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lp라는 것을 아주 귀한 보물이나 고상함의 상징처럼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일명 백판이라 부르는 부트렉(해적판)이라 하여 원반이 수입이 안되던 시절 미군부대 등지에서 흘러나온 원반(가수가 속한 나라의 소속 레코드회사에서 직접 찍어 낸 것)을 가져다 턴테이블을 통해 재 녹음해서 그 녹음본을 가지고 lp레코드를 만들어 팔던 시절이 있었다.


레파토리는 거의 대부분 미국 팝송이었으니 원반 하면 made in U.S.A 가 찍힌 LP반이면 원반이라 불리던 시절이었다

지금처럼 독일 Gramophon이나 영국 DECCA 같은데서 발매한 원반 보다 무조건 미제라면 인정받던 시절이었는데, 그런 시절 지방이나 웬만한 레코드 가계는 전부 이 백판을 팔고 있었고 장당 200원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 당시 국내 굴지의 메이저 레코드 회사에서 파는 라이센스반(외국에서 정식으로 돈을 지불하고 녹음본을 사와 그걸로 찍어내는 방식의 lp)은 레파토리도 다양하지 못했고, 금지곡으로 곡명이 중간에 빠진 음반도 종종 있었으며, 음질도 오히려 백판이 좋다는 품평마저 있었다

백판의 단점은 사용한 원반을 녹음한 거라 잡음이 그대로 녹음되어 처음부터 잡음이 들리는 것이 흠이었다. 당시에 마니아 중에는 음에 심취하다 보면 이 소리를 마치 장작불 태울 때 나는 탁탁 소리로 들린다고 하여 현실과 상상을 혼돈하는 세계관에 빠지기도 하였다

술이나 마약이 온전한 판단의 정신을 가져다 주지 않기에 사회에서 비난을 받듯이, 이렇게 젊은 청춘들은 현실 도피적인 몽환의 상상 셰계를 동경하는 성향이 있어서 자기들끼리 자랑하거나 어떠한 멘탈의 척도처럼 재보는 도구로 가능하기도 하였다

 당연히 어른들은 그거 모아서 돈이 되냐 떡이 되냐 식으로 비판 하면서 잔소리를 하지만 산업 사회의 복잡한 시대가 깊어 갈수록 정신의 고향은 뭔가 도피처를 필요로 하는 듯 한데, 어째든 그렇게 모은 백판도 몇 백장을 넘어가면 또래들의 자랑거리이고 몇 천장 수준이 되면 탄성과 부러움 그리고 알 수 없는 신비함의 대상으로 올려 부치게 되는데, 어찌 보면 이제 막 인생을 시작한 인간에게 인생은 무한한 것처럼 보이고, 인생을 하직하려는 사람에겐 인생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페트라르카의 언급이 생각나게 한다

최초로 중세를 암흑시대라 일컫고, 흔히 최초의 르네상스 인간이라는 그의 언급이니 설득력도 있다 할 것이다. 누구에겐 소중하나 누구에겐 부질없는 것 이라는 ......


 

며칠전엔 세운상가 근처 레코드 상점을 돌아 볼 기회가 있었다. 세운상가 일대가 재개발 되며

먼저 아세아 극장 쪽 부분의 상점들이 세운상가와 대림상가의 빈곳에 다 들어 차다 보니 그나마 유지되던 가운데 통로의 수입 오디오 상가는 상당히 축소된 느낌이 들었다

금새 끝나는 아이쇼핑이 아쉬워 근처 레코드 가게에 들렀는데, 그 두곳의 상점은 J음악사와 S음반도 족히 40여년 이상은 넘은걸로 기억되는데, 요즘 들러보면 CD가 대세이나 리이슈된 LP반도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 저것 둘러보다 팝LP가 놓인 라이센스를 들춰보니 기본이 만원이 가장 싼게 특징이다

웬만하면 모조리 2만원대이니 한편으론 기가 차기도 하고 한편으론 아쉬움도 들고, 들었다 놨다 몇 번을 반복하다 그냥 말고, 어쩌다 LP 가격이 - 그것도 국산 라이센스 가격이 - 이렇게 올라갔는지 도무지 그 원인을 정확히 찾아낼 수가 없다

그나마 짚히는건 수요가 없으면 공급의 가격이 정해지지 않듯이 한 장에 몇 만원씩 하는 반을 무슨 수집가 마냥 고상한 멋처럼 구입하는 수요자가 있어서 그런게 어닌가 추정을 하게 하는데

 

몇 년 전 강동구에 있는 지하 LP 가게에서 심포니록이라 불리던 Procul harum 반을 5만원에 서슴없이 사가는 청춘을 보고, 도대체 음원만 따지면 별 차이 없을 음반 한 장이 아날로그 반이란 타이틀로 저리 비싸게 팔리냐! 입맛이 쓴 경험을 하게 되니 LP 가격이 오르는 이유를 알 것도 같다.


