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도자 이야기 - 유네스코 세계 공예 도시 이천 도자의 어제와 오늘
조용준 지음 / 도도(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이 시대의 최첨단 기기라고 하면 반도체를 들 수 있는데 그것을 우리 나라의 기업들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그러면 과거 고려와 조선의 세계 최고 기기는 무엇이었을까? 현대의 반도체에 비견되는 것이 바로 도자기다. 우리의 고려 청자와 조선 백자는 당시에 최고로 아름답고 경이로운 예술품 이었고 오늘날에도 그 가치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의 도자는 일제의 폭거로 인해서 그 명맥이 끊겼다시피 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과거의 영광이 오늘날에 전승되지 못할 수도 있었다. 다행히 몇몇 장인들이 꺼져 가던 불씨를 조심스럽게 보존해서 겨우 살려놓은 것이 현재의 이천 도자기이다. 


조용준 작가는 우리나라에서 도자기 관련해서 방대한 내용의 책들을 펴낸 사람이다. 유럽의 도자기 시리즈와 일본 도자기 시리즈를 통해서 세계 도자기의 역사와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잘 정리했는데 의외로 우리나라 도자기 관련해서는 저작물이 없었는데 그 아쉬움을 이 책으로 달래려는 듯 이천 도자를 통해서 우리 도자기 역사를 훑어주고 있다.


책은 임란 이후 조선의 도자 산업부터 이야기한다. 사실 일제가 우리의 모든 전통을 말살해서 도자의 명맥도 끊어질 뻔 했지만 이미 우리나라 도자는 임진왜란 이후로 산업화되지 못하고 시들어가고 있었다. 원래 우리가 자랑하는 청자니 백자니 하는 것은 실생활에 쓰이는 물건이라기 보다는 감상하는 예술품에 가깝다. 그래서 이 작품들이 많이 생산이 될려면 그만큼 수요가 있어야 하는데 고려때 비해서 조선은 선비의 기풍으로 사치하지 않는 전통이 생겨서 전 왕조에 비해서 수요가 줄어들었다. 그래서 청자는 쇠퇴했지만 다행이 조선 백자라는 형태로 예술적인 전통이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졌고 갖은 기근과 전염병 등으로 장인들에 대한 대우가 형편없었다. 당시 장인들은 광주 분원에 살고 있었는데 그들의 월급이라고 할 장포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음으로써 장인은 물론이고 그 가족들 수십 명이 굶어 죽었다고 한다. 최고의 예술 작품을 만들어도 그것에 대한 댓가가 제대로 지급되지 않는데 어떻게 산업이 발달할 수 있었겠는가.


조선시대 자기 수요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던 관요가 몰락하고 민요는 크게 발달 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기의 질적 수준이 상향 될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것이 일제 시대를 거치면서 몰락하기 일보 직전까지 간 것이다. 책에서는 조선 후반부터 일제를 거쳐서 해방 초기까지 서서히 쇠퇴해가는 우리의 도자사를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던 도자가 살아난 것은 50년대 서울 성북동과 대방동 가마였다. 거기서 일하던 장인들이 이천으로 옮겨와서 고려청자를 재현하고 백자와 분청등을 만들기 시작하자 거기에서 부터 우리 현대 도자 산업이 움트게 되었던 것이다. 이천에서 조금씩 자기 산업이 발달하게 되자 더 많은 장인들이 모여들게 되고 이천은 우리 도자사의 메카가 되었던 것이다.


책은 거의 무너졌던 우리 도자사가 이천에서 기운을 차려서 새로운 싹을 띄우게 된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1세대 장인부터 3세대 장인까지 그들의 노력으로 한국 도자 산업이 어느 정도 부흥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천이 유네스코 세계 공예 도시로 인정받기에 이르렀다. 먹고 살기 바빠서 우리의 찬란했던 그 시절을 이천에서 되살린 것이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은 멀다. 거의 망할 뻔 했던 것이 이제 부활을 했다는 것이지 지난 시절 세계 최고라고 할 그 시절로 돌아간 것이 아니다. 이천 장인들의 분투를 알아본 것도 우리가 아니라 일본이었다. 집에서 굴러다니던 막사발의 가치를 일본이 알아서 세계에 알렸다. 우리가 외면하고 무지했던 한국 도자를 이제는 우리 자신이 아끼고 살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우리 도자기를 생활속에서 쓴다면 전체적인 수준도 더 올라가지 않겠는가. 과거속에 있기만 하고 잘 몰랐던 우리 도자의 과거와 현재를 잘 알 수 있었던 기회여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