이 크다.

기억하기론 가요제 출품 작으로 거기에 걸 맞는 웅장함(?) 이런 면이 있는 곡이란 뜻인데......


정훈희 씨가 한창 인기를 끌 때만 해도 동네 이발소에서 흘러나오는 비음(콧소리) 섞인 독특한 목소리에

머리를 깎아주던 동네 이발사 형들이 비음이 나올 때 마다 '에휴 저년' 하며 가수에게 욕을 하던 기억이 난다.

아마도 남자의 욕정을 자극하고, 그걸 참아내야 하는 욕구의 분출?

이런게 아니었을까! 그 생각만 하면 지금도 그 시골 동네 이발소 풍경이 떠오른다.

아마도 노래는 '그 사람 바보야' 이런 가사가 실렸던 .... 지금에 비하면 엄청난 가부장적 보수 시대였으니 


요즘 가요가 많은 인기를 끌며 많은 음원도 나오는데 그중 당시의 오리지널 음원이자

녹음도 잘 된 음원이 이 CD 반이다.

원래 LP로 찍어내던 오리지널 8인치 릴 테입의 마스터 음원이 담긴 테입들이,

대부분 폐기가 되는 바람에 (기억 하긴론 CD가 한창 인기를 끌던 시절에 전문지에 

가요 마스터 테입 5천여 개 정도가 폐기되는 사진과 기사가 실렸었다) 제대로 오리지널에서 

녹음된 음원을 찾기는 힘들게 되었으며, 그런 연유로 오래전 인기 끈 요즘 가요 반들이 음질이 좋지 않은건 

복사CD나 복사된 LP 음원을 이용하는 연유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

니콜라디 바리가 부른 '마음은 짚시' 를 들으려고 사 놓은 거지만

요즈음은  '안개' 때문에 종종 꺼내 듣는다.

아무래도 가요는 중역이 중요하니 알텍에서 뿜어져 나오는 맛은 현장감을 느끼게 한다.

이 음반 <안개> 의 감상 포인트는 베이스 기타 부분이다. 때로는 뭉글 뭉글 안개를 피워내 듯이 

지속적으로 연주 하며 가수의 아아아~~~ 하며 안개 속으로 사라지는 여운을 어필해준다.


요사이 가요 반이 리이슈 반에 정체를 모를 음원에, 새로운 취입 반 등 많이 나오는 듯 한데

판매 사이트에서 제대로 정훈희의 '안개'를 들으려면 이 반을 구입하길 바라며 올려본다.


* 당시엔 LP 방송 시대 였으니 이 CD반도 녹음년도 표기로 보아 70년대 오리지널 음원을 바탕으로

  CD로 만든 음반으로 원숙한 젊은 시절 녹음으로 보인다. 실제 첫 녹음은 17살 고 1때 였으니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청음만반독만권서 2022-12-19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967년 고1 때 취입 후 인기를 끌다 소설 <무진기행> 을 영화로 만든 <안개>에 주제 곡으로 삽입되어 당시 40만장 이 팔렸고, 이후 1회 동경 가요제에서 불러 10위 안에 들며 성공한 곡. (당시 스웨덴 그룹 ABBA가 탈락 한 가요제)
 


국내에 재즈 붐이 조금씩 불기 시작하던 80년대 후반에 

그러니까 우리나라 초창기 명반으로 분류되던 모종의 길라잡이 같은 음반으로

마니아 콜렉션의 계보인 셈!


사진은 클릭하면 커지니 저장하셨다가 컬렉션 할 때 구입하시면 좋으실 듯


재즈는 당연이 아메리카 사운드이니, 퓨전 재즈처럼 강한 록 비트가 있을 경우

JBL이나 알텍을 추천하며, 재즈는 해상력을  별도로 크게 요구 받지 않치만

해상력을 추구하시면 솔리드 스테이트형(TR앰프)으로, 

텐션이나 탄력감을 추구하시면 진공관으로 기기를 선택해 보시길


* 본 자료는 개인의 취향에서 나온 자료가 아닌 이미 오래전 폐간 된 전문 잡지 자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흔히들 BTS를 비틀즈에 비교하곤 한다. 그리고 종종 병역 특례가 도마 위에 오르곤 한다.

