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혼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24년 4월
평점 :
배명훈의 소설은 어렵고 재밌다. 그리고 아름답다. 제발 그 놀랍고 기발한 상상의 세계를 이해하느냐고 묻지 말기를 바란다. 이해는 불가능하지만 사랑할 수는 있을 것 같다는 답으로 대신하겠다. 가장 최근에 만난 『미래과거시제』 가 가장 인상적이고 특별했지만 11년 만에 개정판으로 돌아온 『청혼』도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어려워서 그렇기도 하고 우주를 배경으로 한 사랑 이야기는 가까운 미래 우리의 일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청혼』이라는 로맨틱한 제목만 생각하면 결혼해서 함께 우주여행이라도 떠나자는 내용인가 싶었다. “휴가를 받으면 한번 놀러 와.” 란 문장의 편지로 시작하는 소설이다. 장거리 연애 중이구나 싶었지 설마 우주 전쟁이 등장할 줄이야. 그랬다. 소설의 화자인 ‘나’는 목성 근처 소행성대에서 궤도연합군 작전 장교로 복무 중이다. 지구 출신인 너와는 다르게 우주 출신이다. 지구와 목성 근처의 거리는 얼마나 될까? 거기 사랑하는 연인이 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을까. 우주 전쟁은 상상도 못하는 지금의 나는 소설 속 연인의 연애가 얼마나 애틋할지 짐작할 수 없다.
“보고 싶었어” 하고 내가 너에게 말했을 때, “나도” 하고 네가 나에게 대답해주기까지 단 1초도 걸리지 않았던 그 순간을, 나는 행복이라고 기억해. 사랑한다는 너의 말에 단 한 순간도 망설임 없이 대답해도 너에게 닿는 데 17분 44초가 걸리고 그 말에 대한 너의 대답이 돌아오는 데 또다시 17분 44초가 걸리는 지금의 이 거리를 두고 내가 가장 숨 막히는 게 뭔지 아니? 그건 대답이 돌아오기 전까지의 그 긴 시간 동안 우리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없다는 갑갑함이야. (35~36쪽)
소설은 ‘나’가 ‘너’에게 전하는 우주 전쟁의 상황이라고 할까. 우주 출신이라 지구의 중력은 감당하기 힘들지만 견딜 수 있다고 믿는다. 170시간을 날아가야 너를 볼 수 있지만 그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너를 사랑하니까, 모든 건 다 괜찮다. 그러나 너와 나 사이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래서 너는 나를 만나러 왔다. 먼 우주를 지나 온 너에게 나는 온전히 집중하지 못했다. 핑계라면 적들은 우리가 어떤 대형으로 잠복하는지, 뭘 하고 있는지 몰랐는데 그들은 모든 걸 다 아는 것처럼 목표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 행방을 찾아야 하는 게 나에게는 제일 큰 과제라서 너에게 소홀했다. 때가 되면 찾아오라는 쪽지를 남기고 너는 떠났다.
어쩌면 내가 존재하지 않을 미래에 이런 연애와 사랑은 흔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소설에 등장하는 우주 함대나 휴양선을 상상이 되지 않는다. 우주적 상상력 부재 때문일 것이다. 광활함 그 자체인 우주, 기회를 엿보고 있을 적들이 어디서 나타날지 모르는 상황, 그곳을 떠날 수도 없고 돌아갈 수도 없는 나를 비롯한 함대의 군인들의 외로움을 나는 모른다. 알 수 없는 적만큼이나 우주 함대에 있는 동료조차 믿을 수 없다. 적은 내부에 있을지도 모른다. 사랑하는 너와 나 사이에도 오해가 쌓이는데 업무로 만난 동료는 오죽할까.
배명훈이 묘사한 우주 한가운데 홀로 남겨진 그들의 고독을 너를 포함한 다른 이들이 과연 알 수 있을까. 정체를 알 수 없는 우주 함대와 벌이는 전쟁, 전쟁이 끝나야만 너를 만나러 지구에 갈 수 있다. 가능한 일일까? 편지와 함께 너에게 줄 반지도 준비했다. 그것을 받고 너는 어떤 결정을 해야 할까. 반지를 끼고 나를 기다릴 수 있을까?
어떤 이는 이 소설을 우주의 미래, 현실적인 우주 전쟁이라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우주학, 군사학, 중력렌즈, 전파 망원경의 등장으로 묘사되는 교전을 보면 그렇다. 비슷한 게임조차 해 본 적이 없는 나에겐 안타까운 사랑 이야기였다. 서로에게 더 가까이 닿고자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멀어지는 연인의 사랑. 그 결말이 어떨지 알 것 같은 사랑 말이다. 그럼에도 우주 한복판에서 너를 향한 영원한 마음을 보낼 나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았다. 너를 바라보며 반짝반짝 빛을 내는 별을 말이다.
반드시 돌아올 거야. 이상하지? 나 같은 우주 태생이 어딘가로 돌아올 생각을 하다니. 이제 나도 고향이 생겼어. 네가 있는 그곳에. 고마워. 그리고 안녕. 우주 저편에서 너의 별이 되어줄게. (153~1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