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시장 시스템에서는 초거대기업의 수명 역시 유한하다. 아주 짧게 끝날 수도 있다. 더구나 기업의 화려한 명성은 그야말로 순식간에사라질 수 있다. 화려하게 빛나는 기업은 강력한 성장세와 함께 주가수익비율(PER)도 매우 높다. 가령 2000년 봄 주식시장이 정점에 달했을 무렵 코카콜라와 디즈니, 마이크로소프트의 PER은 각각 48배, 84배, 67배로 주식시장 평균치의 3~4배에 달했다. 이 말은 이들 기업의순이익 성장 속도가 시장 평균보다 3~4배 더 빠를 것이라는 의미다.

이건 정말 마술 같은 얘기다. 주식시장의 전체 순이익이 연 5%씩 성장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14년 뒤에는 순이익이 지금보다 2배로불어난다. 만약 화려한 기업들의 PER이 시장 평균보다 4배 높다면, 즉시장 평균 PER이 20배인데 이들 기업의 PER은 80배라면 14년 뒤 이들기업의 순이익은 지금보다 8배가 돼야 한다. 혹시 이런 마술을 현실화할 수 있는 몇몇 기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대다수 기업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화려한 기업들이 보여주는 고성장세가 지속되는 기간은 실제로 얼마나 될까? 경제적으로 보자면 그리 놀랄만한 기간이 아니다. 탈러의 제자인 러셀 풀러(Russell Fuller)와 그의 동료들은 1993년에 발표한 순이익 성장률의 지속성에 관한 기념비적인 연구에서 PER이 상위 50위 안에 드는 유명 성장주들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주가가 꽤 비싼 편인 이들 기업의 순이익 증가율은 첫 해에 시장 평균보다 10% 높았고, 둘째 해에는 3%, 셋째 해와 넷째 해에는 각각 2%, 다섯째 해와 여섯째 해에는 각각 1%씩 높았다. 그 이후에는 시장 평균과 똑같았다.

다시 말하면 이들 성장주의 순이익 증가율은 6년간에 걸쳐 시장 평균보다 20%정도 더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끝이다. 현재 PER 80배의 주가로 팔리고 있는 기업이 풀러가 밝혀낸 것처럼 20%의 초과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해보자. 순이익이 증가하는 동안 주가가 그대로있었다면 PER은 64배가 되고, 이제 순이익 성장 잠재력은 다른 종목과 똑같아졌다. 그렇다면 평범한 성장 잠재력을 갖게 됐으면서도 PER은 64배나 되는 주식에 시장은 어떻게 반응하겠는가? 시장전략가들의진부한 표현을 쓰자면 "즉시 팔아치우거나 공매도할 것이다. 조만간(경험에 따르면 2~3년 안에) 거의 모든 성장주에 이런 일이 벌어질 수있다; 성장주가 시장 평균보다 낮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P2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패닉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자본시장의 속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 불가피한 시장 붕괴가 찾아왔을때 투자자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패닉에 빠져 다팔아 치워서는 절대 안 된다는 점이다. 일단 냉정을 유지하라. 그러려면 확실한 자산배분 원칙을 갖고 있어야 한다.

투자의 세계에서 프로와 아마추어를 구분하는 것은 두 가지다. 첫째, 심각한 약세장도 삶의의 한 국면이며, 그 영향에서 무조건 벗어날 길은 없다는 사실을 프로는알고 아마추어는 모른다. 둘째, 시장이 험악해져도 프로는 평소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아마추어는 원칙과 목표를 저버린다. 아예 그런 원칙이나 목표마저 없는 아마추어들도 많다.

자산배분 원칙을 일관성 있게 유지해나가는 게 중요하다; 시장이 등락을 거듭할 때마다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다시 맞추는 기술을 익히면시장이 들뜬 분위기에 사로잡혀 주가가 치솟을 때 자동적으로 보유 주식을 매각하고, 시장 분위기가 착 가라앉아 주가가 형편없이 떨어졌을때 주식을 자동적으로 매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주가가 극적으로 떨어지면 주식 보유 비중을과감히 늘려 주식을 더 많이 살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아주 두둑한배짱도 가져야 하지만, 시장이 마침내 바닥을 치기 한참 전에 당신이갖고 있는 현금이 먼저 바닥 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흔들리지 않으며 많은 경험으로 단련된 투자자가 아니라면 이런 방법은 권하고 싶지 않다.

