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각본 살인 사건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첫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1
김탁환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작은 이야기(小設)이기 때문일세.

.

여기까지 들어오는 동안 자네가 본 서책들은 모두 성현 말씀을 담은 큰 이야기(大說)들이지. 거기엔 살아가는 데 중요한 가르침들이 있어. 그 말씀들을 가슴 깊이 아로새기면 큰 실수는 하지않고 삶을 이어 갈 수 있을 것이야. 하지만 가끔은 그 옳고 옳고 또 옳은 대설보다 인간이라서 생기는 나약함이나 어리석은 실수, 검은 욕망이나 처절한 눈물을 담은 작은 이야기들이 그립다네. 이때 크고 작다는 구별은 무엇인가? 큰 것은 옳고 바르고 가치 있다는 뜻이고 작은 것은 그르고 바르지 못하고 가치 없다는 뜻이 아닌가. 가치 없는 것에서부터 가치를 발견하는 작업, 이것은 참으로 신기하고 오묘하다네. 그래서 자네도 소설을 좋아는 것으로 아네만내 생각이 틀렸는가?

 

그 소설 때문에 살인사건이 끝없이 발생한다.

이전의 방각소설과는 차원이 다른 수려하면서도 탄탄한 이야기를 그려내는 청운몽의 소설은 세상에 나오기가 무섭게 팔리는 이른바 베스트소설이다.

정조 즉위 초의 불안정한 정국을 틈타 청운몽의 소설은 연쇄살인 사건의 단서가 되고, 그 과정에서 매설가(소설가) 청운몽은 살인범으로 능지처참을 당한다.

그러나, 범인이라 생각한 자를 잡았으나, 범인은 따로 있었다. 범인은 비웃기라도 하듯 계속해서 살인을 저지른다.

단순 살인사건일 것 같은 살인 사건은 파헤칠수록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나간다.

살인자를 잡으면, 모든 것이 끝일 거라 생각했는데, 소설에 얽힌, 살인에 얽힌 것들은 그리 간단하지가 않았다. 그 복잡한 실타래의 중심엔 연암 박지원을 비롯한 백탑파가 있었고, 여러 정치 세력들과 정조가 있었다. 정치라는 것이 늘 그렇듯이 보이지 않는 양날의 검처럼, 아니 듣도보도 못한 세 날의 칼처럼 파헤칠수록 모두를 겨냥하기에 결국은 몸통을 밝히지 않는 적당한 선에서 암묵적인 합의가 이루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중심에 약관의 의금부 도사 이명방과 19세의 김진이 있다. 무인이지만, 문을 사랑하는 젊은 청년 이명방, 그는 순수하면서도, 우직하고, 순진하다. 왕실의 종친인 엘리트 청년과, 청운으로 나서지 못하는 나이 어린 천재 김진. 사건만을 보고도 전말을 추리할 수 있는 비상한 김진은 꽃에 미쳐있고, 하늘을 사랑하며, 문을 사랑하는 그야말로 순수문학청년이다. 미래가 좌절된 서얼의 김진과 좋은 가문의 엘리트 청년 이명방이 벗이 될 수 있는 신사고의 중심은 단연 북학파이다.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고, 배우자는 자유로운 사고를 갖춘 백탑파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건 어찌보면 당연할지도 모르겠다. 지엄하고 지엄한 양반과 중인이, 서얼이, 천민이 어찌 친구가 될 수 있단 말인가…그러니, 그들에게 사회가 물들지 않도록 막아보자는 것 또한 그 당시의 시대상황으론 어찌보면 또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지금으로치자면 진보쯤으로 분류되었을, 백탑파의 정치입문을 앞두었던 시절은 그랬다. 그렇게 꽉 막힌 사회였다.

 

작가는 그 시절을 추리소설형식으로 풀어가면서, 당부아닌 당부를 하고 싶다고 했다.