정작 모니터 하면서 판이 미세하게 휘어져 바늘이 튀는걸 모르고 바늘만 열십히 가는 마니아나, 침압 주는 것도 모르며 판 위로 바늘이 주루룩 미끄러지는걸 질문하는 마니아들 보면

도대체 LP가 뭐라고 음을 듣는게 중요하지, 깨끗한 음원의 디지털 음원으로 풍부한 감성을 살리는게 좋지 굳이 LP로 감성을 채우려는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리마스터 처리된 음원이면 디지털로 충분하다. 아니 뒤집어 썼다 벗었다 좌우로이동했다 갖다 놔도 꿀리지 않을텐데 무슨 멋이 들어 LP를 고집하는지, 아래 블로그처럼 저음만 강조해 빈약한 중고음의 음원이라면 몰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채색의 관구앰프
스즈키 타츠오 지음, 진영호 옮김 / 신일서적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덮석 구입은 했지만 가성비 조금 후회되는 책. 일본인들 편의 위주로 되어 있고
어느 정도 자작 중급인 수준이면 다 아는 내용. 초보의 배선 가이드에 유용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승철 - Best of Best
이승철 노래 / C&D미디어 (씨앤디미디어)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오래전 신디로퍼(Cyndi Lauper)라는 여가수가 부른 'She Bop' 이란 노래를 번안 헤

부른 왁스라는 가수의 오빠라는 노래가 있었다

원곡은 성적 자극을 바탕으로 한 노래인 반면 번안곡(飜案 / adaptation)은 경쾌하고 듣기 쉬운 가사로 꽤 인기 있었던 곡으로 기억된다.

원곡의 맛에 길들여진 입장에서 번안곡의 시큰둥함이 가라 앉은 것은 우연히 모임에서 간 노래방에서 젊은 처자가 부르는 노래를 듣고 부터 였다. 이상하게 가사가 와서 박히는지.....

나를 오빠라 불러 주는건가?

 

나름 괜찮다 생각하여 다운을 받았는지 어디서 얻은 건지 기억 나진 않지만, 집에 있는 오디오로 들어 볼 생각으로 한번 틀어 보았는데, 웬걸 녹음이 이상한 건지 내 오디오 시스템이 이상한 건지,

베이스가 굉장히 강조 되어 있었다.

도저히 베이스를 줄이지 않고는 볼륨을 높이면 안되는 지경이라 그냥 듣는걸 포기했는데, 그러면서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내가 파일을 잘못 받았나? cd에 잘못 녹음 했나 이런 생각을 하다가 내린 결론은 애초부터 음원 판매를 할 때 그렇게 만들었을 거라는 생각이었다.

 

쉽게 말해 이어폰 세대에 맞게, 부족한 저음을 일부러 보강해 원본 파일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그 이후 국내 가수들의 cd 모음집을 살 때마다 이런 현상을 가끔 겪고는 한다.

윤시내 씨 모음집이 그랬고 주현미씨 모음집이 그랬다.

그때까지만 해도 저 가수들의 lp반이 없었기 때문에 cd 녹음의 한계도 있으려니 했는데, 근래 들어 이미자씨나 패티김의 노래집을 구해서 들었을 때는 아주 녹음의 질이 좋았다. 소장했던 lp 음원과 대동소이 했다.

 

그런 와중에 이 음반을 구입했는데 첫곡인 안녕이라고 말하지마를 듣는데 피아노 소리가 가늘고 빈약해 실로폰 보다 조금 나은 정도로 반주 되더니 목소리도 좀 가늘다 여겨지는 정도였다. 그 이후 저음이 강조 되어 나오는데 그 오빠노래 들었을 때 생각이 퍼뜩 났다

에고 실패네 할인가로 샀기 망정이지, 내 알텍 스피커가 아깝네

나름 그만한 댓가가 있었다면 좋은 녹음의 리마스터 음반도 내 놓을만하지 않을까!

