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의 배신 - 길들이기, 정착생활, 국가의 기원에 관한 대항서사
제임스 C. 스콧 지음, 전경훈 옮김 / 책과함께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가는 어떻게 생겼고 또 문화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인간이 수렵 이동 생활을 하다가 농경을 하게 되었고 농경에서 얻어지는 생산력으로 인구가 많아지게 되자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고 모여 살다가 계급이 생기고 분화, 초기 국가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점점 커져서 오늘날의 국가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문화나 문명이 건설되었다는 것이 대략적인 이야기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고 그 과정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어서 아무런 생각도 못했던 사실이다. 뭐 자세히 알지 못해서 반박할 생각도 못했지만. 그러나 이런 시각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나름의 역사적인 성과를 갖고 있는 지은이는 기존의 많은 성과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주장을 했으니 그것은 농경이 곧 국가나 인류 발전에 이바지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농경이 정착 생활을 이끌었다는 것은 어느 정도 타당한 면이 있다. 농사를 짓는 것은 한 장소에서 긴 시간 동안 정성을 들여서 돌봐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씨를 뿌려 놓고 방치한다고 해서 원하는 생산품을 얻을 수는 없다. 우리가 벼농사를 하는데 벼를 심고 나중에 와서 쌀을 얻게 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매일 매일 작물의 상황을 살피고 날씨나 기후 등을 관리해야 하는 데 어디 먼 곳에 살면서 왔다 갔다 하는 것 보다는 가까운 한 곳에 정착해서 돌보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것이 아닌가. 그래서 그것이 자연스럽게 정착 생활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것이 발전해서 국가가 되었다고 하는 결론이 자연스러운 면이 있다.


그러나 지은이는 정착 생활을 해서 농경이 발달 한 것이 바로 국가로 이어지지는 않는 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정착 생활은 이른바 농경을 하기 훨씬 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물고기 잡으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물고기를 잡아서 정착해서 살고 있는 집으로 왔다는 말이다. 농경을 함으로써 정착 생활이 고정되었다는 기본 상식을 무너뜨리는 이야기였다. 책 내용을 더 보면 이미 정착 생활을 하던 도중에 식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 농경이 이루어졌고 이 농경을 더 생산적으로 하기 위한 촌락이 형성된 것은 수 천년이 흐른 뒤라는 것이다.


고고학과 인류학의 축적된 연구 결과에 의해서 초기 인류가 농경을 위한 정착 생활만을 한 것은 아니란 것은 참 신선한 사실이다. 그때는 정착 생활과 함께 목축 수렵 등의 이동 생활을 했다.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여 살아야 했고 그것이 초기 국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 생활의 풍요로움을 위해서 농경을 했고 그것의 효율적인 관리나 배분을 위해서 국가가 탄생했으나 이것은 불평등을 야기시켰고 무엇보다 전염병 같은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그래서 국가가 무너졌지만 오히려 복지면에서 국가인 때보다 비국가인 때가 좋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국가에 참여하고 싶지 않았던 사람들은 국가밖에서 얼마든지 자생 할 수 있었다. 그때는 끊없는 땅이 있었기에 가능 했으리라. 그러나 국가의 지배욕이 커지고 계급 질서가 더 확고해지면서 국가는 더 크게 되었고 인류 사회는 국가의 틀에 의한 문명 사회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어찌보면 국가에 세금을 내고 나를 보고 받는 것이 아닌 나 자신만을 위해서 자유롭게 사는 '낭만' 이 사라져버렸다고 할 수 있다.


농경에 이은 정착 생활의 고정화와 국가의 형성이라는 공식을 해제시키는 이 책의 주장은 여러가지 고고학 인류학 증거들이 뒷바침되면서 기존의 관념을 흔들리게 한다. 물론 기존의 학설을 지지하는 많은 증거들도 있기에 지은이의 이야기가 완전히 맞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인류 보편의 역사가 다른 식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함으로써 역사와 현상을 보는 눈을 넓게 해주는 책 같아서 좋았다. 번역은 말끔했지만 내용 자체가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그리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인내심 갖고 천천히 읽으면 색다른 즐거움을 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