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박석무 엮음 / 창비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다산 정약용이 신유사옥의 덫에 걸려 17년동안 유배생활을 하면서 보내온 편지들이다.

두아들(학연, 학유)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어떻게 책을 읽을 것인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들을 얘기한다.  자신들이 폐족이 되었어도, 아니 그래서 책을 더 많이 읽고 더 정진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또한 실리적인 선비의 삶을 살기도 권장한다.

같은 땅에 보리를 심는 것보다 유실수나 특히 뽕나무의 위력에 대해 자세히 쓰고 있다.

큰아들 학연이 의술을 한다고 했을때는 노발대발하며 다시 보지 않겠다며 말도 하기싫다고

언짢아 하는 모습도 보았다.

아마도 자신의 석방을 위하는 마음으로 , 아들이 탐관오리들과 교류하기 위해 의술을 한것이라고

생각해서 아들의 학문에 해를 가할까봐 그렇게 화를 낸것이 아닌가 싶다.

또한,  흑산도로 유배간 둘째형 약전 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두형제간의 학술논쟁이 대단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부분이 이책중에서 가장 어려웠었고 아직 이해가 안되는 많은 부분들이 있었다.

그중 우리가 잘아는 '자산어보'에 대한 얘기가 잠깐 나온다.  처음의 이름은 '해족도설'이라고 했던가보다.

그림으로 표현하지말고 글로 쓰는것이 낫지않겠냐는 개인적인 견해도 보인다.

요즘에 '현산어보'라고 읽어야한다는 얘기도 있고, 책도 나온것으로 알고 있지만..

마지막으로  다산의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편지도 있다.

과거제도에 강력한 비판을 함에도 그제도가 바뀌지않는한, 그 과거제도를 통해서만이 사회에 나아갈수

있는 길임을 알기에 현실을 받아들이고 과거공부에 정진하라고 이르기도 한다.

아직 많은 부분을 모르는채 책을 덮었지만,  이책에서 가장 읽기 난해하고 이해가 안되던

주역이라는 책을 한번 꼭 읽어보고 싶었다. 아마 조금 쉽게 풀어 써진 책도 있지않을까..

무지속에서 읽은 나에겐 아까운 책이라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