 -----------------------------------------------------------------------------------------------------

상대적 비교로

이선희씨 리마스터 음반을 듣다 보면 원래의 두장 짜리 케이스에 든 녹음본도 괜찮은데 이렇게 리마스터링 하여 낸 음반을 선물해 주다니 역시 노래하는 가수로써의 품성이 읽혀진다.

 

한번 저렇게 데이고 나면 그 가수의 다른 앨범도 구입이 망설여 지는 건 사실이다.

그냥 플랫하게 녹음해주지는 못할 망정 경제 활동 왕성한 신진 세대 만을 고려한

베이스 강조음의 cd는 상업적 시대의 단면을 잘 설명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Debby Boone - You Light Up My Life [발매 40주년 기념반]
데비 분 (Debby Boone) 노래 / Real Gone Music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지금처럼 방송 횟수나 음원 판매 식 디지털 집계가 아닌 한 곡만 담은 싱글반 판매로

순위를 따지던 아날로그 시절!


Simon & Garfunkel'Bridge of truble the water'

The Knack 'My Sharona'

그리고 Debby Boone'You light up my life'

세 곡의 공통점은 빌보드 싱글 히트 챠트에서 10주 연속 1위를 기록한 곡이라는 점이다.


knack의 곡은 과거 비틀즈를 연상 시킨다는 점이 작용했고

나머지 두 곡의 특징은 사랑을 바탕으로 만든 노래 라는 점이다.

언뜻 찬송가 내음처럼 자기 희생적이고 남을 위해 봉사한다는

저들 기독교적 베이스가 짙게 깔려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도 팝을 수출적 안목에서 작곡해 보겠다면

저러한 사랑의 감정을 바탕으로 고통 받는 삶의 희망의 다리가

되어 주겠다던가, 당신의 삶을 통해 내 삶의 등불이 되어 주었다는

메시지를 내포 하라는 것이다.

 

두 곡 다 전형적인 이지리스닝 곡이다. 쉽게 다가가면서

평이 한 듯한 가사로 삶의 희망적이고 숭고한 메시지를 던져 넣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Debby boone 의 이 오리지날 음반은 아직도 판매가 안되고 있다.

삶이 괴로울 때 반복해서 듣다 보면 회복의 힘을 가져올 popular 명곡!

 

음반 안에는 skeeter Davis 가 부른 ‘The end of the world’도 리메이크 해 부르고 있다.

(이 곡 역시 어떤 메시지를 품고 있는지 생각해 보면 60년대의 공전의 힛트곡이

되었는지 알 수 있다. 과거 6~70년대 사랑의 노래가 많이 나오던 우리의 모습이, 

지금은 자기 주도적이고, 다분히 욕구적인 사랑의 모습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러한 기본적 베이스의 사랑적 모티브의 노래가 많이 필요한 시대이다.)


유행하고 있는 트롯이나 기존의 경연적 곡들의 리메이크적 가치는 상업적 성공은

했을지언정 최대 단점이 창의성의 부족이라는 점이 들어 있고,

에리히 프롬이 분석한 

'사랑은 전체와 나를 결합 시켜 하나가 되게 하며, 나 자신의 개별성도 유지 시켜준다'는..


유신 독재로 지독하게 비판하는 시대 사랑을 주제로 불렀던 많은 노래 중에는

저러한 통합적 관점에서 노력한 곡도 많았다는 점을 알아야지, 금지곡만

부각 시키는 시대로 보면 작은 안목이라 할 것이다.


언뜻 생각나는 패티김의 '사랑이란 두 글자' '그대 없이는 못살아' 라나에 로스포의 '사랑해' 

유심초의 '사랑이여'  남궁옥분의 '사랑 사랑 누가 말했나'...... 

모두 사회 통합적 관점이 팽배하던 시절의 노력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내 사랑을 노래하는 것이 중요한 것 보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저절로

불러 일으키게 할 수 있는 노래! 그것이 파퓰러의 힘이다.

-------------------------------------------------------------------------------------------


스키터 데이비스의 곡을 데비 분은 서정적 내음으로  심플하게 부르고 있다.

오리지날의 진득함(?) 을 벗은듯한 느낌? 