특례를 주던 안주던 그건 2차로 미루고

일단 비교 대상인 비틀즈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알만한 지식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한국에 팝의 전성기는 70년대이다. 그 시절엔 팝이나 클래식을 들어야 지식인이지 가요는 

3류 저질 취급을 받았으니 지금 생각하면 격세지감!

중략하고

그 시절의 자료를(1977년 자료 / 비틀즈 해산-1970년) 뒤져서 실제 비틀즈를 어떻게 평가 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보자.

객관적 비교 여부는 보는 이의 판단에 맡기기로 하고 말이다. 

추가로 올린 사진 두장은

빌보드지에서 발행한 힛트 챠트 대사전에 있는것으로 1위 곡만 20곡 (** 표시)이고

* 이 하나인 곡은 10위 안에 든 곡이며, 맨 왼쪽 칸이 힛트 시기, 두번 째  최고 순위, 세번째 등재된 주간


* 사진 클릭하면 커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통 lp사이즈는 가로 세로 모두 31.5cmm의 정사각형 형태이고

보관하다 보면 먼지가 쌓이고, 물이나 커피를 엎지르고

오래 사용하다 보면 귀퉁이나 모서리가 헤지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겉에 비닐을 씌워주는데 요즘 나오는 비닐은 두께가 0.1mm급이지만

70년대 처음 비닐이 나올 때는 국내 제품은 없었고, 미제 비닐이라고 하여 두툼한 비닐이 나왔는데

두께는 0.2mm 이다.(각각 버니어 켈리퍼스 측정)


재질은 비슷해 보이는데 폴리에틸렌이나 좀 더 나은 경우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추정된다.

여기선 편의상 비닐로 통칭함.


이 초기 비닐은 두껍기도 하지만 가장 자리를 사진처럼 두툼히 박아 아주 견고하게 포장이 가능하다.

요즘 비닐 제품은 lp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가 대부분인데(단지라고 부름)

이는 방송국에서 편의상 세워서 자켓과 알맹이를 겉으로 내어서 같이 수납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비닐을 위로 세워 자켓과 알맹이 두개를 같이 넣어 두는 방식으로 자켓보고 알맹이 꺼내기 편리)


길이는 요즘 비닐은 32센티 정사각형이 많이 나오는데

개인은 길이가 가로로 36~37센티 급을(장지로 부름)

쓰는게 습성이었다. 입구는 접어서 넣었다.


미제 장지 비닐의 단점은 32센티가 아닌 31.5에 딱 맞춰서 가끔씩 끼우기가 상당히 힘든 점이다.

(반면 국산 비닐은 큰 자켓에 섣불리 넣다가 옆구리가 터지는 단점 - 그래서 크기를 32센티 급으로 한 것)

그래도 감수하고 저런 비닐이 나온다면  구입에 나설 생각이고 ....

누군가 업자 분이 이 글을 본다면 저런 제품으로 짭짤한 힛트 상품을 만들어 팔아 보길 권한다.

31.7 미리 급 정사각형으로 만들어 팔면 될 것이다.


* 사진 위는 실오스틴 것은 국산 0.1미리 급 /  아래 웨더리포트 것은 0.2 미리 초창기 미제 비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며칠 전  우연히 세운상가에 나갔다가, 근처에 옛 소싯적 다녔던 S 레코드사가 남아 있어 둘러보다,

옆 가게로 들어가게 되었는데......

40대 쯤 되어 보이는 젊은이가 재즈 코너에서 자기 스마트폰으로 찍어온

자켓과 대조를 하며 판을 고르고 있길래 .... 

참견을 하기도 그렇고 집에 와 과거의 추억을 소환해 있는 자료를 찍어 올려줘야겠다 마음 먹었다


자료라고 해봐야 이미 폐간 된 출판사의 30년이 넘은 자료이니, 

어째든 이런 자료로 야곰 야곰 알려지며 이런 앨범들이 마니아의 표적이 되었고

요즘에 리이슈 음반으로 3만원 이상의 꼬리표를 달고 나오던데 

혹시라도 LP나 CD구입을 할 생각이면 나름 가치 있는 자료가 되리라고 본다.


혹시라도 좋아요 추천이 10개가 넘는다면 나머지 6장의 사진도 올려 볼 생각이다. 

왜냐하면 그만큼 관심도가 많은 것 일테니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cott 2022-10-02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넘 궁금해서 좋아요💓눌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