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에 맞춰 읽으려고 최대한 노력했지만 하루 늦춰서 표제작만 읽었다. 「순이삼촌」의 주인공은 제주도에서 나고 자랐다가 사고를 만났다.
재독하면 할수록 4.3을 다룬 문학 작품으로 이만한 것이 없다는 생각이다. 이 피해를 겪었고 기억을 직간접적으로 안고 사는 분들이 있다. 매년 이 날이 찾아오면 사라져버린 이들의 많은 넋을 위로하기 위한 추모를 한다. 한 장소에 무더기로 여기저기 널린 시신을 보게 되는 것은 어떤 마음이겠는가.
작년에는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이라도 했는데 올해는 그마저도 대타를 내려보내는 대통령을 보면서 씁쓸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다. 게다가 여당의 최고위원의 발언은 할 말을 잃게 만든다. 어쩔 수 없이 국가라는 그늘 아래 국민으로 살지만 이런 저런 말 듣기 싫으면 국민이 떠나라는 건가?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040411351864094
책에서는 수용소 단어가 잠시 언급되지만 얼마 전 역사비평 142호에서 다룬 특집 기사를 읽으며 제주 4.3 때도 수용소가 꽤 많이 운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제주4·3 초기부터 군경은 수용소를 설치해 이용했다. 1948년 4월 18일 군정장관 딘(William F. Dean) 소장이 제59군정중대 민정관에게 내린 지시중에는 “경비대의 작전에 의해 붙잡힌 포로들은 경찰에게 인계하지 말라. 그들을 경비대가 마련하고 보호하는 막사에 수용하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본토로 후송하도록 조치하라”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 P41
한국 현대사에서 대중에게 알려진 수용소라면 한국전쟁 때 운영된 거제 수용소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제주에서도 엄연히 수용소가 운영되었음을 여러 구술 자료 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당시에 제주도 초토화 작전 지시가 내려진다. 제주도민들을 폭도들로 간주하면서 진압 작전이 시작된 것이다.
초토화작전에 영향을 미친 것은 당시 경무부 공안국 공안과장으로 있던 홍순봉이 작성한 「4·3 폭동사건 이후의 제주도 치안 대책안」이었다. 홍순봉의 회고에 따르면, 그는 조병옥 경무부장의 지시에 따라 ‘제주도 치안대책’을 입안하여 상부에 올렸고, 그것이 경무부 내 전체 국과장회의에서 통과되었다. - P42
여기 홍순봉이라는 인물을 주목하자. 그는 1935년 1월부터 만주국 관료로 재직하면서 (짐작하겠지만) 반만 항일세력에 대한 소탕 작전을 지휘했던 이다. 비단 그뿐이겠는가. 일제 시기 순경 등으로 독립군을 고발하고 때려잡던 관료들 중 대부분이 반공의 투사로 둔갑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5.10 남한만의 총선거 이후 수용소 증설의 필요성은 증대되었는데 짐작하겠지만 포로들의 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수용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첫 단계는 높은 석벽을 쌓아 마을을 요새화하고 지역 민병대를 훈련시켜 전략촌을 세우는 것이었다. 경비대가 주둔지를 떠나서 한라산 주위의 공격전진기지로 이동해 갔기 때문에 해안 지역의 경비는 경찰이 맡고 있었다. 두 번째 단계
에서는 경비대가 경찰과 우익청년단의 지원을 받아 섬 내륙을 완전히 휩쓸었다. 정부군(경비대―인용자)이 50야드씩 간격을 두고 산기슭을 올라갈 때, 게릴라들이 집결하는 지역을 찾기 위해 정찰기가 이용되었다. 산기슭(중산간―인용자)의 마을은 불태웠고 그곳의 주민은 강제로 해안의 수용소로 이주시켰다.작전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수용소 내에 게릴라 용의자를 찾아내기 위한 심사센터를 설치했다. - P43~44
"잘 들으라요. 우리레 지금 작전 수행 둥에 있소. 여러분의 집안은 작전명령에 따라 소각되는 거이오. 우리의 다음 임무는 여러분을 모두 제주읍에 소개하는 거니끼니 소개 둥 만약 질서를 안 지키는 자가 있으문 아까와 같이 가차 없이 총살할 거이니 명심하라우요."
"나도 따라가 봐수다만 거참, 이상헌 일도 다 이십디다. 그 사이 눈이 나련 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 참 이상허게시리 순이 삼춘 누운 자리만 눈이 녹안 있지 않애여 마씸"
제주도 현지 사투리를 엿볼 수 있는 것도 이 작품의 백미다. 재독하니 안 보였던 것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