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나무 창비시선 368
정희성 지음 / 창비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주여 용서하소서

그가 왕이 되었으니

나는 평생 역적으로 살았습니다

말로써 무엇을 이루겠나이까
나는 기교를 버렸습니다

지상에 눈이 어두운데
하늘의 일을 어찌 알겠습니까
비로소 여기

천지를 헤매다 가겠나이다

 

    - 정희성  詩 <고백> 전문

 

 

지난주 연남동 기사식당 골목의 허름한 복(복어)집에서
1990년대 초 독서모임을 통해 만났던 사람들을 만났다.

아현동 민족문학작가회의 사무실에서 처음 만난 사람들이다. 

그때 우리가 집중적으로 읽은 책은 이기영, 한설야 등 신경향파 작가들의 소설이었다.

구성원들도 다양했다.

기자, 대학생, 회사원, 교사, 백수 등.

 

나는 늘 그렇듯이 책은 얼렁뚱땅 대충 읽고 가서 입도 떼지 않고 있다가

몇 차가 됐든 뒤풀이 술자리에 끝까지 남는 인간이었다.

나의 장점은 어떤 모임이라도 친구든 후배든 한 명 따로 챙긴다는 점이다.

그 모임에서 챙긴 건 지난주 만난 선배와 후배다.

 

어쩐지 마음이 가는 또래 친구도 한 명 있었는데

그 친구는 지난해 연말 홍대앞 모임에 나오더니

우리를 타락한 백조파 작가 보듯 했다.

그러더니 얼마 전 우리 모임 카톡 방에서 퇴장해버렸다.

낮에 우리 동네 극장에서 혼자 봤던 <잉투기>가 재밌다고  떠들던 참이라

무참했다.(그 심사가 짐작이 되어서!)

 

내가 얘기하는 중에 누가 참지 못하고 방을 나가다니,

사는 건 충격의 연속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12-26 16: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6 17: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6 2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27 1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