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의 역사 - 인류 역사의 발자취를 찾다
브라이언 페이건 지음, 성춘택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언제 태어났는가? 아니 현재의 인간을 상징하는 호모 사피엔스로부터 수만년 동안 대체 무슨일이 있었는가? 한번쯤은 생각해봤을 의문들이다. 그러나 거기에 속시원하게 답해 줄 사람은 없다. 수만년을 산 사람도 없지만 그때 있었던 것을 증명해줄 증거도 없다. 그렇게 사람들은 과거에 대해서 알수없이 살아왔다. 그러나 이제 고고학이 있어서 과거를 알아가고 있다. 어떻게 보면 잃어버렸던 역사를 다시 되살리고 있는 것이다.

 

고고학은 옛날에 일어났던 일들을 여러가지 유물이나 유적을 통해서 현대에 되살리는 작업을 하는 학문이다.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고고학이 발달하게 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도굴때문이다. 위대한 인물의 무덤에는 부장품으로 진귀한 보물을 함께 넣는 경우가 많은데 당대에는 감히 꿈꾸지 못했지만 시선이 약해진 후대에 그것을 훔치러 들어간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합법적인 발굴 조사로 이어져서 출토된 유물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 발전했다.

 

이 책은 그렇게 고고학이 시작되던 18세기 이후로 역사상 유명하고 의미있는 발굴이나 발견 등을 총 40개 장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모든 발굴이 다 나름의 의미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우리가 깜짝놀랄만한 사실들이 밝혀진 것들을 위주로 소개하고 있다.

책에서는 먼저 성서에 기록된 니네베를 찾아낸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고고학이 발달하게 된 유럽에서는 신교든 구교든 하나님과 예수님을 믿는 종교가 대세를 이루고 있었고 그에 따라서 인간으로 내려온 예수님과 관련된 유적이나 유물을 찾는 시도가 많았다. 그런 분위기에서 성경에 나오는 도시인 니네베를 발견했고 또 바빌론의 실체도 알아내게 된 것이다. 이밖에 이집트는 나폴레옹의 원정을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마야 문명 또한 밀림속에서 잠자다가 강한 탐험 의식을 가진 여행가에 의해서 밝혀지게 되었다.

 

서양에서는 이미 1800년대 초반에 국가적인 유물 관리나 발굴을 위한 기관이 있을 정도여서 그 발달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그 당시 우리는 금석문 해석 정도만 있었을뿐 실질적인 발굴이라고 할 행동은 없었던 것이다. 아 도굴은 물론 있었고. 이제는 우리의 고고학적인 발굴 능력이 상당하지만 고고학이란 학문은 확실히 서양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유럽의 여러 발견에 대해서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진시황릉의 발굴이다. 많은 발견이 우연하게 이루어졌는것과 마찬가지로 이 진시황릉도 수백년동안 감춰져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발견하게 되었다. 일단 이 황릉의 규모는 정말 상상을 초월한다.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황제라는 칭호를 붙였던 진시황이 자신이 살아있을때부터 무려 40여년간 조성했던 지하 궁전인 진시황릉. 기원전 그만한 국력을 가진 나라는 중국의 진밖에 없었다. 지금에 봐도 이 정도 황릉을 조성할려면 수조원이 들지도 모르는 실현 불가능한 일인데 2천년전에 그 엄청난 것을 해낸것을 보면 입이 딱 벌어질 정도다.

 

사실 지금도 계속 발굴하고 있고 병마용갱을 발굴하는데만도 앞으로 수년이 걸린다고 한다. 황릉의 본체는 아직 손도 못대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미래에 발굴 기술이 더 좋아지면 그때가서 다시 발굴한다고 하는데 나름 현명한 판단인거 같다. 지금 드러난 부분만으로도 엄청난 관광자원이 되고 있는데 더 많이 개방한다면 훼손할 우려도 있다.

 

책에는 안 나오지만 우리나라도 유명한 발굴이 몇몇 있는데 정말 획기적인 것은 무녕왕릉 발굴이다. 지금보면 참 허술한 발굴이었지만 처녀 발굴지여서 막대한 유물이 나왔던 곳이다. 경주의 여러 왕릉 발굴도 참 대단한 발견이 많이 있었다. 찬란한 유물만 고고학이 아니다. 석기 시대에 있었던 주먹도끼 같은 유물도 역사를 재편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우리나라가 고인돌의 왕국이라는데 평범해 보이는 큰 돌이 고인돌로 판정이 되면 그만큼의 가치가 새로 생기는 것이다.

 

손안의 휴대폰에서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우주로 우주선이 날아가는 시대라고 해도 수천년에 걸린 인간 역사를 다 알지 못한다. 아는 것보다 모르는것이 더 많다. 그것을 알아가는것이 고고학이고 이것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의 발로다.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알아가는 것이다. 이책은 그런 고고학의 매력을 잘 느끼게 하면서 미지의 세계에 대한 흥분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흥미로운 내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