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나의 집 모중석 스릴러 클럽 46
정 윤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은 안전한 나의 집이지만 이 '안전한' 이란 것이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다. 무엇으로부터의 안전함일까. 바깥으로부터의? 그렇다면 안에서의 위험에는 안전한 것인가. 제목은 책내용과 뭔가가 다를꺼 같은 암시를 주는거 같다.

 

지은이가 한국계 미국인이다. 처음에 지은이 이름만 보고 우리나라 소설인줄 알았는데 미국에서 발간된 책이다. 사실 이 책이 스릴러 시리즈로 발간이 되었는데 일반적인 스릴러 장르와는 좀 다르다. 뭔가 분위기나 상황상 스릴감을 느끼는 형식이랄까. 아마 미국에서는 이런 식의 분위기가 낯설기에 그럴지도 모르지만 우리에게는 사실 그리 낯선 이야기는 아니다. 한국 문화의 어두운면이 미국에서 발현된 느낌이기 때문이다.

 

주인공 경은 성공한 사람이다. 좋은 대학을 나와서 괜찮은 여성을 만나서 안락한 가정을 꾸리고 있다. 그러나 좋은 집을 사기 위해서 너무 많은 대출을 받은 나머지 상환에 문제가 생기고 말았다. 그래서 살던 집을 세주고 부모님댁으로 들어가서 살아야할 처지가 되었다. 그것과 관련해서 부동산 중개인과 이야기 하던 도중 엄청난 일이 일어난다. 가까이에 사는 부모님에게 강도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다행스럽게 부모님의 목숨은 무사했지만 어머니가 끔찍한 일을 당하고 만다.

 

이야기 초기는 생각치도 못한 일로 전개가 된다. 경은 부모님에게 신세를 지고 싶지 않지만 어쩔수없이 합가를 해야 할 처지다. 그러나 그는 부모님과 오랫동안 거의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다. 연락을 끊은것도 의절한 것도 아니지만 부모님을 보는게 불편하다. 일년에 몇번 있는 집안 행사도 최소한의 접촉만하고 피하다시피 하고 있다. 그것은 과거 어릴때부터 있었던 가정 폭력때문이었다. 그의 집안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한 이민자 가정. 낯선 미국땅에서 인종차별을 겪으며 치열하게 살아야 했던 그의 아버지는 분풀이를 하듯 그의 어머니에게 폭력을 가했고 아무런 기반도 없고 말도 안 통하는 미국에서 어머니의 스트레스 해소상대는 그의 아들뿐이었다. 비록 모종의 사건으로 폭력은 더이상 이어지지 않았지만 경의 인생에서 부모의 존재는 멀어져 버리고 말핬다.

 

그런 그에게 부모가 당한 일은 경이 부모에게 다가갈수 밖에 없는 일이 되고 만다. 아무리 그래도 가족인데. 하지만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어찌보면 아슬아슬하게 지탱되던 그들의 가족이라는 묶음은 같이 있으면서 충돌이 일어나고 점점 더 끈이 약해지기 시작한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같이 있을수는 없게 되버리고 만 것이다.

 

책에서 경의 가족은 전형적인 한국 가정의 모습을 보인다. 과거에 많이 그랬고 아직도 보이는 가부장적인 모습 말이다. 집안의 여자는 아버지에게 절대 충성을 해야하고 모든 집안일은 여자들이 해야한다는 그런 모습. 수백년동안의 전통아닌 전통으로 여성들이 가정내에서 얼마나 많은 고통을 겪어왔던가. 그런데 거기에 더해서 가정폭력이 있어왔던 것인데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그런것이 그리 큰일도 아닌것처럼 치부되던 시절도 있었다.

 

책의 내용은 결국 이 가정폭력이 어떻게 마음을 피폐하게 하고 가정을 파괴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책에서 경은 매사에 짜증이고 부정적인데 자기 부모에게도 냉정하지만 그의 결혼을 반대했던 처가에도 별로 가까이 다가가고 싶어하지 않는다. 책을 읽다보면 대체 경의 지지자는 누가 있기라고 한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그런 상황에서 결혼까지 했는지도 의문이다. 책을 읽다보면 뭐든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경에 대해서 읽는 사람 자체가 짜증이 나기도 한다.

 

어릴때부터의 그 폭력이 결국 모든 것의 원인이 되었긴 하지만 경이 조금 더 인내심을 갖고 상황을 통제하면서 좋은쪽으로 갈수는 없었을까. 경의 행동이 짜증 나기는 했지만 과연 내가 그 상황이었으면 그처럼 행동하지 않았으리란 보장이 있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책은 한국식의 가정 폭력을 배경으로 해서 소재 자체가 익숙하다. 그래서 이야기가 술술 잘 넘어간다. 지금까지도 심심치 않게 있는 일이라서 더 몰입이 잘 되었던것도 있다. 나쁜일이 일어나면 가족이 제일 큰 힘이 되는게 맞다. 사이가 소원하더라도 내편 들어줄 사람은 결국 가족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가족이 또한 상처의 원천이기도 하다.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가족일때는 참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가족은 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감싸주고 의지할수는 없다는 것을 이야기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