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커가의 살인 - 셜록 홈스의 또 다른 이야기
아서 코난 도일 외 지음, 정태원 옮김 / 자음과모음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오랫동안 책을 많이 읽었지만 나이들어 어른이 되서 읽었던 책보다 어렸을때 읽었던 책들이 훨씬 많은거 같다. 그래서 읽은 책들을 기억해봐도 어렸을때 읽었던 책들이 더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는 경우가 많다. 그중에서 어렸을때 읽었던 추리 소설은 어른이 되어서도 그쪽 장르를 기웃거리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할수있는데 나에게 가장 큰, 어쩌면 더 나이들어도 영향을 미칠 책은 바로 '셜록 홈즈' 이다.  

어렸을때 읽었던 셜록 홈즈는 그야말로 나한테는 우상중의 우상이었다. 간단한 사건은 흥미도 없어하고 복잡하고 교묘한 사건에 흥미를 보이는 홈즈. 범죄 사건이 없다면 사람들이 피해를 입지 않기에 기뻐해야하지만 홈즈는 사건 해결이 유일한 삶의 목적인양 지루해하고 의욕 없어한다. 참 재미있는 성격이지 않은가. 그리고 담백하면서도 침착하고 논리적이며 그러면서 은근한 속정도 있는 홈즈가 정말 좋았다. 어쩌면 어렸을때 접해본 최초의 탐정이기도 해서 가장 뇌리에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까지도 추리소설에서는 가장 애정이 깊은 작품이다. 

셜록 홈즈가 출간된지는 꽤 되는데 나같은 팬들이 많아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홈즈를 기리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이 책과 같은 패스티슈 작품집이다. 셜혹 홈즈를 사랑하는 여러 작가들이 셜록 홈즈 작가인 코넌 도일의 문체에 가깝게 또 다른 셜록 홈즈이야기를 쓴 것들의 모음집이다. 등장인물이나 배경은 원래 셜록 홈즈 시리즈와 같으면서 원작에 없는 다른 사건들을 해결하는 이야기들인데 그만큼 셜록 홈즈의 활약을 기대하는 독자가 많다는 뜻이겠다. 

여러 종류의 패스티슈 작품들이 있는데 이 책은 비교적 짧은 이야기인 단편들을 수록하고 있다. 작가들은 아는 작가도 있고 모르는 작가도 있는데 전체적으로 재미난 것도 있고 좀 밋밋한 것도 있는 편이다. 그래도 그중에서 인상적인 작품은 몇개 있었는데 첫번째로 수록된 '케이프타운에서 온 남자' 는 마지막 부분에서의 반전이 돋보였고 마부의 시각에서 본 셜록 홈즈 이야기인 '홈스를 태운 마차'도 괜찮았다. 그리고 '아라비아 기사의 모험'이나 '쳬셔 치즈 사건'도 흥미있게 읽을수 있는 작품들이었다. 

다시 볼수 없는 홈즈 이야기라고 해서 반갑게 읽기는 했으나 역시 구관이 명관인듯 코넌 도일이 창조해낸 원판에는 못미치는게 사실이다. 원작 특유의 감칠맛이 나지 않는다고나 할까. 각 단편의 지은이가 다 다르고 그 지은이들의 글솜씨 또한 다 달라서 그런지 각 사건에 그냥 홈즈만 억지로 끼워넣은듯한 느낌도 들긴 했다. 주인공이 홈즈가 아니라고 해도 그냥 잘 이어질 이야기일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제 더 이상 셜록 홈즈 이야기를 볼 수 없는 지금 상황에서 이런 작품집이 주는 가치는 무시못한다. 나같은 '셜록키언'은 물론이고 셜록 홈즈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셜록 홈즈'라는 탐정이 얼마나 멋진 존재였는지 얼마나 사랑스러운 인물이었는지를 새삼 확인하게 하기 때문이다. 

책은 출간된지가 몇년이 지나서 그런지 번역이 그리 깔끔한거 같지는 않다. 뭔가 걸리는게 있다고나 할까. 추리소설쪽에서 좋은 번역으로 이름이 높은 번역자인데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그리고 책 디자인이나 편집등도 지금이라면 좀 더 세련되지 않았을까도 싶은것이 별 특징적인 것도 없고 전체적으로 밋밋한 느낌이었다. 
 

사실 패스티슈 작품은 많다고 한다. 셜록 홈즈 뿐만 아니라 원작에 나오는 여러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한것도 있다고 한다. 과연 얼만큼 코넌 도일이 창조해낸 셜록 홈즈 이야기와 잘 화합할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작품들도 많이 발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 모든것이 어떻게 보면 셜혹 홈즈 이야기를 더욱 더 풍성하게 하는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