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은 커다란 조개껍데기 아이과학
김동광 글, 김세진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모습도 크기도 제각기 다르지만 우리가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인 '집'의 필요성과 당연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온 부분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과학그림책. 집(건축물)의 구조적인 특징을 동식물의 집과 구조와 대비시켜 설명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세력권'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자기 구역을 지키며 살아가는 동물에 대해 이야기하며, 단단한 껍데기가 있어 집을 짓지 않아도 되는 거북과 산호를 예로 들고 있다.  



 사람에게는 왜 조개처럼 단단한 껍데기가 없을까? 따로 집을 짓지 않아도 되고, 아무 곳에서 잠을 잘 수 있는 조개처럼 사람도 등딱지를 메고 다니면 어떨까, 하는 생각으로 연결된다. 살아가는데 필요한 세간들도 다 담아서 가지고 다니려야 한다면 우리 몸보다 몇 배나 더 껍데기를 들고 다녀야 할 터이니 움직임도 느리고 힘도 많이 들 것이다. 커다란 조개껍데기 안에 온갖 살림살이들이 빼곡히 차 있는 그림을 보며 우리 인간이 살아가면서 -지나칠 정도로- 참 많은 것들을 필요로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는 공룡을 예로 들어 집의 뼈대의 공통점을 비교해 놓았다. 공룡의 몸에 뼈가 있어 몸을 지탱하듯이 집에는 뼈 역할을 하는 기둥이 있는데, 이것이 튼튼해야 집이 무너지지 않고 거대한 공룡보다 더 크고 높은 건물을 세울 수도 있다. 땅 속에 굴을 파서 만드는 지하철길 역시 튼튼한 기둥과 뼈대가 필요함을 설명하며, 그림 한 쪽에 땅 속에 여러 갈래의 굴을 파서 집을 만드는 개미도 훌륭한 건축가임을 보여준다.



 우리가 집을 짓는 이유는 공간을 확보하고, 외부의 자극(비, 바람, 햇볕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이 책에서는 공룡과 집을 대비시켜 공간과 지붕, 그리고 벽의 필요성을 알려준다. 공룡의 입과 항문, 나뭇잎의 '기공'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사람의 몸에서도 문 역할을 하는 부분을 찾아보면서 문의 중요성과 창문의 장점도 일깨워준다. 공간에 사람이나 물건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문은 크기나 모양은 제각각이지만 실과 바늘처럼 짝을 이루어 꼭 있어야 하는 것임을 새롭게 인식하고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집을 짓는데 필요한 재료들이 모두 자연에서 얻고 있는데 반해, 살 곳과 집 지을 재료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동물들의 고통이 바로 우리 사람들로 인한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모든 생물을 보호해주는 커다란 집인 자연이라는 공간 안에서 살아가는 모든 생물들은 서로 돕고 살아야 함을, 서로에게 문을 여는 노력이 필요함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