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문화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잘난 척 인문학
민병덕 지음 / 노마드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가 우리에게 끼친 패악은 뭐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근본적인 것은 과거와의 단절이다. 수백년 동안 내려온 삶의 방식을 일제가 자신들의 방법으로 강제한 결과 옛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가를 알 수 없게 되버렸다. 압제 시절이 없었다면 자연스럽게 익히고 알았을 일인데 그냥 옛날일로 생각하고 만다. 다행히 잊혀졌던 소소한 역사들을 퍼즐 맞추듯 하나씩 하나씩 찾아서 전체전인 우리의 옛 모습을 복원하고 있는데 이 책이 그런 역할을 하는 듯하다.


제목이 역사문화사전인데 그야말로 옛날 사람들은 오늘날과 어떻게 다르게 살았는가에 대한 총제척인 보고서다. 결론부터 말하면 형태는 다를지언정 비슷하게 살았다고 말 할 수 있었다.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제도나 풍습이 옛날의 그 시절에도 많았던 것이다. 첨단산업이 발달하고 옛날에 치환될 수 없는 기기들이 나와서 삶의 모습이 달라지긴 했어도 사람들 생각하는 건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게 한 내용이었다.


책은 여러 분야에서 우리가 몰랐던 일들을 다루고 있는데 짧게 짧게 여러편을 소개하고 있어서 아무 쪽이나 펼쳐서 읽으면 재미있을 부분이 많다. 그렇게 해서 첫번째로 본 부분은 코끼리다. 이 동물은 우리나라에서는 살지 않는데 어떻게 살았을까. 답은 외국과의 교역때문이다. 아마 조선 이전에 시대에도 있었을지도 모르는데 이미 조선에서는 초기 태종때 있었는데 이 이상한 동물은 쓸곳은 별로 없는데 먹는 것이 많아서 천덕꾸러기였다고 한다. 이곳 저곳을 떠돌아 다녔다고 하는데 어디서나 환영받지 못했다고 한다. 코끼리를 소 대신에 농사에 썼으면 더 많은 코끼리가 수입 될 수도 있었을꺼란 생각도 들었다.


우리나라는 인쇄술로 유명하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생산국이기도 한데 손으로 써서 만든 필사본이 발달해서 목판 인쇄술이 발명이 되었고 이것이 금속 인쇄술로 발전된 것이다. 많은 서책들이 발간이 되었는데 직지심경을 제외하고 현존하는 책이 없다는 것이 아쉽다. 관공서나 돈 있는 개인이 소수로 책을 출판했기때문에 오늘날과 비슷한 출판 산업은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조선 후기 매매를 목적으로 간행된 방각판이 나왔다고 한다. 이때 나온 출판물로는 서당의 학습용 서적이나 여러 소설류가 있었는데 뛰어난 인쇄술을 발판으로 진작에 산업화를 했다면 우리의 국력이 일찍 부강해졌을꺼란 아쉬움이 있었다.


책은 재미있다. 알고 있는 부분도 많고 새로 알게 된 부분도 많았다. 우리나라의 저력을 느끼게 하는 부분도 있었고 역사 발전을 후퇴시키는 여러 부분들도 있어서 아쉬움도 있었다. 전체적으로 지나간 시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켜주는 내용이 많았다. 물론 이 책으로 앞 시대 사람들의 삶을 다 알 수는 없겠지만 어떻게 삶을 이어갔는지 대략적으로 상상 할 수 있는 것이다. 몇시부터 몇시까지 일하고 무엇을 먹고 볼일은 어떻게 보며 결혼이나 휴가 같은 우리가 실제 매일 마주치는 문제들을 과거의 사람들은 어떻게 대처했는가를 잘 알려주고 있어서 흥미로왔다.


시리즈는 잘난 척 하기 좋다고 하지만 너무 짧아서 잘난 척 하긴 어렵겠고 지식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자극이 되기엔 좋은 책 같다. 이 책에서 흥미를 가진 부분을 더 자세히 공부하게 되는 기회가 될 수도 있을꺼 같다. 이리저리 머리 아플때 아무렇게나 펴 놓고 읽다보면 빠지게 되는 그런 책이라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