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섬 악마 동서 미스터리 북스 145
에도가와 란포 지음, 김문운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도가와 란포의 작품으로는 처음(?-어쩌면 전에 읽어본 적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접하는 추리소설이다. 추리소설로 분류되긴 했지만 중반을 넘어서면서 살인을 저지른 범인을 충분히 짐작하게 되는지라 그쯤되면 추리소설이라기 보다는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는 모험소설로 접어들었다고 봐야 한다. 젊은 사람이 하룻밤 사이에 머리가 하얗게 새어버릴 정도의 공포와 절망을 겪으면서 살아남는 극한적인 모험...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에도가와 란포'란 이름을 처음 접했을 때는 별 생각없이 그저 일본 이름이겠거니 하고  넘겼는데, 어느 분의 글을 보고서야 에드거 앨런 포의 이름을 본따서 지은 일본식 예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일본추리소설 작가라고 하는데, 나는 어찌 이제서야 인식하게 되었을꼬.. -

이 책의 화자는 미노우라(나)라는, 남자들도 관심을 기울일만한 외모-스스로 얼굴 모습에 관해서 예전부터 조금 믿는데가 있다고 말하고 있음-의 소유자이다. 그러다 보니 자신에게 관심을 표명하는 이성외에 애정공세를 펼치는 동성도 존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출간된 일본의 야오이 출판물(만화 등)의 번역본들을 본 적이 있는지라 동성애가 낯설지만은 않아서 다행(?)히 미노우라와 모로토 미치오의 기묘한 관계가 상상이 불가능하지만은 않았다..^^;; . 그리고 모로토가 이성에게 혐오감을 가지게 된 연유를 알게 되면서 오히려 연민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불행한 유년 시절은 한 인간의 삶의 전반에 지울 수 없는 상처, 암울한 그늘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절감했다...
 
 자신의 경험을 적고 있는 형식의 글 속에서 화자는 친절하게도 가끔 독자가 기억해 두어야 할 부분들을 짚어주면서 이야기를 진행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이것은 나중에 관계가 있는 일이니까, 독자도 기억의 한구석에...", "이것은 나중에 관계가 있는 소중한 사항이기에..." 등과 같이 알려주고 있음~). 화자의 연인이었던 기자키 하쓰요가 가지고 다니던 족보의 비밀은 예전에  본 추리만화 "김전일"에서 본 적이 있는, 유사한 소재이다. 밀실이나 공개  살인 사건의 미스터리는 추리를 요하기 보다는 글을 따라가다 보면 다 풀려 버리는지라 그 부분보다는 히데짱과 기쓰짱의 미스터리(?)에 더 관심이 갔다.  

  편견일지도 모르겠지만 일본 소설에서는 보통 사람이 상상해 내기 어려운 엽기적인 면이나 동성애 코드가 흔한 소재로 등장하는 것 같다. 그로 인해 인간의 비틀린 인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만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생의 불구자였던 범인에게 안스러움이 생기기 보다는 그로 인해 파생된 희생자들에 대한 연민만이 커질 뿐이다... 그나저나 리뷰쓰신 분들이 다들 <음울한 짐승>을 언급하시는지라 이 작품도 꼭 읽어보아야 할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08-07 12: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