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키 엔조이 썬샤인 선크림 SPF35 + 퍼펙셔니스트 비비크림
젠피아
평점 :
단종


싸고 좋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르미 피오니아패치 러그발매트 3장세트
태광마텍스
평점 :
절판


착한가격과 참한러그^^ 무난한 선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투를 빈다 - 딴지총수 김어준의 정면돌파 인생매뉴얼
김어준 지음, 현태준 그림 / 푸른숲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유쾌 상쾌 통쾌...김형태의 '너 외롭구나'와 같이 읽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돈나, 결혼을 인터뷰하다
최영선 지음, 송진욱 그림 / 행복한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책을 보다 갑자기 이 말이 하고 싶어졌다. “결혼 따윈 쌈 싸먹어.”라고. 더 이상 환상과 궁상의 시소에 앉아 있으면 안된다. 냉철하게 봐서, 나는 아직 결혼 준비가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결혼은 하고 싶어 한다. 가족과 떨어져 산 세월이 길어지다 보니, 생각이 그 쪽으로 흐르는 건 어쩔 수가 없다. 직장에서 열 좀 받으면 이참에 콱 결혼이나 하고 떼려치우자는 생각이 들때도 많다. 도피 수단으로 택하는 결혼만큼 바보 같은 짓이 없음을 알면서도 말이다. 

책은 저자를 마돈나로 지칭하고 자신의 경험과 주변인의 인터뷰로 구성된다. 저자 마돈나는 시민연대에서 일하는 사람이었다. 홀어머니에 무남독녀인 그녀는 유학을 준비하다가 지금의 남편을 만났다. 친정 부모님의 이혼으로 마음의 상처가 있었던 그녀는 착한 며느리 콤플렉스가 있다. 착실한 며느리 역을 맡던 그녀는 어느 날 시부모님께 말한다. 힘들어서 더 이상은 못하겠다고 말이다. 시부모님들은 예상외로 순순히 받아주신다. 네가 그렇게 힘들 줄 몰랐다고 하면서 말이다. 저자는 쓸데없는 부담을 짊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못하는 것은 못한다고 확실히 말해라며 이 경험을 독자들에게 전한다.

그녀는 좌충우돌이다. 뭐든 잘 하는 좋은 며느리가 되고 싶었지만, 시어머니에게 ‘저를 이웃집 여자로 여겨주세요’라고 할 정도가 되었다. 시어머니와 자신과의 거리를 잘 조율하게 된 것이다. 글 쓰는 취미가 있었던 그녀는 화나면 글을 썼다. 그리고 남의 결혼생활에 대해 들었다. 덕분에 다양한 결혼 케이스를 등장 시켜 놓았다.

그 중 인상 깊은 내용은 위자료 주는 여자와 위자료 받는 여자라는 장에서다.

그녀들이 경제력이 있어서 재산을 반쪽씩 가른 건 아니다. 아이가 없어서 간단하게 재산을 정리할 수 있었겠지만, 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기 위해 욕심을 버린 것이다. 그 내면에는 홀로 살 수 있는 자신감이 작용했던 것 같다. (p. 77)

혹시 우리는 ‘~ 때문에’ 가 많지 않은가? 결혼했기 때문에, 자녀 때문에 (중략) 징징거릴 시간에 자신에게 집중해 보자. 나는 어떻게 느끼는가. 나는 어떻게 살고 있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지금의 내 삶은 내 선택의 축적이 아니던가? 그 누구도 당신에게 그렇게 살라고 강요한 적 없다. (p. 81~82)

책을 다 읽고 보니 결혼은 엉킨 실타래라는 생각이 든다. 실타래를 잘 풀어간다면 다행이지만, 잘 못 풀면 더 엉키는 상황도 올 것이다. 더 엉키기 전에 풀 것과 자를 것을 구분하는 것이 과제 일터. 엉킨 실타래라도 한번 쥐었다면 던져 버릴 생각은 없다. 그래서 남들의 결혼 생활이 더 궁금했다. 그리고 내게 누가 엉킨 실타래를 쥐어 줄지도 궁금하다.