백탑파를 보라고, 정조를 보라고, 그래서, 초심을 잃지 않고 역사적 소임을 다하라고, 정치적 이해관계가 다른 신하들을 다루었던 정조의 신중함과 노련함을 배우라고

 

방각된 소설을 모두 불태운다고, 소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작은 이야기 속에서 인생의 희로애락을 보면서 위로받았던 소설이 불타없어지더라도 소설은 필사를 통해서, 언젠가 방각을 통해서, 세상에 다시 나올거라는 화광 김진의 대사는 사실이다. 사람은 밥 없이는 살아도 이야기없이는 못살테니까... 그래서 난 그 소설을 읽느라 때로는 잠도 설치고, 때로는 끼니도 거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985년 8월 28일 대전에서====여름 징역살이

 

  없는 사람이 살기는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하지만, 교도소의 우리들은 없이 살기는 더합니다만, 차라리 겨울을 택합니다. 왜냐하면 여름 징역의 열 가지, 스무 가지 장점을 일시에 무색케 해버리는 결정적인 사실----여름 징역은 자기의 바로 옆사람을 증오하게 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을 단지 37도의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이것은 옆사람의 체온으로 추위를 이겨 나가는 겨울철의 원시적 우정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형벌 중의 형벌입니다. 자기의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을 미워한다는 사실, 자기의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미움받는다는 사실은 매우 불행한 일입니다. 더우기 그 미움의 원인이 자신의 고의적인 소행에서 연유된 것이 아니고 자신의 존재 그 자체 때문이라는 사실은 그 불행을 매우 절망적인 것으로 만듭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 자신을 불행하게 하는 것은 우리가 미워하는 대상이 이성적으로 옳게 파악되지 못하고 말초 감각에 의하여 그릇되게 파악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알면서도 증오의 감정과 대상을 바로잡지 못하고 있다는 자기 혐오에 있습니다.

 

  자기의 가장 가까운 사람을 향하여 키우는 '부당한 증오'는 비단 여름 잠자리에만 고유한 것이 아니라 없이 사는 사람들의 생활 도처에서 발견됩니다. 이를 두고 성급한 사람들은 없는 사람들의 도덕성의 문제로 받아들여 그 인성(人性)을 탓하려 들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오늘 내일 온다 온다 하던 비 한 줄금 내리고 나면 노염(炎)도 더는 버티지 못할 줄 알고 있으며, 머지 않아 조석(朝夕)의 추량(秋凉)은 우리들끼리 서로 키워 왔던 불행한 증오를 서서히 거두어 가고,  그 상처의 자리에서 이웃들의 '따뜻한 가슴'을 깨닫게 해줄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수(秋水)처럼 정갈하고 냉철한 인식을 일깨워 줄 것임을 또한 알고 있습니다.

 

 

----

1990년도 쯤인가, 감옥으로 부터의 사색을 읽고 가슴 아퍼하며, 때로는 깊은 감동에 눈물 적시던 때가....

20년의 긴 영어의 시간을 그 분은 어찌도 저리 순수하게 견디셨는지...

내 젊은 한 때를 선생님의 삶으로 눈물짓게 했던, 청년이었던 나보다도 더 순수한 그 분의 삶에 그저 존경 또 존경할 수 밖에...

요즘, 선생님의 고전강독을 읽으면서, 또 다시 이 책을 읽고 싶어졌다.

이전처럼 -순수한 마음으로, 감동으로 , 또 우리의 어처구니 없었던 시대 상황에 가슴아파하며- 읽을 순 없겠지만, 그래도 십수년 전의 나와 가끔은 조우할 수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일단 공지영은 나쁜 작가다. 그리고 무책임하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라니.. 눈물없인 볼 수 없고 이렇게 가슴 한구석이 쓰리고, 또 싸하게 만들어 놓고 행복하다니....

그렇지만 행복하단 말이 영 틀린 것도 아니다. 읽고 나서 생각해보니 행복한 시간일 수도 있겠다.