컨츄리 웨스턴 스타일을 이지리스닝으로 부르고 있다는 점이다.


그 곡이 들어있는 이유로 이 음반 만을 고집하며 -모음집을 사지 않는 이유-

이제나 저제나 판매되길 학수고대 하고 있는 것이다.


위 곡 들을 모티브로 잘 분석해서 진정으로 미국 시장에서의 메이저 급 엔터테이너로

자리 잡는 스타를 만들기 위한 작품이 나오길 바란다.

100% 성공 보장일 것이다. 

희생, 봉사라는 거룩한 사랑! 그것을 쉽게 풀이해 메세지화 한 곡! 과연 가능할까?

이 사회의 통합을 원한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모차르트 : 클라리넷 협주곡 K622, 케겔슈타트 트리오 K.498 & 알레그로 [SACD Hybrid]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작곡가, 안스네스 (Leif Ove / BI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P의 잡음에 대응하기 위해 나온게 소니와 필립스가 개발 한 CD 이다.

처음 CD가 나왔을 때 차가운 음색 때문에 비판이 많았다.

후일 좀 더 농밀한 음색을 만들기 위해 SACD를 만들었다.

--------------------------------------------------------------------------------

 

음악이 1초간 흐르는 동안의 소리를 44,100번 쪼개서 담은게 CD이다.

음악이 1초간 흐르는 동안의 소리를 2,822,400번 쪼개서 담은게 SACD이다.

 

이른바 CD - 44.1KHz 샘플링 / SACD 2,8822.1KHz 샘플링

CD64배로 정밀하게 분해해서 담은 소리가 SACD인 셈!

--------------------------------------------------------------------------------------

 

SACD 전용 CDP가 따로 있지만 그냥 일반 CDP에 넣고 재생해도

음질이 더 좋게 재생되는게 SACD 이다.

SACD의 차분하고 농밀한 음색으로 30분 정도 스피커를 에이징 하고

나면, 그 다음에 듣는 음악도 음질이 좋게 들린다. 기분 상 도취되어서

그런걸까 생각도 든다.

-------------------------------------------------------------------------------------

 

가격은 보통 일반 CD 의 두배 이상 가격인데 특별히 만원도 안되는 가격!

한번 듣고 추가로 한 장 더 주문했다.

( 과거 LP를 모으던 시절 잡음이 생겨서 못듣게 되면 들으려고 좋은 판은

2장씩 사던 버릇이 발동한걸까?)

--------------------------------------------------------------------------------------

 

오래전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622번만 모아서 연주의 미세한 음을

즐기던 생각이 난다. 언뜻 10장 이상은 되었던 것 같은데 ..... 다 팔아 자시고

없지만

-------------------------------------------------------------------------------------

 

흔히 마란츠7 앰프의 특색이 목관 악기의 음색을 아주 잘 표현 한다는 말이 있었다.

(마치 Sprague사의 Vitamin-Q 콘덴서의 중역 질감이 독일 가곡의 성악을 질감 있게 표현해 더 없이 좋았다는 그런 글귀처럼)

7 소유자는 테스트용 음반 으로도 손색 없지 않을까!

이미 한 장 이상은 가지고 계시겠지만 ......

--------------------------------------------------------------------------------------

 

basset clarinet검색 해보니 음을 더 낮춘, 키를 낮춘 형태로 이해되는 악기로

이해되는데, 622번을 이걸로 연주했다고 표기되어 있다.

방송에서 2악장 끝 부분을 언뜻 듣다가 전혀 다른 연주처럼 들려 서둘러

구한건데..... 그건 오해였고,

------------------------------------------------------------------------------------

 

바셋(?)클라리넷의 절절한 음색은 더욱 더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

<Out of Africa> 영화에서 드넓은 초원을 배경으로 깔리던 음악이기도 했지만, 나에게는 눈이 하얗게 온 천지를 가득히 덮고, 창밖 풍경을 내다보며 뒤에는 이 음악이 흐르는 풍경!

두 번 들어도, 반복해 들어도 눈이 하얗게 쌓인 그 풍경이

펼쳐지며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요절한 천재에게 말년이 의미가 있을까만,

622번이라는 숫자 만으로 그의 죽기 전 말년 작품이라는 점에서,

모종의 삶의 응축 된 표현이 들어간 그런 작품이 아니었을까!

 

새삼 모차르트의 안타까운 죽음이 생각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