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세트 - 전3권
김홍정 지음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랫만에 읽는 귀한 작품. 책을 다 읽고 나서 느낀 느낌이다. 많은 역사 소설이 있어왔고 좋은 작품들이 많았는데 장르의 특성상 깊은 느낌을 주는 대하역사소설이 최근에는 많이 보지 못했는데 오랫만에 월척을 낚은 느낌이랄까. 처음에 지은이가 전문적인 소설가가 아니고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어서 반신반의했던것은 사실이다. 내용도 그리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 시대와 배경이어서 큰 기대를 안했던것도 맞다. 다만 의외로 출판사에서 열의를 가지고 소개를 하고 있고 지은이가 이 책을 쓰기까지 10년이란 시간을 퍼부었다는것에 그래도 조금의 희망은 갖고 있었다랄까.

 

처음에 읽어내려갈때는 역시라는 느낌이 들었다. 기존 소설가들의 작법에 익숙해진 탓인지 내용 전개가 좀 부자연스럽고 속도가 느린감이 있었기에 처음의 선입관이 그대로 가는듯했다. 그런데 조금 진행되면서 어? 하는 소리를 나오게 하더니 점점 책속으로 빠져들게 하는게 아닌가. 오호라 이 책 오랫만에 보는 괜찮은 이야기책이었던 것이다.

 

전체 3부작인 이 책은 배경은 조선 중기 중종에서 선조까지의 시대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 전체적으로 중종과 명종까지의 시절이 중심인데 내용을 관통하는 큰 주인공은 충암 김정과 세명의 여인 연향, 미금, 부용의 총 4명이다. 이야기를 지배하는 정신적인 지주는 충암이고 실질적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은 이 3명의 여인인데 대하 역사 소설에서 연달아 세명의 여자 주인공이 등장하는건 잘 못본거 같다. 그러나 여성이 주인공이 되는 이유는 책을 읽어보면 안다. 일반적인 역사소설이 아니라 역사적이 사실을 배경으로 한 생활사적인 내용이 주가 되기 때문이다.

 

충암 김정은 역사를 어느정도 아는 사람이라야 들어본 인물이다. 충암은 조선 중종때의 인물로 그 유명한 조광조와 함께 사림을 이끌었던 사람이다.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향약의 실시와 미신타파를 주장했고 어진이를 등용하는 현량과도 설치하게 한 인물이다. 당시 사림의 진출에 있어서 정암 조광조와 함께 쌍벽을 이루었다고 볼수있는데 역사적인 비중에 비해서 많이 안 알려진 사람이다. 보통은 조광조를 이야기하는데 가끔 곁다리로 들어갈뿐 본격적인 주인공이 되는것은 잘 없었던거 같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서 결코 떨어지는 인물이 아니다. 이 책에서는 1부에서 등장해서 끝나지만 그가 주장하고 계획했던 일들이 3부까지 이어지며 여러 인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온다.

 

1부에서는 연향이 주인공이다. 그녀는 충암에게 사랑을 받은 소리꾼이었는데 충암이 격쟁의 소용돌이속에서 결국 돌아간 이후로 온 사람이 은둔해있을때 이들을 대신해서 상단을 꾸리고 사림이 다시 일어설 발판을 마련하는 중한 소임을 다하게 된다. 충암의 뒤를 이은 남원 이돈의 소리없는 사랑을 받게 되지만 그의 영원한 연인을 마음에 담아두기에 이 둘은 이루어질수가 없었다. 연향은 뛰어난 소리꾼이었지만 그보다 더 큰 상재를 가지고 있어서 충암의 정적인 송사련과의 담판을 통해서 그의 도움으로 상단의 저변을 넓히기도 한다. 그러나 송사련과는 끝내 피를 보게되는 충돌을 일으키게 된다.

 

2부는 연향을 대신해서 새롭게 상단의 대행수가 된 미금의 이야기로 진행이 된다. 비록 중인이 한다는 상업에 종사하지만 근본이 뼈대있는 양반가의 자손으로 작은 공방에서 상재를 발휘해서 결국 연향의 후임으로 상단을 이끌게 된다. 여러가지 능력으로 상단을 안정시키고 튼튼하게 하면서 연향의 죽음과 관련된 인물들을 은밀하게 하나씩 하나씩 처단하게 된다.

 

3부는 연향의 딸인 부용, 초희의 이야기다. 연향과 미금의 뒤를 이어서 부용이 그들의 뜻을 이어가고자 온힘을 쏟는다. 그런 와중에 명종이 즉위하고 대윤과 소윤의 힘겨루기 속에서 양재역벽서사건을 통해서 또한번 피비린나는 죽음들이 이어지고 충암이후 동계의 지주였던 남원도 죽게 된다. 그리고 부용의 아들 창을 통해서 그들이 꿈꿔왔던 일들을 위한 미약하지만 거대한 행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들의 꿈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정말 정신없이 읽어내려간 이야기였다. 3대에 걸친 질긴 인연들의 이야기들이 우리내 사는 삶과도 참 밀접하게 닮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의 내용이 더 가깝게 느껴진것은 정치적인 사건들이 배경이 되긴 하지만 정치사를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온전히 보전한 이야기였기 때문이었다.

당시 상업에 종사했던 여러 사람들의 모습을 마치 실제로 본것마냥 상세하고도 부드럽게 잘 묘사를 했고 그것과 관련한 백성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잘 담아내었기에 더 잘 읽을수있었는거 같다. 비록 수백년전의 이야기지만 우리의 실제적인 삶 이야기였기에 더 생동감이 있었던것이다.

 

사실 대도시 그것도 대구와 서울이라는 지역에서만 살았던 나로서는 금강유역을 아우르는 충청도와 전라도의 지역적인 특색을 잘 알지 못했다. 특히나 금강은 이름만 들어봤을뿐이고 금강을 매개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거의 알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서 이 지역은 이런식으로 살았구나 하는것을 알게되어서 정말 좋았던거 같다. 시대가 다르긴 해도 오늘날도 비슷하게 살아가고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었고. 당시 사람들의 말투도 잘 표현해내었고 여러 사람들의 인정과 순박함을 잘 나타내어서 더 흡입력있게 읽을수있었다.

 

책은 충암 김정이 주장했던 대동사회 즉 누구나 공평하게 다 같이 잘 살수있는 사회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당시 전제왕권과 신분사회가 확고하던 시절 그런 대동을 꿈꿨다는게 참 대단하다고 여겨지고 비록 민주국가가 되긴 했지만 그들이 꿈꾸던 대동사회가 과연 오늘날에 제대로 펼쳐지고 있는가하는 생각도 들었다. 민초들 개개인에 스며든 대동의 생각이 하나씩 둘씩 모이면 진정한 의미의 대동이 어느날에는 이루어지지 않을까.

 

3권이지만 짧지않은 분량속에서 내용이 통일성을 잃지않고 초기에 이루어졌던 짜임새가 끝까지 잘 유지된 수작이었다. 가진자의 이야기가 아닌, 보통의 서민들의 이야기를 잘 살려내었고 금강이라는 지역적인 특색과 당대의 상단의 활동을 치밀하게 잘 살려내어서 재미있게 잘 읽을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책의 끝부분에 나온 인물들의 간략한 설명과 당시 역사적인 사실, 주요 관직과 부서의 내용을 잘 적어놔서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도 편하게 잘 읽을수있게 배려한것도 좋았던 부분이다. 여러모로 작가가 많은 힘을 기울여서 쓴 작품임을 느끼게 했던 숨은 보석 같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