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프 - 죽음 이후의 새로운 삶
메리 로취 지음, 권 루시안 옮김 / 파라북스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이라는 것이 살아있는 모든 것들과의 경계를 만든다. 그이후 남아있는 것은 사체의 문제다.

그러나, 단지 사체만 남는다는 것은 그 죽은자에 대한 예우가 아니다. 기억또한 남는것이다.

기억이라는 것은 무형의 것이기 때문에 유형의 것을 생각한다면 아마도 유류품일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곳에서도 유류품을 태우기 적당한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않다.

유류품의 어떤것은 가족들이 보관하기도 하고 또 어떤것은 분류가 잘이루어진 재활용품에

옮겨지기도 한다.  어떤 곳에서 유류품을 태울수 있는 곳이 있다면 그곳은 많은 망자들의 유류품이

모아져 쓰레기처럼 태워질 것이다. 가족들은 그렇게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유류품마저 이렇게 태워진다는 것이 슬플 가족들에게 이책에서 말한대로의 사체 처리를 권한다면

아무도, 그누구도 기꺼이 동참하지 않을 것이다. 작가는 첫부분에서 나같이 반발하는 독자들을 위해

혹시라도의 우려로 본인도 어머니라는 가족을 잃었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혀두고 있다.

이책은 내가 보기에 동서양의 의식의 구조 차이를 많은 부분 나타냈다고 생각한다.

동양에서 말하는 사후의 세계라는 것과 가족에 대한 혈연관계의 끈적함을 작가는 모른다.

어쩌면 냉정하게 죽은 사체가 과학에 일조할 수있는것이 좋지않겠느냐..고 할지 모른다. 

절대 아니라고는 말 못하겠다. 하지만 나 자신은 혹시 그렇게 할수 있을지 몰라도 가족이라는 사람들의

사체는 그렇게 할수 없는 것이다. 그런점에서는  작가도 마지막에 동의하고 있다.

내가족만은 안되지만 내가족이 병이 들었을때, 의사들의 손놀림 좋은 기술로 그것이 치유되기를 바란다.

그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인체를 해부해 들여다 보고, 만지고, 꿰메고, 붙여보고 하는 습득을

내가족이 아닌 나와는 모르는 타인에게 행하여 진다면 그것은 과학의 발전을 위해 기꺼이 그렇게 하라고

하고 싶은 심정이다. 이것을 이기주의라고 한다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책에서도 말했듯이 소를 잡아 통째로 놓고 먹지않고 부분마다 잘라 용도에따라 먹는 이유도 내눈앞에

벌어질 참혹한 광경에 대해 피하며 먹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런 아이러니를 꼬집은 책이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