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자본색 - 우리가 몰랐던 조선 활자 이야기
이재정 지음 / 책과함께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쇄술은 중국에서 처음 발명했지만 우리 나라는 그것을 수입해서 더 나은 발전을 이루었다. 목판 인쇄는 어떻게 보면 쉬운 수준이었고 그것에서 더 나아가 활자를 만들어서 인쇄하는 기술까지 발달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바로 '금속 활자'다. 구리나 주석같은 금속을 이용해서 활자를 만들어서 책을 인쇄한 것인데 우리 나라는 공식적으로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발명국이다. 그 유명한 '직지'가 바로 우리 나라에서 인쇄된 것이다.


그런데 직지는 고려 시대 유물이고 그 다음 왕조인 조선 시대의 금속 활자는 어떠한 가치를 지닐까. 고려 시대가 아니라서 큰 가치가 없는 것은 절대 아니다. 서양 인쇄술의 시조인 구텐베르크가 처음으로 인쇄기를 만들어서 책을 만든 것은 1455년경이라고 한다. 직지가 인쇄 된 것은 1377년이고 이 사이 78년간 우리 나라에서 금속 활자는 새롭게 만들어졌다. 즉 직지가 아니라고 해도 그텐베르크보다 수 십 년 앞선 금속 활자 기술력이 있었던 것이다.


이미 1403년 조선 초기 태종때 계미자가 만들어졌고 1420년 세종때는 경자가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1434년에는 조선을 대표하는 최고의 금속 활자인 갑인자가 만들어졌다. 고려 시대의 금속 활자 기술이 조선에서도 꽃피웠던 것이다. 그런데 그런 15세기 활자가 몇 년 전에 발견이 되었다. 금속 활자를 만드는 재료인 금속은 당시에 쓰임새에 비해서 생산량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새로운 활자를 만들때는 그전에 만들었던 글자를 녹여서 만들었다. 그러기에 15세기 활자가 발견이 되었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었다.


발굴 당시에는 정상적인 보관 중에 발견이 된 것이 아니라 항아리 같은데 담겨있었다고 한다. 그냥 항아리에 담겨 놓고 파묻었던 것이다. 어떤 이유로 그렇게 땅에 묻었는지 여러 가지 설이 분분하지만 확실한 것은 없다. 중요한 것은 금속 활자가 발견되었다는 것. 그전에는 금속 활자로 찍은 책만 있었는데 이렇게 오래 전 만든 금속 활자를 대량으로 발견한 것은 정말 흥분되는 일이다.


책은 이 역사적인 발견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금속 활자들의 가치와 함께 현재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수 십만 점의 활자들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말 했듯이 금속 활자는 금속이 귀한 탓에 뒤에 만드는 활자를 위해서 앞에 만든 활자는 녹이기 때문에 실물로 전해지기 어렵다. 이것은 구텐베르크의 서양도 마찬가지다. 인쇄한 책 자체는 후대에 전해지는 것이 많지만 활자 자체는 그렇게 많지 않은데 우리 나라에서 이렇게나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세계적으로도 우리가 가장 많이 갖고 있다.


조선 시대 왕들은 역량이 된다면 금속 활자를 만들었다. 그 역량은 대부분 국력도 괜찮고 왕권이 컸을 때였다. 금속 활자를 만드는 것을 통해서 왕권을 과시하고 그 역량을 내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지은이는 금속 활자 자체가 당대 왕들의 보물이었다고 하는데 일리가 있는 말이다. 금속 활자는 문화와 경제력이 밑받침이 되지 않으면 제작하기 어려웠는데 그만큼 가치가 있었기에 능력이 된다면 만들고 싶어했던 것이다. 전란으로 재정이 궁핍했던 선조나 인조때까지는 거의 만들 수가 없었던 것이다. 대신 민간을 통해서 활자를 만들어서 나중에 국가로 귀속하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고 한다.


4장과 5장에서는 활자로 인쇄한 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인쇄용 글씨는 어떤 사람 것을 했을까부터 활자의 이름과 책에 따라서 달라지는 서체를 설명하고 한자 활자에 비해서 많이 만들어지지 못했던 한글 활자에 대한 이야기도 한다. 서체는 보통 당대의 명필이나 중국의 명필에서 글자를 따 왔는데 조선 초기 명필가였던 안평 대군의 글씨가 쓰였다는 것이 눈에 띈다. 세종 대왕이 만드신 한글을 이용한 다양한 활자가 만들어졌으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도 들었다.


책은 전반적으로 조선 시대의 금속 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직지로 대표 되는 고려 금속 활자에 비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 시대 금속 활자도 충분히 가치 있고 보물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내용이었다. 전문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약간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천천히 읽으면 조선 금속 활자의 참된 진가를 잘 알 수 있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