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 지식의 한계 세계관 - 과학적 생각의 탄생, 경쟁, 충돌의 역사
리처드 드위트 지음, 김희주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0년 7월
평점 :
세계관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세계관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세상을 보는 틀을 말한다. 움직일 수 없는 거대한 법칙을 인정하고 그 법칙 내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인데 이 책은 그런 과학적인 세계관이 어떻게 나타나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이야기하는 일종의 과학철학책이다. 어떻게 보면 과학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다. 과학은 단순한 합이 아니라 그것이 모여서 세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인식의 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세상을 바라보는 총체적 합이라고 할 수도 있다.
과거에 천동설이 진리이던 시절이 있었다. 아주 오랫동안 그것은 불변의 진리요 만고의 진리였다. 당대에 내노라 하는 학자들이 이것은 비교될 수 없는 진리라고 했던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세계관이다. 그때의 세계관은 지구가 중심인 시대였다. 그러나 지금은 천동설이 틀린 것임을 안다. 지동설이 진리라고 하는데 그렇다고 이것이 변하지 않는 진리일까. 미래에는 또 다른 이론이 진리가 될 지도 모른다. 이 책은 이런식으로 과학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각 세계관에서의 과학적인 철학과 진리는 무엇이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선 1부는 세계관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부터 설명한다. 그 세계관에 따른 진리는 무엇이고 어떤 시선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면서 과학이론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인 도구주의와 실재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과학적 진리는 언제나 변할 수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2부에서는 오랫동안 진리로 알아왔던 '아리스토렐레스 세계관'이 '뉴턴 세계관'으로 변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은 인류의 역사에서 아주 오랫동안 주류의 시각으로 받아들여졌던 세계관이다. 우주의 중심에 둥근 지구가 정지해 있고 그 주위로 태양을 비롯한 많은 행성들이 모여있다는 이론이다. 이것은 서구 세계를 지배했던 기독교적인 관념과 이어진다. 그래서 완전한 진리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 수록 여러가지 과학적 도구가 만들어지고 이것을 통해서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이 세계관이 흔들리게 된다.
중간에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코페르니쿠스 체계, 티코와 케플러 체계를 거쳐서 결국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은 여러가지 오류가 있음이 밝혀지고 새롭게 뉴턴 세계관이 발전하게 된다. 뉴턴 시대에 망원경을 비롯한 많은 과학적인 도구의 발전은 기존의 과학 관념을 새롭게 정립하게 했고 전혀 다른 세계관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우리가 흔히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만큼 혁명적이고 기존의 개념이 완전히 탈바꿈하는 것을 뜻한다.
1부와 2부가 과거와 가까운 현재의 과학적인 세계관의 발전과 전환을 설명하고 있다면 3부에서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세계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특수상대성 이론, 일반상대성 이론 등 현대 물리학의 핵심 이론과 함께 양자론과 진화론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우리는 바야흐로 양자 시대로 돌입하는 것이다. 기존의 평면적인 세계관에서 양자론적인 세계관으로 전환하는 것은 인류 미래가 새로운 도전에 놓여 있다는 뜻도 될 것이다.
읽기가 그리 쉬운 책은 아니다. 처음에 단순히 여러 과학적 사실들의 역사적인 면을 이야기 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그것보다 더 심오한 내용이다. 과학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또 그 과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세계관에 어떻게 정립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하는 기회였는데 평소 자주 접하지 않는 내용이라서 쉽게 안 읽힌다. 과학적인 철학을 이야기하는 내용이라서 천천히 읽으면서 곱씹어야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