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 꼬마야 꼬마야 6
몰리 뱅 글 그림, 이명희 옮김 / 마루벌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표지를 보면 노란 색깔의 병아리(?)가 눈에 확 들어오는 그림이다. 알에서 깨어났으며 노란색만 띄고 있으면 병아리라고 생각하는 아이에게는 -기러기라는 책 제목에도 불구하고- 분명 그 그림 속의 귀여운 아가는 병아리이다..  이 책은 안데르센의 '미운 오리 새끼'에서 모티브를 따 온 작품이지만 그 내용은 판이하게 다르다.  어쩌다 엄마 품 속에서 밀려난 기러기의 알이 떨어진 곳은 동종(조류)이 아닌 '비버'의 둥지 속이다.

  그 곳에서 비버 부부의 호기심 어린 눈길 속에 알에서 깨어난 기러기 새끼는 미운 아기오리가 오리 가족들에게 구박을 받는 것과는 달리, 전혀 다른 모습을 지닌 비버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가족으로 받아 들여진다. 작가(몰리 뱅)는 이를 증명이나 해주려는 듯 비버 가족이 기러기 새끼를  둘러싸고 나란히 서 있는 포즈를 그려 놓았는데 마치 가족 사진을 찍는 듯한 모습을 연상시킨다.

  비버 가족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 나가는 동안 성장한 기러기 새끼는 서서히 자신의 외모와 정체성에 대해 의구심을 품게 된다. 아이에게 읽어줄 때는 그저 기러기가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깨달아 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보았을 뿐이었는데, 후에 혼자 이 책을 다시 보면서 외모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외국에 입양된 아이들의 슬픔과 고민도 이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양부모나 친구들과 행복한 삶을 꾸려나가더라도 그들과 다른, 이질적인 자신의 모습에서 슬픔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비버 가족이 기러기를 즐겁게 해주려고 애써도 소용이 없는 것처럼...

 홀연히 가족의 울타리를 벗어나 세상 밖으로 나간 기러기에게 닥친 어려움은 자아의 진정한 모습과 가치를 깨달아가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통이리라. 그가 누구인가! 비록 비버 가족에게서 배울 수는 없었지만 날 수 있는 본능을 지닌 기러기였던 것이다. 벼랑끝에서 추락하는 위기에 몰린 그가 마침내 날기 시작했을 때 독자는 기쁨과 환호의 탄성을 내지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그것으로 해피엔딩을 만들지 않는다.

힘찬 날개짓으로 그가 향한 곳은  바로 '집'이었으니, "마침내 집으로 돌아왔어요."라는 짧은 글이 주는 감동은 참으로 컸다. 태어났을 때부터 함께 해 온 가족이 있는 집으로 돌아간 기러기의 이야기는 같은 주제를 내포하였으되 다른 가족상을 보여 준  미운 오리 새끼와 다른 끝을 보여주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 싶다. 비버 가족에게 돌아간 기러기는 그가 할 수 있는 최상의 선물을 가족들에게 안겨 준다.... 마지막으로 그림을 살펴 보면 <쏘피가 화나면...>을 그린 "몰리 뱅"의 시간의 순차적인 흐름을 보여 주려는 듯 한 면에 몇 개의 컷을 그려 넣은 기법이나, 사각의 틀 속에 다른 그림을 삽입하여 사진을 보여 주는 듯한 느낌을 주는 그림 기법이 눈에 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