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특강이라 하여 오는 강사들이 그닥 마뜩하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그시간을 잘 이용해서 사적인 시간으로

만들겠다는, 잔머리를 열심히 굴렸던 그런 시기도 있었기때문에 책제목을 보고 따분하지는 않을까..

싶었다. 이책은 특강내용을 속사가 적고 그것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것이라고 한다.

우리문화에 대해 앎도 없으면서 누가 무관심한 처사라고 쏘아대면 문외한 일뿐이지 관심이 없는 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책을 읽으며 우리문화에 대해 얼마나 허투로 보았고 애정없이 보았는가를 알았다.

외국화가들에 대해서는 비록 복사본일 망정 방에 걸어두고 흐뭇해한적이 많았다.

누구누구의 작품이더라, 어느시대의 화풍이더라 하며 계보를 외기도 했다.

나는 지금 '문화적 충격'을 심하게 받았다. 나하고는 거리가 상당할것 같던 그림, 막연하게 멀게만

느껴진 글, 한적한 고궁은 그저 나른함만을 가졌다고 생각해는데..  

그런 것들이 바로 내 심장들을 덥혀주고 있었고 숨쉬게 했었다는 걸 몰랐다.

이책은 나같이 생각하던 사람들을 위해 씌여졌다. 

그림 보는 올바른 방법을 얘기한다. 어느정도 거리에서, 어떤 방향으로,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찬찬히 뜯어 보라고 한다. 그러면 거기서 '옳거니!' 하는 소리가 저절로 흥에

겨워 나올 것이다. 내가 그랬으니깐.. 옛사람들은 멋을 알고 살았던 사람들이다.

나는 초상화를 한번도 제대로 본적이 없다. 그저 책에서 누구의 그림인가 내지는 주인공이 누구냐를

맞추는 교육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애당초 색감도 없는(이건 내가 엄청 잘못 생각하고 있었다.)

그림에 지루하기 짝이없는 표정으로 있는 사람들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이책에 나오는 강세황의 초상화를 보고 얼마나 웃었는지.. 어떻게 그런 유머가 그림속에 있었는지..

이황선생님께서는 '무자기(毋自欺)'란 말을 아주 중시하셨다고 한다. 

 '나자신을 속이지 않는다.'란  이말은 우리 선조들 마음속에 늘 있었던 말이라고  생각된다.

어떤 그림을 그려도 과장됨없이, 어떤 건물을 지어도 음양오행설(이것이 순리일테니깐..)에

맞게, 그렇게 그려내고 짓고 살아온 것이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국민으로 살아가며 이렇게 자랑스러운 날이 또 있을까 싶다.

결코 과장이 아니다. 내흥에 겨워 덩더쿵이 그냥 나올지경이니깐...

안읽었다면 꼭 읽어보시라.  밥이 나오냐, 떡이 나오냐 하지말고 억지로라도 읽어보시길..

정신을 잃어버리고 여기저기 헤매고 있던 부끄러운 나를 발견하게 될것이다.    

'휴..내 글재주없음을 오늘 뼈져리게 원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