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역으로 조선왕조실록을 읽다 - 조선의 왕들, 주역으로 앞날을 경계하다 ㅣ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3
박영규 지음 / 씽크스마트 / 2020년 7월
평점 :
주나라 시대의 역을 주역이라고 하는데 이때 역은 변화를 뜻한다. 삼라만상 모든 사물과 현상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을 주역이라고 하는데 흔히들 점치는 도구라고 하면 알 것이다. 운명을 알아보는 명리학의 기본이 주역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생겨난 이래로 수많은 사람들의 필독서가 되었다. 동양철학을 논할때 주역은 빠지지 않는다. 미래를 점치는 것 때문에 중국을 비롯해서 여러 나라에서 신분과 관련 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은 책이다.
그런 주역을 조선 시대 왕들도 필수적이다시피 읽었다는 것을 아는가. 왕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선비라면 주역을 읽지 않은 사람들이 없었을 것이다. 쉬운 학문이 아니기에 주역을 잘 본다는 사람은 그 중에 적었겠지만 세상을 보는 눈을 넓혀주기에 주역은 많은 사람들이 읽는 책이 되었다.
왕에게 주역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기본적으로는 길흉을 점친다는 의미에서 필요했을 것이다. 지금같은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조선 시대에는 미래에 대한 호기심과 함께 두려움도 있었을 것이고 국가 중대사에 무언가 좋은 복을 받고 싶었을 것이다. 그리고 혹시나 나쁜 것에 대비한다는 점에서 주역이 필요했다. 주역은 국가 경영에 있어서 원천적인 원리를 제공했던 것이다.
주역의 원리는 의외로 복잡하지 않아서 규칙만 파악하면 어렵지 않게 볼 줄 안다고 하는데 문제는 단순히 보는 것과 해석하는 것은 다르다. 같은 괘가 나왔다고 해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늘과 땅 차이인 것이다. 길한 것인데 흉하다고 해석할 수도 있고 흉한데 길하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어느 정도 해석할줄을 알아야 주역 본다고 말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임진왜란의 영웅 이순신 장군도 주역을 이용해서 점을 많이 쳤다. 척자점이라고 하는데 아무래도 전장의 지휘관이기 때문에 앞으로 있을 전투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기 위해서 점을 쳤을 것이다. 장군은 한번도 패한 적이 없는데 그것은 질 싸움은 하지 않고 이기는 싸움을 하기 위해서 철저히 준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역점도 좋게 나왔을 것이다. 난중일기에서는 여러 장면에 걸쳐서 점을 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들이나 아내에 대한 점, 류성룡이나 원균에 대한 점을 통해서 길흉을 예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숙종은 어린 나이에 임금이 되어서 오랫동안 재위한 왕중 한 명인데 당시는 4색 당파가 제각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노회한 조정 중신들에게 함몰되지 않고 각 당을 밀고 당겼다 하면서 왕권을 강화한 영리한 군주다. 그때 주역이 사용된다. 주역에 대한 공부가 많이 되었기 때문에 주역에 나오는 문구로 신하를 압박하기도 하고 신하가 주역을 이용해서 임금을 견제하기도 했다.
조선왕들 중에서 세조가 제일 주역에 밝았다고 한다. 업무를 지시할때 주역의 괘를 상황에 맞게 인용하기도 하고 주역의 궤를 주제로 시를 쓰기도 했다고 한다. 주역을 잘 보는 사람에게는 가산점을 주거나 특별 채용을 하는 등 주역을 국정 전반에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쿠데타를 통해 집권하면서 많은 피를 봤던 세조는 말년에 후회하면서 불교에 귀의했는데 이때 주역을 통해서 회한을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주역과 관련해서 1000여 건의 여러가지 일화가 실려 있다고 한다. 그만큼 주역이 국정은 물론이고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고 읽고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쯤되면 '조선주역왕조'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까 싶다. 책은 여러 왕들과 신하들의 주역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를 실어서 주역이 중요한 위치에 있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중간에 나오는 주역에 대한 실제 설명이 어려워서 그 부분은 솔직히 대충 넘어갔긴 한데 그래도 주역을 통해서 조선 왕조를 들여다보는 시도는 신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