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모 히브리스 - 인류, 그 거침없고 오만한 존재의 짧은 역사
요하네스 크라우제.토마스 트라페 지음, 강영옥 옮김 / 책과함께 / 2023년 4월
평점 :
지구가 탄생하고 수 많은 동물들이 살아가고 죽었지만 인간만큼 큰 영향을 끼친 동물은 없을 것이다. 공룡은 수 천 년도 아닌 수 천 만년 이상 지구를 지배했지만 인간은 고작 만 년도 안된다. 하지만 그 어떤 시대보다 지구의 환경을 어지럽히고 황폐화 시키고 있다. 그 어떤 동물보다도 고등 생물인 인류가 왜 이렇게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하게 되었을까. 이 책은 그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호모 히브리스' 라는 학명을 이야기한다.
히브리스는 그리스어로 '지나친 오만과 자신에 대한 맹목적 과신'을 뜻한다.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 나머지 오만함을 가졌다는 뜻이다.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호모 사피엔스에서 비롯된 인류가 시간이 지나면서 지구의 어떤 생물도 이룩하지 못한 진화를 만들어 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게 똑똑한 인류도 대자연의 위력 앞에서는 힘없는 존재일 것인데 어느 순간 스스로의 능력에 도취되어 지구를 마음대로 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인류의 진화 역사를 살펴보면서 이 지적이면서도 어리석은 동물이 지구의 역사에서 멸망의 길을 가게 될지 아니면 새로운 상생의 길을 가게 될지 그 실마리를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책은 1장부터 여러 고인류의 이야기를 하면서 진화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우리 인류는 여러 종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네안데르탈인을 설명한다.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보다 작은 키에 단단한 체격을 갖고 있어서 조금 더 북쪽에서도 살 수 있을 정도였다. 동굴에서 살았는데 발견된 뼈를 연구한 결과 식인의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같은 부족이 아니라 다른 부족의 네안데르탈인을 먹었고 일상적인 것이 아니라 극한의 상황에서 일어난 일로 추정이 된다고 한다.
현생 인류와 비슷한 시기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현생 인류보다 더 강인했으나 결국 지구를 지배하게 된 것은 현생 인류였는데 이들은 다른 고인류와 접촉하면서 그들의 유전자도 함께 가지게 되었고 계속해서 진화를 거듭하여 유일종이 되었다. 책은 아프리카를 벗어난 여러 종들이 어떻게 지구의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는지를 지도를 통해서 잘 알려주고 있고 수렵이나 채집을 하면서 살아가던 인류가 정착 생활을 하면서 농경을 도입하는 과정까지 이야기 하고 있다.
지구의 역사에서 인류의 역사는 짦은 순간이지만 그 짦은 시간동안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성장했다. 대자연의 위력 앞에서 어떻게 할 수 없는 존재였지만 차츰 환경에 적응하고 헤쳐나가게 된다. 특히 빙하기라는 절멸의 시대에서 많은 동물들이 멸종했지만 결국 살아남게 되는 것을 보면 인류의 생명력에 새삼 놀라게 된다. 단순히 강한 몸을 가져서 그런 것이 아니라 엄청난 자연 앞에서 그 상황에 견디기 위한 여러 생각을 해 내었고 그 중에 하나가 사냥이다. 수월한 사냥을 위해서 도구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차츰 발달하면서 문명을 이룩하게 된 것이다.
책은 천만 년 동안의 인류의 진화사를 이야기 하면서 지구를 멸망 시키는 것은 인간이지만 지구를 살리는 것도 인간이라는 희망을 갖게 한다. 큰 정복욕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수 많은 사람들을 살리려는 선의도 가지고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결국 우리가 멸망의 길을 걷게 되지 않으리라는 믿음을 역설하고 있다.
책은 인류의 진화 역사를 이야기하면서 그 진화의 유전자에는 결국 지구를 구할 유전자도 있음을 주장하고 있는데 내용 자체는 그리 쉽게 접근하기는 어렵다. 전문적인 용어나 개념이 나오기 때문에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이해가 간다.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 좀 긍정적으로 책을 마무리하는데 조금 뜬금없다는 느낌도 들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에서 인류의 진화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그 속에서 인류 생존의 실마리를 찾는다는 것이 생각해 볼 관점이어서 읽어 볼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