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대사·내분비의 구조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
오다와라 마사토 지음, 김선숙 옮김, 김병준 감수 / 성안당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먹거리가 다양해지면서 옛날에는 많지 않던 병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당뇨병이다. 한의학에서는 소갈병이라고 불렀는데 이 소갈병의 대표적인 인물이 세종 대왕이었다고 한다. 고기를 유달리 좋아했다고 하는데 먹는 것은 많이 먹고 운동은 적고 일을 많이해서 몸에 스트레스는 쌓인 상태니 당뇨에 걸리기 쉬웠을 것이다.


당뇨가 어떻게 걸리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어떤 사람들이 걸릴 확률이 높은가에 대해서는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바로 많이 먹는 것이다. 더불어서 많이 먹고 운동을 적게 하는 경우. 물론 많이 먹는다고 다 당뇨에 걸리진 않지만 평범하게 먹는 사람에 비해서는 당뇨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요즘에는 방송이고 인터넷이고 먹는 이야기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어서 맛있는 것에 대한 유혹이 심하다. 그런데 맛있는 음식 중에서 당뇨에 괜찮은 것은 거의 없으니 이런 음식들을 많이 먹게 되면 그만큼 살이 찌고 비만이 되면서 당뇨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당뇨는 그 자체로도 안 좋지만 다른 병들을 불러일으키는 병이기에 병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다면 평소에 당뇨병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당뇨병이라는 병에 대한 개념을 알고 원인과 증상, 치료법을 알면 그만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책은 우선 물질 대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뇨병도 일종의 대사가 잘못되는 병이니 기본적인 물질 대사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 하는 것이다. 물질 대사란 생물이 섭취한 물질을 체내에서 분해하거나 합성하는 다양한 화학 작용을 말하는데 이 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여러가지 질병이 온다는 뜻이겠다. 책에서는 물질 대사의 기본 개념과 함께 물질 대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것이 잘못되면 어떤 병이 오는지 그리고 물질 대사와 관계 깊은 내분비와 호르몬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


이제 당뇨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 즉 혈당의 높은 상태가 지속되는 대사 질환이다. 우리 몸은 탄수화물로 대변되는 당이 에너지원으로 쓰이는데 이 당이 필요 이상으로 쌓이고 쌓이면 당뇨에 걸리게 되고 너무 많이 쌓이게 되면 합병증이 와서 결국 목숨까지 위태롭게 되는 병이다.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하거나 불충분할때 생기는데 1형과 2형으로 나눈다. 1형은 인슐린이 아예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고 2형은 인슐린이 적게 나오거나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인데 당뇨 환자의 95%이상이 2형 당뇨병이라고 한다. 결국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가 되고 작동이 되면 병에 걸리지 않지만 그것이 잘 안될 때 이 병에 걸리게 되는 것인데 당뇨병의 치료에도 결국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인슐린을 보완하고 대체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다.


책은 당뇨의 진단 기준을 제시하면서 당이 나빠지면 어떤 합병증에 이르게 되는 것인지 설명하고 치료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도 설명한다. 안타까운 것은 아시아인들이 서양인들에 비해서 체질상 인슐린 분비가 약하다는 것이다. 인슐린이라는 것이 결국 당을 분해해서 혈중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것인데 이것이 잘 안 나온다는 것은 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그래서 서구인들은 뚱뚱해도 당뇨가 아닌 경우가 많고 한국인은 말랐는데도 당뇨병이 있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뚱뚱할 수록 당뇨가 생길 확률이 높아지지만 말랐다고 안심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몸에 쌓이는 것은 당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지방도 있다. 이것이 기준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이상지질병이 된다. 흔히 콜레스테롤병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지질병은 콜레스테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성지방도 있다.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모두 우리 몸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지만 이것이 기준 이상으로 쌓이면 병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도 결국 대사 이상으로 인한 병이기에 책에서는 대사 이상과 관련된 설명을 하고 있다.


인간은 다른 생명과는 달리 적정선을 벗어나서 먹는 동물이다. 생존에 필요한 만큼의 식량을 먹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먹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인체는 에너지원이 들어와서 대사가 된 다음에 배출을 하는 시스템인데 이 중에서 과다하게 에너지원이 들어오면 결국 탈이 나는 것이다. 필요한 만큼 대사를 하고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 쌓이게 된다. 그 쌓인 것들이 결국 독소로 작용해서 우리 몸에 병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그런 대사 작용의 이상으로 생기는 병이 당뇨병이고 이상지질병인 것이다.


책은 쉽고 어렵지 않게 이해하게 한다. 당뇨병의 개념을 알기 위해서 대사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쌓게 하고 이 대사 이상으로 인한 여러 질병들에 대해서도 핵심적인 내용을 잘 전달하고 있다. 대사 작용과 거기에 관계된 여러 병들 그리고 내분비 질환과 호르몬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어서 전반적인 인체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용도 간결하면서도 알아야 할 것을 잘 정리해서 알려주고 있고 무엇보다 적절한 그림을 함께 싣고 있어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그림으로 이해하는 인체 이야기'의 한 시리즈인데 전체 책들이 다 좋다. 이 정도만 알아도 건강 챙기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정독하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