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 있게 결정하라 - 불확실함에 맞서는 생각의 프로세스
칩 히스, 댄 히스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바야흐로 선택의 시대. 사람은 하루에 평균 150번의 선택을 한다. 양념이냐 후라이드냐, 짜장이냐 짬뽕이냐, 부먹이냐 찍먹이냐……. 미국 네티즌 사이에서는 이미지 파일 확장자 ‘GIF’를 지프로 발음할 것이냐 기프로 발음할 것이냐로 한동안 뜨거운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인생 참 피곤하지 않은가? 사실 양념이니 후라이드니, 짜장이니 짬뽕이니, 부먹이니 찍먹이니 하는 고민은 무얼 선택하든 삶에 큰 영향을 주진 않을 듯싶다. 반반, 짬짜면, 덜어 먹으면 그만 아닌가. 그런데 살다 보면 최소 5분 이상 고민을 거듭할 수밖에 없는 난감한 상황에 놓일 때가 있는 법이다. 조금이라도 잘못된 결정을 내렸다간 내 삶의 궤적 자체가 바뀔지도 모르는 중대한 상황. 그럴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자신 있게 결정하라』의 공저 히스 형제는 우선 분석의 환상부터 깨라고 말한다. 그러고 보니 투자분석가부터 증권분석가, 신용분석가 등등 참말 많기도 하다. 개인은 물론이거니와 기업 그리고 정부까지 사회 전체가 이 분석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심한 건 사실이다. 비즈니스에 능하다는 기업들조차 분석이라는 환상에 빠져서 필요없는 곳에다 기꺼이 돈을 버리는 상황. 그들이야 돈을 버리든 말든 상관없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만일 정부가 국가 예산을 결정하거나 주요 정책과 관련된 중대한 선택의 순간에 놓였을 때는? 그래도 상관이 없을까? 때문에 ‘프로세스’가 중요하다. 프로세스란 말 그대로 절차를 의미한다. 결정에도 체계화된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 히스 형제는 프로세스가 분석보다 약 여섯 배나 중요하다는 연구 자료를 들며 이것이 왜 필요한 것인지 설명한다. 더불어 이 책은 결정에 최적화된 프로세스 가이드북이기도 하다.





히스 형제가 제안하는 의사결정 4단계 프로세스는 선택에 직면한 최초 상황, 놓인 선택안을 검증, 최종 결정, 실패에 대한 비용 준비까지 세밀하게 짜인 하나의 설계도와 같다. 나는 이 가운데 ‘우칭’이 참 와 닿았다. 마트의 시식 코너나 인터넷 서점의 미리보기와 같은 일종의 체험판 개념이라 보면 되겠다. 우리 인생도 마트나 서점처럼 실패의 리스크를 줄여주는 이런 체험판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현실은 그야말로 시궁창. “당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세요” 라는 말에 혹해 멀쩡히 다니던 직장 때려치우고 진짜 좋아하는 일을 지원했다가 영영 지원만 하는 삶을 살지도 모를 일이다. 우칭은 이럴 때 유용하다. 작은 실패 모델을 만들어 가설을 검증해보는. 무작정 모든 걸 그만두고 내가 좋아하는 일에 뛰어들기보다는 우선 취미 활동 정도로 작게나마 체험을 해보는 것이다. 히스 형제에 따르면 성공한 창업가들이 우칭을 본능적으로 실천했던 사람들이라고 한다.




결정을 내릴 때는 그 결과를 알 수 없다. 성공은 우리가 하는 결정의 질과 우리가 받는 행운의 양에 달려 있는 법이다. 행운은 우리의 권한 밖이지만 선택 방식은 얼마든지 통제할 수 있다.


p.344



이 책 한 권 읽는다고 해서 앞으로 펼쳐질 선택지마다 최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프로세스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최선이 최고의 결과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얘기다. 어차피 미래는 예측 불가능이니까. 그보다는 혹여나 실패하더라도 내가 내린 최종 결정에 최선을 다했다는 만족감이 더 중요하다. 최선을 다했다면 적어도 후회는 없을 것이며, 최고의 결과에 근접할 가능성 또한 커지게 마련이니까. 프로세스는 그 ‘최선’과 같다. 히스 형제는 말한다. ‘우리의 결정은 절대 완벽해질 수는 없지만 나아질 수는 있다’(p.381)고. 이제 나에게는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 할 순간,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도구가 생긴 셈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2-12 21: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12 2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