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 Zu and the Silkworm

메소포타미아에 살던 사람들은 자신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는 배로 갈 수 있는 동쪽 끝이라고 여겨서다. 그러나 중국이라는 완전한 세상의 끝이 있었다. 중국 사람들은 황하와 양쯔강 사이에 정착하여 살았는데 이곳은 농작물 중 특히 벼가 잘 자라는 곳이었다. 

중국의 여러부족들을 통합한 지도자는 Huang-Di(황제)다. 그에 관한 많은 전설이 전해지는데 그는 약을 개발하고 병을 치료하는 법을 전해주었다고 한다. 아내인 Lei Zu(뇌조雷祖)는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내는 방법을 발견했다. 


중국은 역사 이전의 시대를 태고 시대로 부르며 '삼황오제'라 부른다. 그래서 '삼황오제'는 역사서마다 꼽은 인물이 다르다. 이 책에서 말한 황제의 업적으로 봐서는 십팔사략 등을 참고한 게 아닌가 싶다. 십팔사략의 삼황 중 황제가 포함되어 있다. 황제(黃帝, 고대에는 皇帝의 의미로 쓰이기도 했음)는 사람들에게 집짓는 법과 옷 짜는 법을 가르쳤으며, 수레를 발명했다. 글자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해 천문과 역산을 시작하고, 의료술을 시작했다.

그러나 어쨌든 황제는 신화 또는 전설 속 인물이 신격화되었다고 보인다. 이 책에서 기술한 바도 세력 있는 족장들 중 힘이 센 한 명이 중국 땅을 통합했다고 기술했다. 황제는 모든 신 위에 군림하며 귀신과 요괴도 지배하는 최상의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의 권력이나 지위를 가진 인물로 보면 되지 않을까. 중국인은 황제를 민족의 시조로 숭배하는데 자신들의 정체성을 보여주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해서인 것 같다. 


The Pictograms of Ancient China

황제 뒤를 이은 새로운 지도자는 탕이다. 그는 BC/BCE 1766년 무렵 상 왕조의 왕이 되었고 왕조는 5천 년간 이어졌다. 상 왕조 때 중국은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무기(활과 화살, 전차, 방패, 갑옷), 바퀴, 농기구(쟁기)를 개발했다. 상 왕조 때는 주로 뼈나 청동판에 문자를 새겼다. 최초의 문자는 상형문자로 그림으로 글자를 표현한 것이다. 직관적인 상형 문자는 간단한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이었다.


Farming in Ancient China

이집트인과 메소포타미아인과 다르게 중국인들은 벼를 재배했다. 벼는 강수량이 풍부한 곳에서만 자라는 곡물이다. 

Chin이 이날 아침에 아빠와 함께 논에 처음 가기로 했다. 가족들이 자고 있어서 조심조심 문을 열고 나갔는데 황하강의 용솟음치는 소리를 들었다. 가축들에게 먹이를 주는 등 허드렛일을 하고 집에 돌아와 아빠를 조심스레 깨웠다. 엄마는 맛있는 케이크를 만들어주셨고 여동생은 인형과 마루에서 놀고 있었다. 몇 주 전 황하가 범람하여 땅이 평소보다 심하게 질퍽한 상태였다. 아빠는 내게 잡초를 뽑으라 하셨다. 논의 물은 차갑게 느껴졌고 Chin은 논에 손을 집어넣어 잡초를 뽑았다. 햇볕에 땀이 났고 손과 발은 냉기가 감돌았다. 비록 등이 구부릴 때마다 아프고 손발은 차가웠지만 뿌듯한 여정이었다. 집에 돌아와  엄마가 해주시는 밥을 먹고 할아버지가 해주시는 옛날 이야기를 들었다. 황하가 범람해서 집을 잃고 떠나야 했다는 이야기였다. Chin은 황하가 자기 집을 덮치지 않기를 바랐다. 


* pictogram

Picto means "picture" and gram means "writing." Pictograms are words that look like pictures. 


* halberd(도끼창)

weapon that has an axe on one side and a dagger on the other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3-09-20 10: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역시 화가님!!

발음이 황제 같다 생각은 했지만 정말 황제일 줄이야….. Emperor 맞네요 (…)

황제에 뇌조… (새 이름 아니냐며) 🥲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거리의화가 2023-09-20 13:15   좋아요 2 | URL
저는 발음 보고 황제인 걸 알기는 했는데 작가가 참고한 것이 뭘까 궁금했어요. 뇌조 이름이 어렵죠? 뇌는 ‘뇌우‘할 때 뇌고 ‘조‘가 새가 아니고 ‘조상‘할 때 조더군요ㅋㅋ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미미 2023-09-20 13: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황제 저 부분도 신기해서 다시 읽고 그랬어요.ㅋㅋㅋㅋ 이 부분 읽을 때 화가님 생각났었는데 이렇게 좋은 글을 써 주시니
같이 읽는 맛을 또 느낍니다.^^

거리의화가 2023-09-20 13:26   좋아요 1 | URL
발음 상으로는 ˝황~디˝ 이렇게 하는데 저도 할 때마다 어감상 재밌더라구요!ㅎㅎ 중국어로도 ˝황~디˝ 이렇게 발음하거든요ㅎㅎ
같이 읽으니 역시 다양한 분들의 이야기로 효과가 배가되어서 좋습니다. 미미님이 열어주신 덕분이네요. 계속 재밌게 읽어요^^

희선 2023-09-21 02: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메소포타미아에서 중국으로 넘어가는 건가요 황하 강도 문명이 생겨난 곳이기도 하네요 사대 문명에서 하나... 그런 것만 기억하는 듯합니다 거리의화가 님은 중국 역사 잘 아시는군요


희선

거리의화가 2023-09-21 09:38   좋아요 1 | URL
인류 최초의 역사부터 시작해서 순차적으로 훓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역도 왔다갔다하구요ㅎㅎ 네. 황하는 중국인들이 어머니로 생각하는 강이기도 하고 문명이 태어난 곳인데 범람 문제로 늘 거주민들을 곤란하게 하는 지역이기도 했네요. 공교롭게도 중국 역사는 올해 초부터 제대로 읽기 시작했어요. 읽은지 얼마 안되서 기억하는 것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