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인문학 - 동해·서해·남해·제주도에서 건져 올린 바닷물고기 이야기
김준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기사에서 인구 수 대비 가장 많은 생선을 먹는 나라가 우리 나라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사실 물고기는 인류가 탄생한 이래로 가장 중요한 생존 자원인데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의 동아시아에서 많이 먹는다. 우리 나라는 근해에서 잡힌 물고기가 내륙까지 운송되면서 소비가 되었는데 경제가 발달하고 생선에 대한 인식이 더 넓어지면서 소비가 더욱더 커졌다.


우리 나라는 바닷 물고기뿐만 아니라 내륙의 강에서 사는 물고기도 많이 접할 수 있어서 그만큼 어족 자원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그런데 이런 물고기에 대해서 과연 얼마나 알 수 있을까. 그리고 그 물고기와 관련해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라고 물으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다. 이 순간 우리 식탁에 있는 물고기가 과연 어디에서 잡히고 그 연원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기 어려운데 이 책은 그런 우리의 물고기에 대해서 잘 이야기해주고 있다.


지리적으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기에 다양한 생선이 많다. 그리고 주위 바다의 해류가 다양하게 흐르고 있어서 그만큼 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그래서 동해, 서해, 남해, 그리고 제주도 인근해까지 주요 생선이 다르다. 우리는 그만큼 다양한 맛의 물고기를 접할 수 있는 것이다.

책은 동해와 서해, 남해, 제주도 바다를 대표하는 바닷 물고기를 소개하면서 우리의 삶을 함께 조명한다. 해안과 수온, 수심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각 바다는 다르다. 그래서 거기에 맞게 사는 다양한 생물들이 있는데 그 자원을 잡기 위해서 어부들의 삶도 달라지게 된다.


우선 동해의 어족을 살펴본다. 대표적인 수종으로는 명태, 가자미, 청어, 고등어, 도루묵을 이야기하는데 도루묵은 잘 접하지 못한 생선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말짱 도루묵'이라고 할 때 그 도루묵이다. 이 말은 '아무 소득이 없이 헛된 일이나 헛수고를 속되게 이르는 말' 이라고 한다. 옛날 난리를 피해서 동해안을 지나던 왕이 도루묵을 접하고 맛이 뛰어나서 기억했다가 나중에 평화로울때 다시 먹으니 그 맛이 안 난다고 '도로 물려라' 라고 해서 도루묵이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아무튼 이 도루묵이 옛날에는 생산량은 많고 사람들은 잘 찾지 않아서 어부들도 크게 반지지 않았다. 그러나 요즘에는 없어서 못 먹을 정도다. 일본으로 수출도 많이 하고 조림이나 구이, 탕, 식해로 많이 찾는다. 도루묵 식해는 생소한데 맛이 궁금하다. 


서해는 수심이 얕고 대륙붕이 발달하고 서해로 흐르는 강도 많으며 갯벌과 섬이 많다. 그래서 다양한 어족 자원을 만날 수가 있는데 강과 바다 모두에서 사는 물고기로 웅어가 대표적이다. 웅어는 바다에 살다가 봄이면 하루로 올라와 알을 낳고 가을에 다시 바다로 가서 겨울은 난다고 한다. 그래서 강에 올라올때 잡힌 웅어가 맛이 좋다고 한다. 웅어는 조선 초기부터 임금의 수라상에 올라서 진상 상품이었다. 양반들도 많이 찾아서 그만큼 수요가 많았다고 한다. 그 좋은 웅어가 요즘에는 많이 잡히지 않는다. 강과 바다를 자유로이 왔다 갔다 하는 어종인데 웅어가 즐겨 찾던 물길이 막혀서 순환이 안되는 것이다. 조선 시대 임금에까지 진상되었던 이 물고기가 이제는 빛을 잃고 있다.


남해는 대구, 멸치, 전어, 삼치, 서대, 우럭이 유명하다. 이중에서 서대는 전남 여수 최고의 생선이다. 여수 사람들은 서대를 지극히 사랑해서 '1년 열두 달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라고 한단다. 서대는 가자미목에 속하는데 서해와 남해에 많이 서식하고 어획량을 보면 여수, 목포 등 전남이 절반을 차지한다. 지금은 냉동 보관시설이 좋지만 그렇지 않았던 옛날에는 말려서 구이나 조림을 했다. 그외에 회무침이나 찜, 매운탕에 다양하게 요리할 수 있다. 서대의 장점은 손질이 간단하고 보관하기 좋다는 것이다. 내장을 꺼내기도 좋고 비린내도 심하지 않아서 보관해뒀다가 그때 그때 쓰기에 알맞다. 이런 좋은 생선이 또한 요즘에 귀하다고 한다.


제주 바다는 그냥 남해가 아니다. 제주도 라는 큰 섬의 구조때문에 생태 환경이 다르다. 그래서 여느 남해 바다가 아니라 제주 바다다. 방어, 갈치, 자리돔, 옥돔이 대표적인 어종이다. 요즘에 제주산 갈치가 각광을 받지만 원래부터 제주표 생선은 돔이었다. 돔의 종류는 참돔, 감성돔, 옥돔, 벵에돔, 돌돔, 범돔, 자리돔까지 다양하다. 이들의 공통점은 튼튼한 가시지느러미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중에서 옥돔은 과히 제주도 대표 생선이라고 할 수 있다. 대형 옥돔은 8~9년 이상 자란다고 하는데 가을과 겨울에 맛이 좋다고 한다. 이 크기도 크고 맛도 좋은 옥돔은 잡기가 어려워서 그만큼 비싸다. 제주도에서도 제사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만 구경 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그만큼 특별한 생선이라고 해서 신에게 바치는 생선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 이 귀한 옥돔을 먹어봤는데 뭐라고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맛이 좋았던 기억이 난다.


책은 우리의 바다와 그 바다에 사는 우리 물고기, 그리고 물고기에 얽혀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까지 풍부한 물고기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적어도 여기 실린 22종의 물고기에 대해서는 어떤 내용인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책에 나오는 이 생선들만 해도 환경 오염과 남획 등으로 인해서 쉽게 접하기 힘든 것이 대부분이다. 멸종의 위기에 있는 것들도 있다. 우리가 환경에 눈을 돌리지 않으면 이 귀한 생선들을 다 잃게 될지도 모른다. 바다가 풍요로워져야 인간도 풍요로워진다는 단순한 논리를 새삼 확인할 기회였다. 인간과 바다에 대한 성찰을 하게 되는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