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유럽 신화 - 바이킹의 신들 ㅣ 현대지성 클래식 5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2월
평점 :
최근 미국 헐리우드 영화의 소재로 신화의 인물을 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그 중에서도 북유럽 신화 관련 이야기가 제일 많은거 같다. 처음 접했던 인물인데 알고 보니 북유럽 신화에 나왔다는 식이다. 북유럽 신화는 그리스 로마 신화와 함께 서구 사회에서 오랫동안 이야기에 많은 영향을 끼친 신화다. 그것이 현대에 와서는 각종 이야기의 얼개가 되는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다른 신화와는 달리 이야기 전개가 흥미롭고 좀 더 색다른 느낌을 주면서 현대적으로 각색해도 괜찮을만큼 이야기가 풍부하다.
최근에 수백만이 본 어벤져스 시리즈에 나오는 토르가 대표적인 이야기다. 토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단독이지만 영화에서 다른 주인공들과 조화롭게 잘 어울린다. 원래 있던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고대 신화지만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흥미롭게 전승되어 왔고 현대에 와서도 여러 이야기에 잘 스며들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럼 이제 그 원천이 되는 오리지널 북유럽 신화를 읽지 않을 수가 없다. 전부터 북유럽 신화에 관련해서 많은 책들이 나왔지만 이번에 나온 현대지성판은 책 앞에 신화에 대한 긴 설명을 하고 있어서 책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번역 자체가 믿을만해서 좋고 책의 내용을 좀더 입체적으로 느낄수있게 수십장의 삽화가 실려있다. 마지막에는 어려운 용어를 일목요연하게 찾아 불 수 있게 해놔서 다음에 또 읽을때 도움이 되게 했다.
기본적으로 신화라는 것은 신들의 이야기다. 그래서 여기에도 많은 신들이 나오는데 역시 중심이 되는 것은 오딘,토르,로키다. 이들이 중심적인 활약을 하게 되고 아마 그래서 영화에도 많이 등장하는게 아닌가 싶다. 우선 오딘은 신중의 신이고 모든 신의 아버지이며 만물을 만든 그야말로 슈퍼신이다. 전쟁도 잘하고 또 늘 승리하면서 북유럽 신화 세계를 지탱하는 가장 중심적인 존재인데 책에서는 오딘이 어떻게 활약을 하는지 흥미롭게 잘 펼쳐진다.
토르는 많은 사람들이 영화로 접했을 이름이다. 천둥과 번개의 신이면서 힘이 엄청나다. 호기심도 강하면서 인간스러운 신인데 책에서 그가 겪는 여러 일들이 재미있게 잘 전개가 된다. 신화에서 언급된 토르의 입체감이 영화에서도 많이 반영이 된 거 같다.
이번에 처음 알았던 것은 로키가 토르의 동생인줄 알았는데 알고 봤더니 오딘과 의형제라는 점이었다. 그렇다면 토르에게는 로키가 삼촌쯤 될려나. 하지만 토르와 로키가 형제인것처럼 잘 붙어다니기도 하고 사실 신화에서 형제 개념을 엄격하게 적용하는건 별 의미가 없을듯해서 그냥 넘어가도 될듯하다. 로키가 확실히 머리가 잘 돌아간다고나 할까. 뭔가 우직한면이 있는 토르에 비해서 상황판단이 빠른 로키다. 그래서 의외로 이 책에서 이야기의 기본 축이 되는 것은 로키다.
어떤 일이 있으면 그건 로키의 음모아닌 음모에 의해서 일어난 일이 많다. 토르를 여장시킨다거나 여러 신들을 면전에서 욕해서 화나게 한다던가 하는 여러가지 일들을 로키가 일으킨다. 어찌보면 신화 세계의 말썽쟁이라고 할 수 있다.그만큼 복합적이면서 다채로운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제일 매력적인 캐릭터이기도 하다. 영화에서도 미운짓을 많이 하지만 어쩐지 그리 밉지 않기도 했고 결국 우리편이 되기에 은근 로키를 이뻐라하는 팬들이 많았는데 역시 원작에서도 이야기의 중심을 이루는 존재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야기의 끝은 좀 허무하다. 신들끼리 대전쟁이 일어나서 결국 거의 모두가 죽는다는 이야기. 이야기를 지은 사람이 더 이상 이야기 만들기 귀찮아서 끝내버린 듯한 느낌이 들었다. 요즘 그랬다면 결말이 엉망이라고 수많은 비난을 들었을터. 비록 신들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인간다움이 많이 접합된 신화였기에 그들의 최후도 어찌보면 인간스러웠다는 느낌이 든다.
이미 게임이나 영화를 통해서 많은 콘텐츠가 생산이 되었지만 책에서는 잘 들어보지 못한 신들의 이야기도 있다. 아마 이들을 활용해서 새로운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 충분히 매력적인 캐릭터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 북유럽 신화를 이용해서 많은 이야기가 나올 듯 하다. 전에는 구현이 힘들었던 판타지 세계에 대한 묘사가 기술 발달로 지금은 그럴듯하게 표현이 되는데 북유럽 신화는 다른 신화보다 판타지 요소가 많아서 더 많이 사용이 되는게 아닌가 싶다.
현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북유럽 신화. 인간들의 욕망과 소원이 잘 반영이 된 이야기인데 수세기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믿음의 대상이 되었고 오늘날에는 흥미로운 작품의 근본이 된 신화다. 앞으로도 여러 분야에서 많이 활용될 이야기이기에 그 원작이 되는 오리지널 북유럽 신화를 제대로 읽는 기회가 되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