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보다 수가 적다. 희귀한 것은 아니지만 아주 흔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보통 오른손잡이들이 있는 곳에서 왼손잡이는 비정상이다. 그러나 왼손잡이만 있는 곳에서도 오른손잡이가 정상일까. 거기서는 당연히 오른손잡이가 비정상이다. 사실 정상과 비정상을 그렇게 구분 짓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다 나름의 쓸모가 있는 것인데 나누는 근거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정상과 비정상이 무엇인가에 대한 색다른 사유를 하는 책이다. 근미래를 배경으로 '자폐'라는 병에 걸린 사람과 걸리지 않은 사람이 주된 등장인물이다. 시대는 임신 중 자폐라고 진단이 되면 치료할 수 있는데 주인공인 루는 그 혜택을 받지 못한 마지막 세대다. 루는 전원 자폐인으로 구성된 어느 대기업의 한 부서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은 보통 사람들과의 소통은 쉽지 않지만 뛰어난 수학적 능력을 기반으로 회사에 큰 이익을 주고 있다. 그래서 회사는 이들을 위한 여러가지 전용 시설을 제공하면서 괜찮은 복지 혜택을 주고 있다.


그런데 이 복지 헤택을 없애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 새롭게 이들의 상사로 부임한 진 크렌쇼는 이들에게 들어가는 복지가 경제적 낭비라고 생각하고 이들을 '정상화' 시키면 그 혜택을 없앨 수 있다고 여긴다. 그에게는 '자폐'가 비정상인것이다. 그리고 비정상에게 돈을 들이는 것을 비정상으로 여기는 것이다. 물론 그 특수 부서에서 회사에 큰 이익을 주고 있는 것도 애써 무시하면서 말이다. 여기서 중세 시대 무조건 신만을 강조하던 시대 분위기가 생각난다. 그냥 극단적인 사고 방식인 것이다.


어떻게 보면 자폐인들에게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좋은 일 일지도 모른다. 정상이지 못해서 불편한 점이 한 두 가지였겠는가. 그러나 루는 그것을 거부한다. 자폐는 그 자신의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분이라고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한다. 자폐가 있는 나 자신이 좋다. 루가 정상인이 되고자 하는 생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강요된 정상인은 자신이 아니라는 것. 루는 자신만의 의지를 나타내기 시작한다. 정상인뿐만 아니라 비정상인들에게도.


살면서 장애를 비하하거나 동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표현은 하지 않았을 뿐 내가 정상이고 그들이 비정상이라고 생각했겠다 싶다. 너무나 당연하게 장애는 정상인에 비해서 여러 모로 불편한 것이 많으니까. 하지만 장애인들에게도 엄연한 주체성이 있고 의지가 있음을 왜 생각하지 않을까.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할까. 그렇게 보는 우리들이 '비정상적인 마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장애와 차별에 관해서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을 깨닫게 해준다. 대체 무엇이 정상이고 무엇이 비정상이란 것인가. 신체적인 불편이 비정상이라면 삐뚤어진 마음을 가진 정상인들은 정상이라고 할 수가 있는가. 자폐를 가졌던 가지지 않았던 인간은 그 존재 자체만으로 존엄성을 가진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해주는 책이었다. 인간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으로 그 내면을 잘 그려낸 작품이다. SF 소설로 그려냈지만 주제 의식을 아주 고급스럽게 잘 표현한 이 시대의 명작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