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 당쟁사 - 사림의 등장에서 세도정치까지, 선비들의 권력투쟁사로 다시 읽는 조선 역사
이덕일 지음 / 인문서원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조선시대를 규정짓는 많은 정의가 있겠지만 그중에 하나는 조선시대는 당쟁의 시대였다는것이다. 조선의 역사 내내가 아니라 후반기 300여년정도긴 하지만 이 당쟁이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점에서 이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작용을 하게 되었는지를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당쟁으로 좋은점도 있었지만 이것으로 전쟁을 방비하는데 소홀했고 또 망국의 책임도 있기에 더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럼 당쟁이란 무엇인가. 한자어를 풀이해보면 당끼리의 쟁 즉 싸움이라고 할수있다. 요즘의 여당 야당 싸우는거나 비슷할것이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이런 당이 있었는가싶겠지만 조선 중기로 넘어오면서 정국을 장악한 사림파에서 생겨났다. 원래 조선초기의 정치세력인 훈구파는 조선전기 이래로 내내 정치를 주도했는데 중간에 생긴 사림파가 결국 훈구파 대신에 권력을 잡게 되었다. 그런데 그 사림파가 분화가 되면서 당이 생기고 그로부터 이른바 붕당정치가 시작된것이다.

 

처음에 사림파가 당이 나누게 된것은 서인과 동인이었는데 각 당의 우두머리가 살던 방향을 기준으로 이름을 정한것었다. 사실 사소한 일로 나누어지게 되었고 당대에는 동서의 구분이 뚜렷하지도 않았고 서로 비슷하게 학문하는 처지였기에 당색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다. 그것이 뚜렷하게 나누어지게 된것은 선조시기였다. 똑똑하기는 했으나 담대하지는 못했던 선조는 말로는 당쟁이 싫다고 했지만 그 자신이 당쟁에 휘둘린감이 있었다. 귀가 얇기도 했지만 뚜렷한 자신의 소신이 없었기에 신하들의 싸움을 억누를수가 없었던 것이다.

 

사실 서인과 동인의 사상적 스승은 서로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황이나 이이가 이들의 스승이었다고 하지만 두명 모두에게 배운 사람도 많았고 이황과 이이는 어찌보면 스승과 제자의 사이지 결코 서로 싸우는 사이도 아니었던것이다. 그것이 결정적으로 틀어지게 된것은 선조때 일어났던 '정여립의 난' 때문이다. 이것을 진압하고 처리하는 와중에 당시 권력을 쥐고 있었던 서인의 정철이 동인을 무자비하게 피의 숙청을 단행하면서 그야말로 돌아오지 못할 사이가 되어버렸다.

정여립이 동인이었기에 동인당 인물들이 많이 죽었는데 그것이 서인이 주도했다는것이다. 이것은 실제로 과격한 편이었던 정철이 좀 과했던 것도 있긴 했지만 사람을 죽이고 살리고 하는것은 결국 최고결정권자인 당시의 임금 선조의 책임이 더 컸으나 이미 동인에게 서인은 때려 죽여야할 세력이 되어버린것이다.

 

이후에 반대로 동인이 권력을 쥐고 서인을 공격할때가 있었는데 그 처리를 둘러싸고 강경한 쪽이 북인, 온건한 쪽이 남인으로 또 갈리고 말았다. 이렇게 당쟁은 점점 극단적으로 치닫고 있었는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로 더 분화를 하면서 이제는 조선 정치는 그야말로 붕당 정치의 시대가 되어버렸다. 그래도 그때는 어느정도 서로의 세력을 인정하면서 균형적인 면도 있었고 한쪽의 당이 다른쪽을 완전히 억누르진 않았다.

 

이 약하지만 그래도 나름의 균형을 보이던 붕당정치가 완전히 망가지게 된것은 숙종때문이었다. 어린 나이에 임금의 자리에 오른 숙종은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수시로 정권 교체를 했는데 적당하게 자리를 나누었는게 아니라 한쪽에 정권을 모두 몰아주는 방식을 취했다. 그래서 권력을 쥔 당에서는 상대당을 그냥 말그대로 말살시키려고 했다. 그래야 자신들의 권력이 영원할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인데 그래서 그냥 유배만 보내는게 아니라 수없이 죽이고 죽였다. 그 결과 조선이 망할때까지 이 당파가 화해하는 경우는 없었고 그저 억지로 자리분배에 의한 이름뿐인 탕평일뿐이었다. 그리고 그것도 깨져서 노론일당독재가 되었고 그 이후에 세도정치로 넘어가면서 망국의 길로 넘어가게 되었다.

 

사실 요즘도 야당은 그저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고 여당은 자신들의 의견만을 관철시킬려고 하는데 그 옛날에 서로 상대를 인정하면서 균형적인 당쟁을 하기는 쉽지 않았을것이다. 그래도 같은 사림파였기에 좀더 노력했다면 조선정치의 수준은 높이는 계기가 되었을것이다. 그러나 왕 자체가 당쟁을 왕권 강화의 한 방법으로 여겼고 당들은 화평할 생각은 안하고 서로 자신들이 옳다고만 여겨서 결국 꽉 막힌 정치체제가 되었던 것이다.

 

당쟁은 그 자체로 나쁜것이 아니다. 서로 나은 정책을 펼치면서 치열하게 싸우고 그 과정에서 상대를 인정하고 나름의 균형을 찾아간다면 그만큼 정치가 고급스러워지고 더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을것이다. 그러나 그런 시기는 조금밖에 없었고 그저 권력을 쥐기 위한 싸움밖에 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치 발전을 이루지 못했던 것이고 정당한 싸움이라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기에 권력상층부의 부정부패가 심해져서 그것이 결국 조선이라는 나라의 존망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물론 한 나라가 망하는데는 정치체계만 잘못된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부분이 망가져서 그런일이 일어난것이긴 하지만 견제와 균형이라는 그 시스템이 없었다는것은 큰 부분을 차지하는게 아닌가 싶다.

 

책은 그야말로 당쟁에 관한 역사다. 조선의 역사가 당쟁만 있는것은 아니고 당쟁을 했다고 해도 정치력 자체가 없었던것은 아니기에 당쟁사로 조선사를 한마디로 규정할수는 없는거겠지만 당시 정치 세력이 어떻게 진행이 되었는지를 이 책을 통해서 알수 있다. 학교 다닐때에 단편적으로 배웠던 남인 서인 노론 소론에 관한 이야기를 상세하게 이해할수 있었다. 어떻게 분화를 했고 그때 그들이 가졌던 신념은 무엇이었는지를 잘 알수있게 해준다. 지은이는 역사를 대중이 좀더 이해하기 어렵지 않게 쉽게 쓰는 작가인데 거기에 맞게 이 책도 술술 잘 읽힌다. 조선의 당쟁정치가 어떠했는가를 알고 싶다면 먼저 이 책부터 읽으면 좋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