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서태후
펄 벅 지음, 이종길 옮김 / 길산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처음에 책의 제목을 봤을때 서태후앞에 연인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있는거 보고 좀 의아스럽게 여겼었다.무소불위의 철권을 휘두룬 서태후에가 애틋한 시절이 있었단 말인가하고 말이다.그리고 '펄벅'이라는 지은이가 주는 호기심도 작용하면서 읽고싶은 마음이 생기게 만들었다.

이 책은 어찌보면 일종의 '애정소설'이라고도 볼수있겠다. 펄벅의 대지같은 책만 봐온 나로선 펄벅이 이런 책도 썼나 싶을정도로 그 분위기가 다른 책이었다.우리가 흔히 아는 서태후는 청나라말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실질적인 황제로 군림하면서 청나라의 멸망을 재촉한 사람정도로 알고 있을것이다. 그러나 이책에서는 그런 면보다는 서태후도 한명의 여인이었고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으며 주위의 상황이 그녀를 그렇게 몰고갔다는걸 그리고있는 책이다. 펄벅은 이 책을 통해서 역사적인 판단이나 잘잘못을 내리고 있지는 않다.그저 서태후라는 여인에 대한 인간적인 면을 들추어 내며 독자에게 판단을 내리게 하는거 같다.

이야기는 청나라 말 황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는 장면부터 시작된다.여기서 보이는 그녀는 그저 보통의 감정을 가진 평범한 여인일뿐인거같다.그러나 입궁이후에 황제의 총애를 받기위한 행동이나 생각등은 지혜롭고도 현명한 처녀라고 여겨지고 아마 이것이 훗날 대국을 지배할것을 알게되는 단초가 아닐까 생각된다.이야기는 그녀가 황제의 사람을 받아 후궁이 되고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이 황제가 되고 그러면서 그녀가 권력을 쥐면서 여러가지 사건들이 일어나는 과정들을 담담하게 그리고있다.

사실 그녀가 행한 행동들은 그 자신이 살기위해서 어쩔수 없는것이었을지도 모른다.그녀가 사랑했던 영록과의 혼인이 이루어졌어도 그런 성격이 나왔을까? 그 환경이 그녀로 하여금 변신하지 않을수없게 만든것은 아닐까? 때로는 피도 눈물도 없는 악녀로,때로는 작은 일에도 슬퍼하는 감성적인 여인의 두 얼굴을 보였던 그녀는 그 내면을 살펴보기 전에는 단지 변덕스런 인물로 비춰졌을것이다.펄벅은 그녀가 그런 모습을 나타내는 과정을 급하지도 않고 느리지도 않게 적당한 호흡으로 보여주고있다.

서양세력이 물밀듯 밀려오는 그 격랑의 시대에 최고통치권자로서 그녀는 분명히 한계였던 인물이었다.세상을 보는 안목이나 서양세력의 본질에 대한 인식을 그녀한테 기대할수는 없는 노력이었다.그래서 그녀로 인해 청나라가 멸망했다는 논리도 나올수 있을것이다.그러나 만일 그녀가 없었다면 청은 그전에 멸망했다고도 볼수있지 않을까? 그 당시로선 그녀가 유일무이한 대안이었고 그녀가 나라를 부강시키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유지는 시켰다는 점에서 나라의 운명을 연장시켰다고도 볼수있을것이다.혹자는 어차피 망할 나라 몇년 더 끈다고 해서 나아질것이 무엇이겠느냐고 하겠지만 그 연장된 시간속에서 나은 미래를 설계할수도 있는것이다.비록 그런 것은 실패하고 말았지만 그 책임을 그녀혼자에게 물을수는 없을것이다.나라가 망하는데 하나의 군주만이 잘못하는것은 아니니 말이다.

이책에서는 청조말의 혼란스럽고 급박한 사정에 대해 자세히 말하고 있지는 않다.그저 서태후에 대한 초점을 이동하는 과정에 부수적으로 조금씩 그 환경을 살피고 있을뿐이다.그리고 서태후의 인간적이고 사랑을 갈망하는 평범한 모습을 주로 부각시키고 있다.역사는 승자에 의해 쓰여지게 마련이라서 그런입장에서 패자라면 패자인 서태후의 진면목이 많이 가려진것이 사실이다.서태후가 날카롭고 잔인한 면을 보인것도 사실일것이다.그러나 그런면만 가진것이 아닌 그녀도 남자의 사랑을 받고싶었던 한 여인으로서 그려지고 있는것이다.

사실 펄벅의 대지에서 보여줬던 그런 깊이가 이책에선 그리 보이지 않는다.서태후의 모습만 쫓아가다보니 좀 단조로와진거 같기도 하고 역사적인 사실에 대한해석이나 평가가 빠지다보니 인물역사로서 보기도 좀 어려웠다.아마 펄벅은 서태후를 통해서 인간의 감정을 묘사하고 나타내려고 한거같다.역사소설이 아니라 그냥 파란만장한 삶을 산 한 여인에 대한 소설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깊은 울림은 솔직히 잘 엿보이지 않았지만 두꺼운 분량이 잘 읽힐만큼 섬세하고 재미있게 쓰여진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