굳이 이렇게 하고자 한다면 주식 보유 비중을아주 조금 늘려야 한다. 가령 주가가 25% 떨어지면 주식 비중을 5%포인트 높이는 식이다. 그래야 수중에 현금이 바닥 나는 사태를 피할 수있으며, 1930년대처럼 최악의 약세장이 닥쳐도 평상심을 유지할 수있다. P2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스키의 거품 형성 요인을 뒤집으면 거품 붕괴 요인에 그대로 들어맞는다. 시스템의 문제를 치유해 줄 것이라고 믿었던 신기술이 그 신뢰를 상실하면서 거품 붕괴는 시작된다. 곧 이어 신용 위축이 찾아오는데, 신기술에 대한 신뢰 상실과 신용 위축은 상호 강화 작용을 한다. 시장 붕괴에 이어 대개 회복세가 찾아온다는 사실을 망각하는 게 세번째 요인이다. 마지막으로는 주가가 한창 오를 때는 주식의 가치를수학적으로 계산해내지 못하던 투자자들이 주가가 떨어질 때는 기가막히게 수학적 능력을 되찾는다. 헐값으로 전락한 주식은 냉정한 투자자, 분석적인 투자자, 나이든 투자자의 눈길만 끌 뿐이다.

그러나 시장 붕괴의 후폭풍이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은 정치적으로, 또 법적으로 나타나는 위선들이다. 금융평론가인 프레드 슈웨드의 말은 정곡을 찌른다: "큰 손실을 본 투자자는 자신이 멍청한놈들의 말을 들었다가 바보가 됐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차라리 돈을 강탈당했다고 믿고 싶어한다."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폐금융 이론가 하이만 민스키(Hyman Minsky)가 들려주는 거품에 대한 설명은 아주 체계적이다. 거품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의 선행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민스키는 주장한다. 첫 번째는 "변위요인(變位要因, displacement)" 인데, 현대적인 의미로는 혁명적인 기술이나 금융수단의 대변혁을 떠올리면 될 것이다. 두 번째는 신용의 팽창으로, 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을 쉽게 빌릴 수 있다.

나는 여기에 두 가지 요소를 추가하고자 한다. 우선 투자자들이 지난번의 투기적 광기를 망각해야 한다; 거품이 대략 한 세대에한 번씩 발생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또 한 가지는 기대 수익과 리스크프리미엄을 계산할 줄 아는 합리적인 투자자들이 단지 귀에 솔깃한 루머만 듣고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들한테 밀려나야 한다. 안타깝게도 거품이 한창일 때는 늘 이런 일이 벌어진다.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투자의 네 기둥 - 시장의 역사가 가르쳐주는 성공 투자의 토대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2
윌리엄 번스타인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강조하지만 포트폴리오를 몇 개 종목에 집중하게 되면 부자가될 가능성은 최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이 방법은 가진 재산을 날려버릴 가능성도 최대화한다. 시장 전체를 보유하게 되면, 즉인덱스펀드 방식으로 투자하면 시장 수익률만큼 보장이 되므로 부자가 될 가능성은 줄지만 재산을 날려버릴 가능성은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림 3-6을 길게 똑바로 바라보라. 시장 수익률이라고 해서 결코 확실한 것은 아니다. 시장 수익률이 어떻게 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하지만 적절한 분산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확실한 수익률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며 라스베이거스에 가서 도박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시장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는 것만으로도 벅차다. 바보가 아닌다음에야 굳이 분산투자를 하지 않음으로써 추가적인 리스크를 부담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이런 문제는 피하는 게 상책이다. 우수한 인덱스펀드에 투자해 시장 전체를 보유하라.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