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콘서트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1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학은 참 어렵다.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난공불락의 성같다.

경제학자인 저자도 그 사실을 알기에 우리에게 친숙한 소재로 하나하나 쉽게 써 내려가고자 노력했다.

그래서, 그 어렵고 이해안되는 리카도의 차액지대론을 스타벅스 커피숍으로 설명하고, 가격차별화 정책 또한 영화관의 팝콘으로 쉽게 설명을 한다.

 

경제학자가 꿈꾸는 완전경쟁시장은 또 무엇인가.

효율성이 극대화 된 시장, 아무도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없고, 정보의 비대칭성이 없는 시장이다.

현실에선 완전경쟁시장은 거의 없기에 시장실패가 존재하며, 정보의 비대칭, 희소성을 통제하는 많은 진입장벽, 또 공익을 위한 정부의 개입과 정부의 실패, 외부효과 등등 많은 것을 수식과 도표없이 작가는 설명한다.

그래서 실은 이게 과연 비전공자가 알기에 쉬운가 하는 의문점도 들었다.

 

정보의 비대칭 설명에서 보여준 주인은 세입자의 가구를 절대로 비싼걸 제공하려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실감이 갔다.

내가 지금까지 살아본 집들의 가구들은 정말 형편이 없었기 때문..더군다나, 하나라도 망가지면, 나쁜 주인은 그걸 빌미로 2달치 디파짙을 주려하지 않는다는 사실.....(입주할때부터, 헌가구였던것이 감가상각적 측면으로 보면, 가치는 거의 제로에 가까울텐데도 주인은 원래의 가격에 플러스 알파를 원한다는 사실...차액지대론에 입각하여 희소성을 가진 자산이 주인의 것이니 가격협상에서 나에게 불리한 건 어쩔 수 없는 일...)

 

나에게 가장 흥미가 있었던 부분은 정부가 도둑인 나라편이다.

그런 논의가 경제학에 있었다는 사실은 금시초문이다.

정부 도적행위이론, 이 그럴듯한 이론은 가난한 나라가 왜 구조적으로 가난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렵게 잡은 권력을 한탕의 기회로 여기는 최고권력자는 자기도 또한 얼마만큼의 임기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없기에 나라의 재건을 위한 투자를 신경쓸 겨를이 없으며, 내 배를 불리는 데에만 오로지 관심이 있을 뿐이다.

또한 자신의 지지자들인 정부관리들의 부패고리를 눈감아 주어야 하기에, 그런 나라는 좀처럼 나아지기가 어렵다.

 

작가는 선진국 시민이다.

그래서인가, 여기저기 그네들에게 유리한 내용을 적어내려간 듯한 내용들이 보인다.

가령, 비료 소비가 가장 적은 나라가 미국 등 선진국이며, 한국이 제일 많다는 내용은 수긍하기 어려웠다.

물론 그럴수 있다. 자국에서 소비하는 농산물에는 적게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우리처럼 미국이외의 나라에 사는 사람들에게까지 그럴까? 한국이 제일 많이 사용한다면, 지금까지 알고있던 신토불이는 또 무엇인가?

 

이전까지 나는 무역시장의 완전경쟁화는 나쁘다고 생각했다.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해, 우리 농업시장의 보호를 위해 무역장벽은 필요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꼭 그것이 해답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생산을 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그렇지만, 소비를 하는 우리같은 소비자입장에선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권리가 침해당한 것이며, 가격또한 그렇다.

그러나, 특히 농업에서는 그네들이 대부분 가난한 우리의 아버지들이며 그런 보호정책을 쉽사리 없앨 수 없다는 정서적 차원에서의 어려움이 있다. 

내가 좋아하는 커피. 그 커피를 생산하는 커피농장 농부들은 가난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커피재배시장은 완전경쟁시장에 가깝기 때문이란다. 여기엔 나만의 노하우도 필요없고, 진입장벽을 맊을 어떤 것도 없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도 일본처럼 비싸고 경쟁력있는 농산물을 생산하면 어떨까? 일본 농수산물은 아주 비싸다.

그렇지만, 믿을만하기 때문에 소비가된다.

농수산업을 모르는 나의 너무 짧은 단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