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한다는 착각 - 나는 왜 어떤 것은 기억하고 어떤 것은 잊어버릴까
차란 란가나스 지음, 김승욱 옮김 / 김영사 / 2025년 3월
평점 :
'기억'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초점은 어떻게 하면 기억력을 좋게 하는 것이다. 살면서 기억이 흐릿하거나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 곤란한 상황에 빠진 적이 많을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늘 기억력이 좋았으면 좋겠다고 한다. 사실 기억력이 좋으면 공부에만 좋은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분명히 좋은 점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기억을 좋게 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우리가 '왜 기억하는가' 에 대한 생각은 잘 안 하는 것 같다. 이것은 이 책의 지은이가 주장하는 핵심인데 '왜 기억하는가'를 생각한다면 기억에 관한 제대로 된 개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살면서 왜 기억하는지에 대한 개념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어떻게 하면 기억력이 나빠지지 않을까 고민 했지 기억하는 기본 개념은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왜 기억하는가' 에 대한 지은이의 말은 발상의 전환을 하게 하는 좋은 질문 같다.
책에서도 나오듯이 어떤 기억은 오래 지속되고 어떤 기억은 금방 잊어 버린다. 잊어 버린 기억이 더 중요하게 여겨질 때도 있고 생생하게 기억하는 것은 고만 좀 잊어버렸으면 할 때가 있다. 지금 글을 쓰면서도 잊었으면 하는 기억을 떠올리면 너무 선명하게 떠올라서 괴로울 지경이다. 그렇다면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가? 기억은 기본적으로 선택적이라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우리가 태어나서 보고 겪은 모든 일들을 하나 하나 다 기억할 수는 없다. 그 만큼의 뇌 용량이 안 되어서 그럴 것이다. 이때 선택과 집중을 하는데 그 선택의 근거가 되는 것이 '맥락'과 '도식' 이라는 틀이라고 한다.
우리는 어떤 상황의 기억을 '덩어리 째'로 한다고 한다. 말하자면 공감각 적으로 하는데 예를 들어 경찰에서 수면 요법으로 기억을 불러오려고 할 때 주위 환경을 상세하게 묻는 경우가 있다. 이때 어떤 사물까지 구체적으로 떠올리는데 이것은 우리가 상황을 덩어리로 기억하기에 그 공간을 다 기억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필요에 의해 기억할 뿐 늘 우리가 기억하지는 않는다.
요컨데 우리의 뇌는 기억을 하는 것이 1차 목적이 아니라 버리는 것이 1차 목적이다. 수 많은 정보가 들어오는데 그것을 다 기억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뇌에서 버릴 것은 버리고 기억할 것은 기억하는데 뇌의 작용이 우리의 의지와는 또 다르기 때문에 기억의 부재로 불편할 때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사람들이 같은 장면을 봐도 똑 같이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다르게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눈에 보이는 같은 상황을 보는데 어떻게 기억이 다를 수 있을까. 그 이유는 우리의 뇌가 각각 갖고 있는 경험과 기억에 따라서 매번 정보를 새롭게 재구성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가 상상을 할 때와 기억을 할 때 활성화 되는 뇌 부위가 거의 일치한다고 한다. 말하자면 기억 속에 상상이 섞여 들어가서 비슷하지만 다른 기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같은 장면을 보고도 사람마다 기억이 다르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 기억 자체도 왜곡되고 거짓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말하자면 기억을 다 믿으면 안 된다.
사실 과거의 내 기억 중에서 안 좋은 기억을 나중에는 좋게 포장해서 기억할 수도 있다. 어쩌면 이것은 좋은 것일 수 있는 게 그 기억으로 내가 삶을 괴로워하기 보다 좋은 쪽으로 왜곡해서 기억한다면 삶을 더 긍정적으로 살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는 이것이 인류가 살아 남기 위해 진화
시킨 적극적인 생존 방식이라고 하는데 설득력이 있다. 세상은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과거의 기억을 적절하게 변형 시키는 것이 생존에 더 유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아무튼 기억력이 좋은 것은 살면서 좋은 점이 많다. 시시콜콜 기억하는 것이 어떤 작업을 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고 내가 살아가는데 이익이 된다. 그렇다면 더 기억을 잘 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지은이는 '호기심'을 가진 인간이 살아남는다고 한다. 사실 인류가 문명을 발달 시키고 지금까지 더 나은 삶을 살게 된 것은 호기심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이 더 좋은 것 인가에 대한 호기심, 더 잘 살기 위한 호기심 등등 더 많이 머리를 쓰는 행위 자체가 기억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사실 공부를 잘하게 되는 것도 더 많은 시간을 머리 쓰는 행위에 투자를 하기 때문이다. 자꾸 보고 또 보고 하니까 기억을 하게 되는 것이고 그 와중에 문제를 풀면서 답을 맞춰가는 그 행위 자체가 좋은 성적으로 이어진다.
어렸을 때는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서 기억이 좋아야 하고 어른이 되어 살면서는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서 기억이 좋아야 한다면 노인이 되어서는 치매나 뇌질환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기억이 필요하다. 나이 들어서 치매가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호기심을 가지고 무엇인가에 관심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억에 관한 생각은 어떻게 하면 더 기억력 좋게 하는가에 대해서 이 책은 '왜 기억하는가' 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기억하는 행위 자체가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평소에 생각하지 못한 방향의 전개라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제목처럼 내가 기억한다고 착각하면 안 된다는 것이 소득이라면 소득이겠다.
책은 사실 쉽지 않다. 초반부의 과학적인 설명이 조금 어려운데 그 부분을 지나면 지은이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방향을 느낄 수가 있다. 조금 천천히 되새기면서 읽어야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