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캐너 다클리 필립 K. 딕 걸작선 13
필립 K.딕 지음, 조호근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립 K. 딕'은 당대보다 후대에 인기를 끈 대표적인 SF 작가다. 과학 소설을 쓰는 사람들이 다 풍족하진 않다지만 이 작가는 자신이 활동하던 시절에는 큰 빛을 못 보고 궁핍하게 살다가 조금 살만하다 싶을때 세상을 뜨게 되었다. 그의 생각이 너무 앞서있었던 것일까. 그가 살았던 시절을 생각하면 쓴 작품들의 주제 의식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시대였다는 생각도 든다. 지금은 혁신적인 생각이라고 찬사를 할테지만 그때는 보수적인 시절이어서 대체 무슨 생각이냐는 소리를 많이 들었을 꺼 같다.


이 작가의 작품은 소재나 배경은 미래 사회를 깔고 있어서 상상력이 참 풍부하다 싶은데 그 속에 스며있는 내용은 결국 인간성에 관한 것이다. 무엇이 진짜 인간이고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는 것이다.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블레이드 러너'를 보면 진정한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진짜와 가짜가 혼합된 상태. 필립 K. 딕은 그런식의 의문을 던지는 소설을 많이 썼다.


이번에 나온 작품은 아마 자신의 경험도 투영 된 거 같다. 가난하게 살면서 가정 생활도 순탄치 못했던 그가 정신적으로도 힘들었던 것을 반영한 거 같은데 어쩌면 그 자신이 내용속으로 빠져 들어간 게 아닌가 할 정도다. 이야기는 마약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시절, 비밀 요원 프레드에게 지령이 떨어진다. 그것은 '밥 아크터'라는 이름으로 위장을 해서 비밀 요원이라는 정체를 숨긴 채 신종 마약인 'D물질'을 찾으라는 것이다.


주위 누구에게도 자신의 일을 숨긴 채 이중 생활을 하던 프레드는 스스로가 프레드인지 밥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다. 일에 너무 몰두했을까. 마약 단속을 위해서 위장 잠입을 한 경찰들의 제법 흔한 예에서 보였던 중독이 그에게도 일어난다.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게 절제를 했어야 하는데 그게 쉬운게 아니었나 보다. 그런데 상부에서 어떤 용의자를 감시하라고 한다. 유력한 용의자라고 하는데 알고 봤는데 그 대상은 밥 아크터. 바로 자신이었다. 마약에 빠진 자아를 또 다른 수사관 자아가 감시하는 형국이다.


상황만 봐도 미칠 지경 아니겠는가. 두 개의 인격에서 왔다 갔다 하다가 결국 자아 분열을 일으키고 만다. 자신이 망가진 것을 알게 되어서 재활 센터에 들어가지만 그 조차도 감시의 대상이 되고 만다. 그는 과연 어떤 거대한 계획의 한 일부로 작용하게 된 것인가. 아니면 그 자신의 깊숙한 곳에 있는 욕망에 지게 된 것인가.


책에서는 마약으로 인해서 환각에 빠지면 어떻게 되는 가를 잘 묘사하고 있다. 내 정신이 내 것이

아닌 마약의 것이 되는 것이다. 왜 정부에서 마약을 없애려고 하는 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게 된다. 심신의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줄이이 위해서 잠깐 마약을 한다고 하지만 이내 강력한 작용으로 거기에 빠지게 된다. 


마약을 하면 몸이 녹는 것 뿐만 아니라 정신이 내 의지로 조절 할 수 없게 되는 무서운 것이다. 지은이가 평생을 우울증이나 신경쇠약증으로 고생했다고 하는데 그 경험을 바탕으로 두 개의 인격을 가진 이중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잘 전개 시킨거 같다.자신이 경험한 일을 바탕으로 썼기에 마약의 위해성도 드러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마약을 매개로 여러 군상들의 삶의 파편을 잘 보여주고 있고 작전을 위해서 한 인간의 인격을 버리게 되는 비정한 모습을 잘 보여준 작품이었다. 작가의 다른 작품에 비해서 좀 더 현실적인 내용이라서 더 사실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