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짝꿍 최영대 나의 학급문고 1
채인선 글, 정순희 그림 / 재미마주 / 199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 없는 아이... 참 가슴 아픈 말이다. 대체로 아빠가 없는 아이보다는 엄마가 없는 아이에게 정서적이나 외양적으로 더욱 큰 표가 나는 것을 보더라도 엄마가 얼마나 필요한 존재인지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전학을 온 영대라는 아이는 엄마가 없단다. 그래서일까, 매사에 둔중하고 준비물은 가지고 오지 않기 일쑤에다 지저분한 모양새를 하고 다닌다. 그런 영대를 고의로 괴롭히는 아이들... 영대 반의 모든 아이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엄마없는 바보, 영대가 불쌍하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냄새 나고, 굼뜨고 별 반응이 없다는 이유로 놀이에도 끼워주지 않고, 심지어 때리기까지 한다. 하지만 영대는 울지도, 웃지도 않기에 바보 소리마저 듣는다.

요즘은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사는 집이 몇 평이나, 자동차가 있느냐, 아버지 월수입이 얼마냐 등의 기준에 따라 친구를 가려서 사귄다고 한다(물론 그런 것을 가르치는 부모가 더 큰 잘못이다!). 가난하다는 이유로 무리에 끼워주지 않거나 외모가 떨어진다는 이유 등으로 왕따를 시키기도 한다. 빈익빈 부익부가 심화되고 부의 잣대로 사람을 평가하는 등의 각박해져 가는 사회 분위기가 아이들에게조차 편가르기를 시키게 만들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천진난만하고 모든 것을 사랑할 줄 알 것 같은 아이들도 잔인한 일면을 지니고 있는데 그러한 것들이 오히려 어른들보다 더 강하게 표출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제는 어른들이 깜짝 놀랄 정도로 폭력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고 행한다. 책을 읽으면서 반의 남자아이들이 모두 한 대씩 때린 일도 있었다는 부분에서는 가슴이 서늘해지기도 했다.

여러 매체를 통해 '왕따'에 관한 기사를 접할 때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나 역시 한숨이 나온다. 대체로 우리 아이가 당하는 쪽에 속할까봐 걱정을 하지만 어쩌면 우리 아이가 왕따를 시키는 쪽에 설 수도 있다는 것 또한 염두에 두고 있다. 아이의 유약한 성격을 고려해 볼 때 자발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강압에 의해 굴복 당하여 잘못된 행동을 하는 무리를 따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영대네 반 남자아이들이 돌아가면서 영대를 때린 것도 따지고 보면 같은 행동을 하지 않아 무리에서 따돌림을 받게 될까봐 두려워서였을 것이다.

사실 선생님조차 왕따를 당하는 아이를 일시적으로 구제해 줄 수 있을 뿐이다. 아이들이 진정으로 마음을 열고 그 아이를 받아 들여야만 왕따가 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다행히 영대네 반 아이들은 수학여행 길에서 그 동안의 설움을 토해내듯 서럽게 울어대는 영대의 모습을 통해 자신들의 행동을 반성하고 비로소 영대를 친구로 받아들인다. 영대의 옷에 달린 여러 개의 뱃지는 아이들의 우정의 표시였기에 참 아름다워 보였다. 비로소 친구로 인정 받게 된 영대의 모습이 밝게 바뀌어 나가는 것을 보며 우리 아이들이 외롭고 힘든 친구를 위할 줄 아는 따듯한 마음을 지닌 사람으로 자라나길 기도했다. 모쪼록 이런 책들을 많은 아이들이 읽고 가슴에 새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