 

사형수와 여교수의 사랑이야기라는 걸 알았을 때 에이 뭐 뻔하잖아.

그렇고 그렇겠네...그렇게 생각했고, 실지로 그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읽기를 잘했다.

 

읽으니 서평을 써 준 황석영 작가의  - 존재하는 것은 행복합니다 - 표현이 정말 실감나게 가슴에 팍 꽂혔다.

 

한번도 사랑받지 못했고, 불행하게만 살았고, 그래서 사형수가 된 젊은 남자 정윤수...그는 사형수가 되고 나서야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또 사랑하게 된다...외면하고 싶은, 애써 좋은 것만 보며 살고 싶은 나에게 정윤수는 아픔이고 또 아픔이다.

 

모든걸 다 갖추고도 불행한 여자. 자신의 삶을 세번이나 놓아버리고 싶었던 유정에게 윤수는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거울이다. 처음 사랑하게 된 그 남자를 놓아버려야 하는 아픔이 느껴져 가슴이 쓰렸다.

 

세상에 대해 삐닥할 수 밖에 없는 두 남녀를 순화시키고 착하게 만들어 버린걸 보면 공지영도 이젠 나이를 먹나 보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며 사뭇 전투적인 그녀의 칼날이 꽤나 무뎌졌다.

 

아마도 작가가 하고 싶었던 말이 이 말 일게다.

 

"....사람의 생명은 소중한 거라는 걸. 그걸 놓치면 우리 모두 함께 죽어. 그리고 그게 뭐라도 죽음은 좋지 않은 거야...살고자 하는 건 모든 생명체의 유전자에 새겨진 어쩔 수 없는 본능과 같은 건데, 죽고 싶다는 말은, 거꾸로 이야기하면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는 거고.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는 말은 다시 거꾸로 뒤집으면 잘 살고 싶다는 거고...그러니까 우리는 죽고 싶다는 말 대신 잘 살고 싶다고 말해야 돼. 죽음에 대해 말하지 말아야 하는 건, 생명이라는 말의 뜻이 살아 있으라는 명령이기 때문이야."

 

"가끔 너를 생각하면, 아닐지도 모르겠지만, 네가 위악을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고모는 네가 그럴까봐 그게 싫어. 가슴이 너무나 아파...착한 거, 그거 바보 같은 거 아니야. 가엾게 여기는 마음, 그거 무른 거 아니야. 남 때문에 우는 거, 자기가 잘못한 거 생각하면서 가슴 아픈 거, 그게 설사 감상이든 뭐든 그거 예쁘고 좋은 거야. 열심히 마음 주다가 상처 받는거, 그거 창피한 거 아니야...정말로 진심을 다하는 사랑은 상처도 많이 받지만 극복도 잘하는 법이야. 고모가 너보다 많이 살면서 정말 깨달은 거는 그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1 - 맛의 시작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이맘때인가, 정말 오랫만에 이 만화책을 읽었다.

 

소재가 독특해서 좋았다. 요리로도 만화책을 내는구나...

---그래도, 난 순정만화가 좋다. 다리 긴 미소년이 나오는 소녀풍의 예쁜 그림이 좋다.

 스토리가 조금 엉성해도 용서가 된다. 그게 만화의 미덕이 아니겠는가.

--- 이렇게 관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나 같은 사람에겐 당연 만화의 장점이 더 많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좀 아쉬움이 남는다.

좀 더 유연한 사고로 접근하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너무 신토불이만 강조하는게 아닌가 하는...

우리 건 무조건 좋은 것이여~를 너무 강조하는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말이다.

 

요즘도 활동하나? 황미나, 원수연?, 김동화, 한승원...이런 만화가들...

 

갑자기 만화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 콘서트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1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은 참 어렵다.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난공불락의 성같다.

경제학자인 저자도 그 사실을 알기에 우리에게 친숙한 소재로 하나하나 쉽게 써 내려가고자 노력했다.