오타지적: 덕분에 별하나 뺐음. 오타가 몇 군데 더 있었는데 기록해 놓지 않아 모르겠군요.

p.139 그래서 결혼이라는 제도는 억울한다-->억울하다.
p.156 주희(37)씨는 마음에 맞으며 섹스를 즐긴다--> 마음에 맞으면
p.194 우리에게 기쁜과 만족감을 주는 일과--->기쁨과 만족감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 강의
랜디 포시.제프리 재슬로 지음, 심은우 옮김 / 살림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달 전의 일이다. 밥벌이 하는 곳에서 만이천원 범위 안에서 가지고 책을 신청하라는 공지가 떴었다. 머리에 떠오르는 책들은 많았지만, 순간 독서취향을 숨겨야겠다는 장난기가 발동했다. 만 이 천원을 꽉 채우면서, 가장 무난한 범위에서 선택하려다 보니 당시 베스트셀러였던 이 책이 눈에 띄었다.

<마지막 강의>(이하: 마지막)의 광고를 보는 순간, <샘에게 보내는 편지>(이하: 샘에게)가 떠올랐다. <샘에게>는 저자가 척추사고를 당하면서 시작 되는데 사고 후유증을 버티면서  깨달은 것을 자폐아 손자에게 전하는 글이다. <마지막>이 <샘에게>과 비슷한 내용임을 예상 했었다. 거기다 자기계발류 책은 좋아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마지막>을 선택한 이유는 아이들을 번쩍 앉아 든 표지사진 때문이었다. 세 아이를 한꺼번에 앉은 씩씩한 아빠라니, 눈길이 아니 갈수 없었다.

예상대로 <마지막>은 <샘에게>와 다르지 않았다. 차이점이 있다면 <샘에게>는 임상 심리학자의 글이라 그런지 느긋한 인상인데 <마지막>은 컴퓨터 공학자 특유의 효율성 강조가 눈에 띈다는 것이다. 아니면 이게 마비의 불평 대 불평할 시간조차 아까운 암 진단의 차이로 보이기도 한다.

<마지막>의 저자 랜디는 췌장암을 앓으면서도 너무나도 밝다. 환자를 앞에 두고도 슬며시 웃을 수 밖에 없을 정도니 말이다. 그가 했던 얘기 중에 인상 깊은 말들을 옮겨 본다.

“... 장벽은 절실하게 원하지 않는 사람들을 걸러내려고 존재합니다. 장벽은 당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멈추게 하려고 거기 있는 것이지요.” (p. 60)

시간은 당신이 가진 전부다. 그리고 당신은 언젠가, 생각보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p.152)

당신은 그저 물어보기만 하면 되고 그것이 당신이 일생동안 품어왔던 꿈을 이루는 길로 이끌 수도 있다. (p.244)


그리고 책의 마무리는 강연장의 엔딩 장을 그리게 하면서 끝낸다. 저자는 헤드 페이크를 찾았느냐는 질문부터 시작한다. 자신의 어린 시절 꿈 이야기를 해놓고선, 꿈의 달성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첫 번째 헤드 페이크, 꿈의 달성도 보다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올바르게 끌어갈 것이지 생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두 번째 페이크, 이 강연은 자신의 아이들에게 남기는 것이라고 고백한다.

책을 읽는 내내 아내와 아이를 향한 사랑이 많이 보여 흐뭇하면서도 안타까웠다. 건강히 오래오래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저자는 이미 이승엔 없다.

뻔한 내용임을 알면서도 사람들이 찾는 데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매일 하는 얘기, 실천이 문제다.’라고 한다면 더 할 말은 없다만, <마지막>을 읽고 얻어간 새로운 교훈이 하나 있다. 긍정의 에너지가 마구 뿜어져 나오는 사람이 되고 싶어졌다. 그리고 나의 개똥철학을 자식에게 전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졌다. 존경까지는 아니어도 존중받을 수 있는 철학 말이다. 나도 내가 살아온 인생에 대해 정리해보고 맹랑한 삶의 교훈 따위를 넘길 수 있을까? 그때까진 건강해야겠고, 바삐 살아야 할 것이다. 교훈의 양질을 위해 오늘도 읽고 고민하고, 글을 끄적 거려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