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모차르트 : 클라리넷 협주곡 K622, 케겔슈타트 트리오 K.498 & 알레그로 [SACD Hybrid]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작곡가, 안스네스 (Leif Ove / BI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LP의 잡음에 대응하기 위해 나온게 소니와 필립스가 개발 한 CD 이다.

처음 CD가 나왔을 때 차가운 음색 때문에 비판이 많았다.

후일 좀 더 농밀한 음색을 만들기 위해 SACD를 만들었다.

--------------------------------------------------------------------------------

 

음악이 1초간 흐르는 동안의 소리를 44,100번 쪼개서 담은게 CD이다.

음악이 1초간 흐르는 동안의 소리를 2,822,400번 쪼개서 담은게 SACD이다.

 

이른바 CD - 44.1KHz 샘플링 / SACD 2,8822.1KHz 샘플링

CD64배로 정밀하게 분해해서 담은 소리가 SACD인 셈!

--------------------------------------------------------------------------------------

 

SACD 전용 CDP가 따로 있지만 그냥 일반 CDP에 넣고 재생해도

음질이 더 좋게 재생되는게 SACD 이다.

SACD의 차분하고 농밀한 음색으로 30분 정도 스피커를 에이징 하고

나면, 그 다음에 듣는 음악도 음질이 좋게 들린다. 기분 상 도취되어서

그런걸까 생각도 든다.

-------------------------------------------------------------------------------------

 

가격은 보통 일반 CD 의 두배 이상 가격인데 특별히 만원도 안되는 가격!

한번 듣고 추가로 한 장 더 주문했다.

( 과거 LP를 모으던 시절 잡음이 생겨서 못듣게 되면 들으려고 좋은 판은

2장씩 사던 버릇이 발동한걸까?)

--------------------------------------------------------------------------------------

 

오래전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622번만 모아서 연주의 미세한 음을

즐기던 생각이 난다. 언뜻 10장 이상은 되었던 것 같은데 ..... 다 팔아 자시고

없지만

-------------------------------------------------------------------------------------

 

흔히 마란츠7 앰프의 특색이 목관 악기의 음색을 아주 잘 표현 한다는 말이 있었다.

(마치 Sprague사의 Vitamin-Q 콘덴서의 중역 질감이 독일 가곡의 성악을 질감 있게 표현해 더 없이 좋았다는 그런 글귀처럼)

7 소유자는 테스트용 음반 으로도 손색 없지 않을까!

이미 한 장 이상은 가지고 계시겠지만 ......

--------------------------------------------------------------------------------------

 

basset clarinet검색 해보니 음을 더 낮춘, 키를 낮춘 형태로 이해되는 악기로

이해되는데, 622번을 이걸로 연주했다고 표기되어 있다.

방송에서 2악장 끝 부분을 언뜻 듣다가 전혀 다른 연주처럼 들려 서둘러

구한건데..... 그건 오해였고,

------------------------------------------------------------------------------------

 

바셋(?)클라리넷의 절절한 음색은 더욱 더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

<Out of Africa> 영화에서 드넓은 초원을 배경으로 깔리던 음악이기도 했지만, 나에게는 눈이 하얗게 온 천지를 가득히 덮고, 창밖 풍경을 내다보며 뒤에는 이 음악이 흐르는 풍경!

두 번 들어도, 반복해 들어도 눈이 하얗게 쌓인 그 풍경이

펼쳐지며 감정은 사라지지 않는다.

 

요절한 천재에게 말년이 의미가 있을까만,

622번이라는 숫자 만으로 그의 죽기 전 말년 작품이라는 점에서,

모종의 삶의 응축 된 표현이 들어간 그런 작품이 아니었을까!

 

새삼 모차르트의 안타까운 죽음이 생각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