그래서, 그 어렵고 이해안되는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을 스타벅스 커피숍으로 설명하고, 가격차별화 정책 또한 영화관의 팝콘으로 쉽게 설명을 한다.

 

경제학자가 꿈꾸는 완전경쟁시장은 또 무엇인가.

효율성이 극대화 된 시장, 아무도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없고, 정보의 비대칭성이 없는 시장이다.

현실에선 완전경쟁시장은 거의 없기에 시장실패가 존재하며, 정보의 비대칭, 희소성을 통제하는 많은 진입장벽, 또 공익을 위한 정부의 개입과 정부의 실패, 외부효과 등등 많은 것을 수식과 도표없이 작가는 설명한다.

그래서 실은 이게 과연 비전공자가 알기에 쉬운가 하는 의문점도 들었다.

 

정보의 비대칭 설명에서 보여준 주인은 세입자의 가구를 절대로 비싼걸 제공하려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실감이 갔다.

내가 지금까지 살아본 집들의 가구들은 정말 형편이 없었기 때문..더군다나, 하나라도 망가지면, 나쁜 주인은 그걸 빌미로 2달치 디파짙을 주려하지 않는다는 사실.....(입주할때부터, 헌가구였던것이 감가상각적 측면으로 보면, 가치는 거의 제로에 가까울텐데도 주인은 원래의 가격에 플러스 알파를 원한다는 사실...차액지대론에 입각하여 희소성을 가진 자산이 주인의 것이니 가격협상에서 나에게 불리한 건 어쩔 수 없는 일...)

 

나에게 가장 흥미가 있었던 부분은 정부가 도둑인 나라편이다.

그런 논의가 경제학에 있었다는 사실은 금시초문이다.

정부 도적행위이론, 이 그럴듯한 이론은 가난한 나라가 왜 구조적으로 가난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렵게 잡은 권력을 한탕의 기회로 여기는 최고권력자는 자기도 또한 얼마만큼의 임기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없기에 나라의 재건을 위한 투자를 신경쓸 겨를이 없으며, 내 배를 불리는 데에만 오로지 관심이 있을 뿐이다.

또한 자신의 지지자들인 정부관리들의 부패고리를 눈감아 주어야 하기에, 그런 나라는 좀처럼 나아지기가 어렵다.

 

작가는 선진국 시민이다.

그래서인가, 여기저기 그네들에게 유리한 내용을 적어내려간 듯한 내용들이 보인다.

가령, 비료 소비가 가장 적은 나라가 미국 등 선진국이며, 한국이 제일 많다는 내용은 수긍하기 어려웠다.

물론 그럴수 있다. 자국에서 소비하는 농산물에는 적게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우리처럼 미국이외의 나라에 사는 사람들에게까지 그럴까? 한국이 제일 많이 사용한다면, 지금까지 알고있던 신토불이는 또 무엇인가?

 

이전까지 나는 무역시장의 완전경쟁화는 나쁘다고 생각했다.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해, 우리 농업시장의 보호를 위해 무역장벽은 필요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꼭 그것이 해답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생산을 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그렇지만, 소비를 하는 우리같은 소비자입장에선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가 침해당한 것이며, 가격또한 그렇다.

그러나, 특히 농업에서는 그네들이 대부분 가난한 우리의 아버지들이며 그런 보호정책을 쉽사리 없앨 수 없다는 정서적 차원에서의 어려움이 있다. 

내가 좋아하는 커피. 그 커피를 생산하는 커피농장 농부들은 가난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커피재배시장은 완전경쟁시장에 가깝기 때문이란다. 여기엔 나만의 노하우도 필요없고, 진입장벽을 맊을 어떤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도 일본처럼 비싸고 경쟁력있는 농산물을 생산하면 어떨까? 일본 농수산물은 아주 비싸다.

그렇지만, 믿을만하기 때문에 소비가된다.

농수산업을 모르는 나의 너무 짧은 단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